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ygdali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산 Prunus 속 종자의 항균성과 청산배당체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Seeds of Prunus Species)

  • 이인란;김경숙
    • 생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0-126
    • /
    • 1988
  • HPLC analysis of three Prunus species, Armeniacae Semen. Persicae Semen, and Mume Semen, showed that 24. 06 mg/g, 5. 79 mg/g and 3/ 10 mg/g of amygdalin in the MeOH extract and 3. 59 mg/g, 5. 41 mg/g and 13. 48 mg/g of benzaldehyde in the MeOH extract hydrolyzed with ${\beta}-glucosidase$ were contained respectively. The MeOH extract of Mume Semen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two species of bacteria (E. coli and B. subtilis) while that of Armeniacae Semen showed mild, and that of Persicae Semen showed no effect. Against A. niger, a strong antifungal activity was observed with Armeniacae Semen and only mild activities with Persicae Semen and Mume Semen. None oh the three inhibited the growth of S. cervisiae. The above results may possibly be suggestive of the correlationships between the contents of amygdalin and benzaldehyde in the test extracts with the antimicrobial potencies.

  • PDF

매실 와인의 제조공정에 따른 아미그달린(amygdalin) 함량의 변화와 품질 특성 (Change in amygdalin contents of maesil (Prunus mume) wine according to preparation steps and its characteristics)

  • 조정원;김병용;최수진;정진부;김현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2-47
    • /
    • 2019
  • 매실청을 제조한 후 매실을 제거하지 않은 매실청(MW1)과 매실을 제거한 매실청(MW2)을 발효하여 매실 와인을 제조하였다. 매실청은 당침 기간이 증가하면서 아미그달린 함량은 증가하였다. 매실 와인 제조과정별 아미그달린 함량을 비교하면, MW1이 MW2보다 모든 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아미그달린을 함유하고 있었다. 매실청의 희석부터 효모의 첨가까지는 아미그달린 함량의 변화는 유의적이나 공정별 차이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MW1의 경우 1차 발효 후 아미그달린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후 2차 발효와 병입까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MW2는 효모 첨가 후 1차와 2차 발효를 거쳐 병입될 때까지 미미하지만 유의적으로 아미그달린 함량이 감소하였다. 완성된 매실 와인의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아미그달린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MW1이 MW2보다 아미그달린 함량에 있어 빠른 감소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매실 와인들의 알코올 함량은 숙성 초기에 10.11-10.94%이었으며, 3개월 숙성 후 9.87-10.30%를 나타내었고, 처리군들 사이에서 또는 숙성기간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pH와 적정산도는 숙성기간이 연장되면서 유의적인 변화가 없거나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MW2에 비해 MW1의 pH는 낮고, 적정산도는 높았다. 색 특성은 숙성기간이 증가하면서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지만, MW1이 MW2보다 밝은 색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낮은 도수의 술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의 최근 술 소비 패턴과 최소한의 아미그달린 함량을 고려할 때, 전통적으로 높은 알코올 농도의 담금주에 매실을 재어 침출하는 침출주 형태보다는 효모에 의해 매실청을 발효시켜 제조하는 매실 발효주(와인)이 매실주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미그달린 저감화 매실청의 독성동태학적 및 경구독성 연구 (Toxicokinetics and oral toxicity of Maesil-cheongs with reduced amygdalin levels)

  • 김현진;고미란;유진;황지수;최현우;김현석;최수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29-63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및 UVC 처리에 의해 매실청에 존재하는 아미그달린 저감화 공정을 개발하여 아미그달린 저감화 매실청에 대한 독성을 독성동태학적 및 14일 반복 경구투여에 의해 평가하였다. 독성동태학적 연구 결과, 플라즈마 및 UVC 처리에 의한 아미그달린 저감화 매실청 투여에 의해 아미그달린의 경구 흡수량이 약 3.7, 3.4배 감소하여 저감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미그달린 저감화 매실청의 14일 반복 경구독성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몸무게 변화, 식이 및 물 섭취량, 절대장기 및 상대 장기 무게, 혈액학적 및 혈청학적 분석, 조직 병리학적 분석에서 유의미한 독성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 플라즈마 및 UVC 처리에 의한 아미그달린 저감화 매실청의 독성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공정은 매실청뿐만 아니라 아미그달린 함유 다양한 제품의 저감화 공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of Prebrewed Armeniacae Semen in Rats

  • Park, Ji-Ha;Seo, Bu-Il;Cho, Su-Yeon;Park, Kyu-Ryul;Choi, Seung-Hoon;Han, Chang-Kyun;Song, Chang-Hyun;Park, Soo-Jin;Ku, Sae-Kwa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91-98
    • /
    • 2013
  • Armeniacae semen (AS) has been considered a toxic herb in the Korean medicine as it contains hydrogen cyanide and amygdalin, especially in its endocarp. Therefore, prebrewed AS that is devoid of endocarp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the present study, amygdalin content of the prebrewed AS was significantly lower ($2.73{\pm}0.32{\mu}g/ml$; p<0.01) than the content in the extract that contained the endocarps ($28.50{\pm}6.71{\mu}g/ml$); amygdalin content corresponded to 10% of the extract in the present study. Because of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prebrewed AS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Guidelines (2009-116, 2009), which was based on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of prebrewed AS, mortality due to toxic principles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is study, 2,000 mg/kg of prebrewed AS led to death of 1 female rat and 1 male rat at the end of 2 hr of administ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50% lethal dose in both male and female rats was determined to be 9279.5 mg/kg. Seizure, loss of locomotion, and increases in respiration and heart rate were observed as prebrewed AS treatment-related toxicological signs; these signs were restrictedly manifested in the prebrewed AS (2,000 mg/kg)-treated rats. In addition, no changes were observed in body weight, organ weight, gross features, and histopathological parameters with 2,000 mg/kg of AS in both male and female rats. These findings serve as direct evidence that amygdalin in AS is the toxic principle, which can be reduced by the traditional prebrewing method involving the exclusion of endocarp.

아미그달린의 투여경로에 따른 면역생물학적 연구 (Immunobiological Studies on Route of Administration of Amygdalin)

  • 김정훈;강태욱;박찬봉;차광재;안영근
    • 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02-211
    • /
    • 1996
  •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male Sprague-Dawley rats to investigate the immunobiological effects on route of administration of amygdalin(AM). Rats were administered orally at 12.5, 25, or 50mg/kg/day of AM or injected wtih 25,50, or 100mg/kg/day of AM intravenously for 2 weeks. Rats were immunized and challenged with sheep red blood cells(SRB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1) In oral administration of AM, body weight gai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50mg/kg AM as compared with controls, the relative weights of liver and thymus also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12.5 and 25mg/kg AM. However, 2-mercaptoethanol-resistant hemagglutination titier (2-MER HA), Plaque forming cells (PFC) and rosette forming cells (RFC) were non-dose dependently decreased. Phagocytic activity and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DTH) reaction als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50mg/kg AM. (2) In intravenous injection of AM, body weight gains, hemagglutination titer (HA), 2MER-HA, DTH reaction, PFC, RFC and circulating leukocytes were not influenced by AM. However, the relative weights of liver, spleen and thymu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100mg/kg AM.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AM non-dose dependently suppresses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y in SD rats, and that intravenous injection of AM is unaffected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y, however, the high dose of it significantly enhances phagocytic activity.

  • PDF

Rhizopus japonicus가 생산하는 인삼 Saponin 전환효소의 효소학적 특성 (Enzymatic Properties of the Convertible Enzyme of Ginseng Saponin Produced from Rhizopus japonicus)

  • 김상달;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6-130
    • /
    • 1989
  • 인삼 saponin 중에서 조성 비율이 가장 큰 ginsenoside R $b_1$을 약효면에서 훨씬 우수한 ginsenoside-Rd로 선택적 전환할 수 있는 전환효소를 Rhizopus japonicus 배양물로부터 순수하게 정제한 후 그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효소는 pH 4.8~5.0, 45$^{\circ}C$에서 그 활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pH4~9의 범위에서 안정하였고, pH5.0에서 6$0^{\circ}C$ 열처리할 경우 50% 실활하는데 2시간이 소요되었다. M $n^{++}$, F $e^{++}$에 의해 효소활성이 촉진되었으며 C $u^{++}$, A $g^+$에 의해서는 저해되었다. 효소 저해제중에는 EDTA, o-phenanthroline 등에 의해 저해되기도 했다. 본 효소는 당류중에는 gentiobiose, cellulose만을, glycoside 중에서는 amygdalin, purnasin, salicin 등을 분해할 수 있었으며 ginsenoside R $b_1$, 이외의 다른 ginsenoside는 전혀 분해할 수 없었다. 본 효소의 Km치는 total saponin 기질 및 ginsenoside Rb group saponin 기질은 ginsenoside R $b_1$으로서 5.0mM 이었으며, gentiobiose는 4.8mM, amygdalin은 3.7mM 이었다.

  • PDF

가열조리방법을 통한 행인 내 시안화합물의 저감화 (Removal of Cyanogenic Compounds in Apricot Kernel during Heating Process)

  • 도병경;권훈정;이동하;나안희;최윤주;이숙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5-400
    • /
    • 2007
  • 한약재로 주로 이용되는 행인은 약리작용이 강하고 독성작용을 나타내는 아미그달린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아미그달린의 다량 섭취 시 호흡곤란 등의 급성독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섭취시에는 Konzo나 열대성 운동신경장애와 같은 만성독성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이에 여러 가지 조리 방법을 통해 식물체 내 시안화합물의 잔류량을 줄이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통, 절편, 가루 형태의 행인을 건식가열법 또는 습식가열법을 이용하여 조리하였고, 일반적으로 조리 및 가공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총 시안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pH 1의 염산 용액에 한 시간 동안 습식가열한 행인의 경우 약 90%정도 시안화합물이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시안화합물의 저감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40^{\circ}C$에서 장시간 보관하는 것은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시안화합물을 함유한 식물체의 식품으로의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매실추출제품의 시안화합물 분석법에 관한 연구 (Analytical Determination of Cyanide in Maesil (Prunus mume) Extracts)

  • 김은정;이휘재;장진욱;김인영;김도형;김현아;이수민;장호원;김상엽;장영미;임동길;이선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0-135
    • /
    • 2010
  • 건강기능식품공전에서 유해물질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매실추출제품 중 시안화합물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피크린산지법, 효소-피크린산지법, IC 및 HPLC를 이용한 기기분석법을 검증하고 비교하였다. 먼저, 피크린산지법은 가장 분석소요시간이 짧았으며, 0.01 mg/$200\;mL\;CN^-$에서 피크린산지의 변색이 관찰되었으나, 배당체 형태의 아미그달린으로부터 유래되는 시안화합물을 검출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반면, $\beta$-glucosidase를 이용한 효소-피크린산지법은 아미그달린으로부터 유래되는 시안화합물을 포함한 총 시안화합물의 정성분석 및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정량 분석이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IC 및 HPLC를 이용한 시안화합물 분석법은 유리되어 있는 시안화합물과 아미그달린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 서로 다른 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며, 분석시간 또한 가장 많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미루어 볼 때, 매실추출제품에 존재하는 시안화합물 분석법으로는 효소-피크린산 지법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of Persicae Semen Aqueous Extracts in Mice

  • Cho, Hun-Bum;Park, Ji-Ha;Seo, Bu-Il;Cho, Su-Yeon;Park, Kyu-Ryul;Choi, Seung-Hoon;Han, Chang-Kyun;Song, Chang-Hyun;Park, Soo-Jin;Ku, Sae-Kwang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24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ingle dose toxicity of Persicae Semen (PS) in ICR mice. Methods : Aqueous extracts of PS (Yield = 18.60%) were administered as an oral dose of 2,000, 1,000 and 500 mg/kg (body weight)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guidelines (2009-116, 2009). Animals were monitored for the mortality and changes in body weight, clinical signs and gross observation during 14 days after dosing, upon necropsy; organ weight and histopathology of 12 principle organs were examined. Results : Amygdalin contents in PS aqueous extracts were detected as $32.50{\pm}5.96{\mu}g/ml$. We could not find any PS extracts treatment related mortalities, clinical signs, changes on the body and organ weights, gross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up to 2,000 mg/kg in both female and male mice, except for transient and slight loss of locomotion detected in female and male mice treated with 2,000 mg/kg. In addition, pharmacological immunomodulatory effects related findings were also demonstrated in 2,000mg/kg treated female and male mice as hypertrophy and hyperplasia of lymphoid cells in the submandibular lymph nodes.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the approximate lethal dose (ALD) of PS extracts after single oral treatment in female and male mice were considered above 2,000 mg/kg, respectively. It should be carefully used in clinics because the possibilities of respiratory or neurological disorders were observed when administered over 2,000 mg/kg of PS extract related to amygda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