• 제목/요약/키워드: and Size' of School Librarie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5초

대전시내 초등학교 도서실 현황에 관한 연구 - 교사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Focu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eachers)

  • 이정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1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50 schools a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on two groups of teachers, those that take charge of school library and those who do not. As a results of this research following issues are emerged. First, the present state of surveyed school libraries is below standard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books and size and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se poor conditions. Second, the space programs are not sufficient to conduct enlarging scope of school libraries, which is conspicuous in spaces for affording librarians, supporting various activities and serving user's convenience. Third, in spite of poor conditions in school library facilities, respondents' satisfaction rate is not so low and there's no obvious demand for diversity of spaces.

  • PDF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operation Models Between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 한윤옥;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37-35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강화를 위하여 협력사례를 조사$.$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고 이용자 서비스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로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사례를 조사하기 위한 워크숍을 통하여, 학교도서관, 공공도서관, 교육청 관계자들로부터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제도적인 측면, 인적자원의 문제, 콘텐츠 및 서비스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3가지 협력 모델을 개발하였다.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 모델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발달한 대도시에 적합하며, 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 모델은 학교도서관이 열악한 중소도시에 적합하며,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 모델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모두가 열악한 농어촌 지역에 적합하다. 하지만, 현재의 지역적 상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적합한 모델을 채택하여 시범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수정 보완하여 적합한 모델을 적용시켜야 한다.

  • PDF

'시골학교에 도서관을' 캠페인 신청 초등학교 도서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Applicants for the "Campaign for Libraries for Rural Schools")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4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2009년 조선일보가 주관한 "시골학교에 도서관을" 캠페인에 신청한 119개 시골 초등학교 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학교들의 신청서를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하고, 시설, 장서, 환경의 측면에서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 학교도서관들은 전체 장서 규모, 1인당 장서 증가 규모 등 수치상으로는 무난하다고 보인다. 그러나 거의 공통적으로 낡고 열악한 시설, 장서의 부족, 불균형과 낮은 질, 재정지원의 부족, 문화적 고립 등 문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전형적 시골학교 도서관이 아니라고 해도 통계 수치만으로 알 수 없는 학교도서관 현실의 일면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등의 인식 변화와 재정 지원이 가장 시급한 해결책임을 인식하고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 관련 정책이 유권자들의 관심거리임을 주지시켜야 한다. 둘째, 기존의 각종 도서관 평가와 시상제도의 가시성을 활용해야 한다. 셋째, 각종 도서관 평가에서 질적 측면을 강화해야 한다.

  • PDF

학교도서관 위치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of School Library Location)

  • 이영모;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76
    • /
    • 2015
  • 학교도서관은 다양한 정보자료 및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는 독서를 통한 창의력 향상 및 인성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에게는 학생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교수방법을 개발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실시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은 더 이상 도서 보관의 장소가 아니며 학교교육 과정의 중심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 과정의 중심공간인 학교도서관의 주이용자인 학생 및 교사가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학교도서관의 위치로 운영자인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적합한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시설에 관한 연구와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 분석하고 전국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의 '소재건물, 층수, 건물 내 위치, 면적' 등의 요인들은 사서대상 위치 만족도 조사에서 유의미한 수치가 발견되었으며, 사서들의 학교도서관 위치 인식 전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학교도서관 교육서비스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ducational Services of School Libraries)

  • 김성준;서진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63-192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의 인과관계와 영향력의 크기를 분석하여, 교육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영향요인을 포괄적으로 탐색하여 변수를 선정하였고, 이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선정된 변수는 학교구성원의 인식과 지원, 사서교사의 전문성,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력, 학교교육과정, 사서교사의 시간부족, 교육환경, 교육서비스이며, 이 7개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14개의 가설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도서관 교육서비스의 핵심요인은 사서교사의 전문성, 교과교사와의 협력, 학교 교육과정으로 나타났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교육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chool Libraries that are Open to Public)

  • 공순구;박지훈;신한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7-340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대학도서관 직원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taff size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손정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159-193
    • /
    • 1994
  •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14 factors related to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number of professional staff, nonprofessional staff, and total library staf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case of 1992, there a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library staff and 10 of 14 variables : the number of undergraduate enrollments, graduate enrollments, departments, faculty members, school employees and volumes in library, size of library building, total university expenditure and library materials expenditure (coefficient: 0.70-0.99). However, there are littl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library staff and 2 variables : library open hours and university expenditure per student. Among the above factors, the correlations of the total university expenditure and the library expenditur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more than ones of the other factors. 2. In the case of the analysis by 3 years interval in 1984-1992, there a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total library employees and 7 of the above 9 variables, excepted to library open hours and 4 factors related to expenditure (coefficient : 0.73-0.93 in 1984;0.77-0.88 in 1988;0.70-0-92 in 1992). But there are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y each year. 3. I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rofessional staff and the nonprofessional staff, the number of graduate enrollments, departments, volumes in library and school employees, library expenditure and total university expenditure show higher positive correlation to the professional staff than the nonprofessional staff. However, the number of undergraduate enrollments, faculty members, volumes added in library and volumes loaned, size of library building and library materials expenditure show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rofessional staff and the nonprofessionalstaff.

  • PDF

사서교사와 타 비교과 교사의 배치 비교를 통한 사서교사 배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eacher Librarians' Placement by a Comparison between Teacher Librarian and Other Teachers Not-teaching the Subject Matter)

  • 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7-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 자격 제도가 가진 한계와 개선방안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와 다른 비교과 교사의 배치기준과 현황을 비교하는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서교사 배치 관련 문제점의 핵심은 사서교사 배치를 위한 정원 산정 기준에 사서교사 실기교사나 사서 모두를 포함한 인원을 기준으로 학생 1,500명당 1명의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을 배치한다는 데에 있다. 이로 인해 교원 정원을 산정하는 기준인 국가공무원 정원 배정 기준에 공립학교 사서교사 1인당 학생 수가 5,616명으로 배정되어 있다. 타 비교과 교사의 정원은 사서교사에 비해 많게는 9배 가까이 높게 배정되고 배치율도 사서교사와는 극명히 대비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첫째, 사서교사와 사서의 정원 분리와 역할 명확화가 필요하다. 둘째, 현재 교당 학생 수가 500명 내외인 점, 타 비교과 교사 배치기준이 학교 규모와 학교 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예측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사서교사 자격 양산이 보다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양성기관에 대해 융통성을 인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립학교에도 사서교사 배치가 될 수 있도록 사서교사 정원을 증치해야 한다. 사서교사 배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고찰한 본 연구를 통해 안정적인 사서교사 배치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 영향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Intentions to Implement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 김승희;박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21-1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태도, 주관적 규범, 교사효능감 및 지각된 통제가능성을 설정하고, 사서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 연령이 30대인 경우, 근무학교의 규모가 작은 경우, 도서관 협력수업 경험이 있는 경우에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변수 중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가능성은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교사효능감은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방형 문항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연구결과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협력수업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Dual-Vector System II in Creating a Reliable Phage-Displayed Combinatorial Fab Library

  • Song, Suk-yoon;Hur, Byung-ung;Lee, Kyung-woo;Choi, Hyo-jung;Kim, Sung-soo;Kang, Goo;Cha, Sang-h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7권3호
    • /
    • pp.313-319
    • /
    • 2009
  • The dual-vector system-II (DVS-II), which allows efficient display of Fab antibodies on phage, has been reported previously, but its practical applicability in a phage-displayed antibody library has not been verified. To resolve this issue, we created two small combinatorial human Fab antibody libraries using the DVS-II, and isolation of target-specific antibodies was attempted. Biopanning of one antibody library, termed DVFAB-1L library, which has a $1.3{\times}10^7$ combinatorial antibody complexity, against fluorescein-BSA resulted in successful isolation of human Fab clones specific for the antigen despite the presence of only a single light chain in the library. By using the unique feature of the DVS-II, an antibody library of a larger size, named DVFAB-131L, which has a $1.5{\times}10^9$ combinatorial antibody complexity, was also generated in a rapid manner by combining $1.3{\times}10^7$ heavy chains and 131 light chains and more diverse anti-fluorescein-BSA Fab antibody clones were successfully obtained.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VS-II can be applied readily in creating phage-displayed antibody libraries with much less effort, and target-specific antibody clones can be isolated reliably via light chain promiscuity of antibody molecu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