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Librarians' Perception of School Library Location

학교도서관 위치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 연구

  • Received : 2015.02.14
  • Accepted : 2015.03.13
  • Published : 2015.03.30

Abstract

By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space, the school library provides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for creativity improvement through reading and humanity education, teachers with the opportunities for providing the high quality training by developing teaching methods fit for the students' aptitude and ability. The school library is now playing a greater role as a curriculum-oriented space instead of just a repository for books.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rvey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in these libraries to find the most optimal location for the school library to ease use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targeted school librarians around South Korea, and previous studies about school library facilit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actors such as 'buildings, floors, position in building, and size' of school libraries appeared to make a larg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brarians.

학교도서관은 다양한 정보자료 및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는 독서를 통한 창의력 향상 및 인성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사에게는 학생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교수방법을 개발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실시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은 더 이상 도서 보관의 장소가 아니며 학교교육 과정의 중심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교육 과정의 중심공간인 학교도서관의 주이용자인 학생 및 교사가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학교도서관의 위치로 운영자인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적합한 위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시설에 관한 연구와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 분석하고 전국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의 '소재건물, 층수, 건물 내 위치, 면적' 등의 요인들은 사서대상 위치 만족도 조사에서 유의미한 수치가 발견되었으며, 사서들의 학교도서관 위치 인식 전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철완, 노영희. 2009.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 20(2): 183-196.(Kwak, C. W. and Y. H. Noh. 2009. "A Study of Development of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Criteri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 183-196.)
  2. 교육과학기술부. 2013. 교육통계. 세종: 교육과학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3. educational statistic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3. 김병주. 2003. 학교도서관 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14(2): 141-158.(Kim, B. J. 2003. "A Study on Redesigning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4(2): 141-158.)
  4. 김성준. 2011.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5-26.(Kim, S. J.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5-26.) https://doi.org/10.4275/KSLIS.2011.45.3.005
  5. 남영준, 이수영, 장보성. 2008. 학교도서관의 BSC 성과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277-294.(Nam, Y. J., S. Y. Lee, and B. S. Chang. 2008. "The Study of BSC Balanced Scorecard of Schoo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2): 277-294.) https://doi.org/10.4275/KSLIS.2008.42.2.277
  6. 남영준, 정경애. 2010. 학교도서관의 새로운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99-131.(Nam, Y. J. and K. A. Jung. 2010. "A Study on the New Evaluation Index of Schoo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99-131.)
  7. 목수정. 2011.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22(2): 221-234.(Mok, S. J.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Domestic School Library Standard."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2): 221-234.) https://doi.org/10.14699/KBIBLIA.2011.22.2.221
  8. 소시중. 1996. 학교도서관 시설.비품 기준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논문집, 24: 101-114.(So, Si-Jung. 1996. "Study on improve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and equipment standards." Journal of University of Incheon, 24: 101-114.)
  9. 송기호. 2012. 학교도서관 운영의 실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Song, K. H. 2012. School Library Management.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0. 정재영. 2008. 정보공유공간의 도입을 통한 학교도서관 공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267-289.(Chung, J. Y. 2008.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chool Library Space by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2): 267-289.)
  11. 허영환, 이상호. 2007. 종합정보센터로서 초등학교도서관 배치계획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2): 225-232.(Heo, Y. H., and S. H. Lee. 2007. "A Study on the Layout Planning in Elementary School Library as General Information Center."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6(2): 225-232.)
  12. 도서관법. [시행 2010.8.18.] [법률 제 11310호, 2012.2.17. 일부개정].(Library Act. [Enforcement Date 18. Aug, 2010.] [Act No.11310, 17. Feb, 2012., Partial Amendment])
  13. 학교도서관진흥법. [시행 2013.3.23.] [법률 제11690호, 2013.3.23. 타법개정].(School Library Promotion Act. [Enforcement Date 23. Mar, 2013.] [Act No.11690, 23. Mar, 2013., Other Laws and Regulations Amended])

Cited by

  1. 학교도서관 시설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vol.49, pp.4, 2015, https://doi.org/10.4275/kslis.2015.49.4.053
  2.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 vol.50, pp.3, 2015, https://doi.org/10.4275/kslis.2016.50.3.093
  3.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vol.35, pp.4, 2018, https://doi.org/10.3743/kosim.2018.35.4.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