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opecia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31초

미백, 보습 및 탈모방지에 대한 황칠나무(Dendropanax modifera Lev.)에서 분리한 1-tetradecanol, β-sitosterol의 효과 (Effects of 1-tetradecanol and β-sitosterol Isolated from Dendropanax morbifera Lev. on Skin Whitening, Moisturizing and Preventing Hair Loss)

  • 이선영;최은진;배동혁;이동욱;김선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3-83
    • /
    • 2015
  • 황칠나무(Dendropanax mobifera Lev.)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수종으로 대한민국 남쪽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전통적인 민간요법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피부에서의 효능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황칠나무 잎의 열수추출물과 n-hexane 분획물에서 1-tetradecanol과 ${\beta}$-sitosterol 성분을 분리정제하여 다양한 피부개선효과와 탈모방지효과를 검증하였다. 1-tetradecanol의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는 열수추출물과 n-hexane분획물 보다 높은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B16F10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1-tetradecanol은 세포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을 이용한 경표피수분손실량(TEWL)에서도 1-tetradecanol에서 수분 손실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beta}$-sitosterol의 탈모 방지에 대한 효과는 HR-1 hairless mice의 성장 주기별 특성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beta}$-sitosterol을 처리한 마우스의 탈모는 지연되었고 모발의 밀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황칠 n-hexane분획물에서 분리한 1-tetradecanol과 ${\beta}$-sitosterol이 미백과 보습 용도의 화장품 기능성 원료 및 탈모 개선에 가능성이 있는 화장품소재로서 상업적 발전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Afatinib 표적항암치료를 시행 중인 흉막 전이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한방치료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Pleural Metastasis Following Targeted Chemotherapy with Afatinib)

  • 김균하;강희경;김소연;한창우;박성하;윤영주;이인;권정남;홍진우;최준용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255-1264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on a patient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pleural metastasis who had been treated with afatinib. Method: A 61-year old female patient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pleural metastasis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s, including Yijung-tang, Haengso-tang, Samchulkunbi-tang, Paeamju-bang (Feiai zhu fang), to control various symptoms caused by afatinib. The degree of pain was assessed by a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the quality of life was determined with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30 (EORTC QLQ-C30) and the EORTC 13-item lung cancer-specific module (EORTC LC-13). Results: After receiving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s, the patient showed improvement in her back and chest pain, according to the NRS score. Similarly, the Korean medicinal treatments significantly relieved her nausea, vomiting, diarrhea, hemoptysis, and alopecia. However, the EORTC QLQ-C30 assessment suggested that Korean medicinal treatments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the global health status of this patient. Conclusion: Korean medicine could be useful in relieving some of the symptoms occurring after conventional afatinib treatments.

Myristoleic Acid Promotes Anagen Signaling by Autophagy through Activating Wnt/β-Catenin and ERK Pathways in Dermal Papilla Cells

  • Choi, Youn Kyung;Kang, Jung-Il;Hyun, Jin Won;Koh, Young Sang;Kang, Ji-Hoon;Hyun, Chang-Gu;Yoon, Kyung-Sup;Lee, Kwang Sik;Lee, Chun Mong;Kim, Tae Yang;Yoo, Eun-Sook;Kang, Hee-K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9권2호
    • /
    • pp.211-219
    • /
    • 2021
  • Alopecia is a distressing condition caused by the dysregulation of anagen, catagen, and telogen in the hair cycle. Dermal papilla cells (DPCs) regulate the hair cycle and play important roles in hair growth and regeneration. Myristoleic acid (MA) increases Wnt reporter activity in DPCs. However, the action mechanisms of MA on the stimulation of anagen signaling in DPCs is not know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MA on anagen-activating signaling pathways in DPCs. MA significantly increased DPC proliferation and stimulated the G2/M phase, accompanied by increasing cyclin A, Cdc2, and cyclin B1. To elucidate the mechanism by which MA promotes DPC proliferation, we evaluated the effect of MA on autophagy and intracellular pathways. MA induced autophagosome formation by decreasing the levels of the phospho-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phospho-mTOR) and increasing autophagy-related 7 (Atg7) and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A/1B-light chain 3II (LC3II). MA also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levels of Wnt/β-catenin proteins, such as GSK3β (Ser9) and β-catenin (Ser552 and Ser675). Treatment with XAV939, an inhibitor of the Wnt/β-catenin pathway, attenuated the MA-induced increase in β-catenin nuclear translocation. Moreover, XAV939 reduced MA-induced effects on cell cycle progression, autophagy, and DPC proliferation. On the other hand, MA increased the levels of phospho (Thr202/Tyr204)-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s (ERK). MA-induced ERK phosphorylation led to changes in the expression levels of Cdc2, Atg7 and LC3II, as well as DPC prolifer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MA promotes anagen signaling via autophagy and cell cycle progression by activating the Wnt/β-catenin and ERK pathways in DPCs.

칸나비디올(CBD)의 항산화 활성 및 인간 모유두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of Cannabidiol (CBD) and Effect on Its Proliferation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 김수현;심규상;천정윤;장재웅;정수진;서예희;안혜명;송봉근;권기석;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4-241
    • /
    • 2023
  •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 대마초 및 대마제품을 합법화하고 대마를 이용한 다양한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마에는 생물학적 효과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여러 화합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모유두 세포(HDPC)의 모발 성장에 대한 칸나비디올(CBD)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6-sulfonic acid) (ABTS) 및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분석법을 활용하여 CBD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모유두 세포에서 CBD의 세포생존률은 WST-1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CBD 처리에 의한 모유두 세포에서 모발 성장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은 real-time PCR 및 western blot으로 측정하였다. CBD의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DPPH 및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의 IC50 값은 각각 15.46±0.24 μM 및 13.90±0.06 μM으로 뛰어난 활성 산소 제거능을 나타냈다. CBD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세포 증식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모유두 세포에서 Real-Time PCR과 Western blotting을 통해 모발 성장 관련 인자를 측정한 결과, CBD 처리로 인하여 성장 관련 인자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은 CBD는 모유두 세포에서 세포 증식을 증가시키고 모발 성장 관련 인자들을 긍정적으로 조절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CBD가 탈모증에 대한 잠재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Lgr5와 결합하는 신규 헵타펩타이드를 이용한 인체 모낭 세포의 활성과 모낭줄기세포 분화 유도 (Novel Heptapeptide Binds to the Lgr5 Induces Activation of Human Hair Follicle Cells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Hair Follicle Bulge Stem Cells)

  • 김민웅;이응지;길하나;정용지;김은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75-8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7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헵타펩타이드의 Lgr5 binding에 따른 인체 모낭 구성 세포의 활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시스템을 이용하여 헵타펩타이드가 Lgr5에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체 모유두세포(human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HHFDPC)에 헵타펩타이드를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세포 증식이 나타났으며 β-catenin의 세포 내핵 이동 및 하위 유전자인 LEF1, Cyclin-D1, c-Myc의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세포 증식 기전 관련 인자인 Akt와 ERK의 인산화 수준이 증가되었으며, 성장인자인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keratinocyte growth factor (K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발현이 유도되었다. 또한 인체 모모세포(human hair germinal matrix cell, HHGMC)의 분화 관련 전사 인자와 인체 외모근초세포(human hair outer root sheath cell, HHORSC)의 분화 표지 인자들도 헵타펩타이드 처리 시 높은 발현율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헵타펩타이드의 인체 모낭줄기세포(human hair follicle stem cell, HHFSC) 분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HHFSC 표지인자들의 mRNA와 단백질 수준이 감소하였고 반면에 분화 표지인자들은 증가하였다. 상기의 결과들은 헵타펩타이드가 인체 모낭 구성 세포에서 Wnt/β-catenin 경로를 촉진시켜 증식 또는 분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헵타펩타이드는 모발 성장을 유도하고 탈모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궁비대시험 연구에서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파라벤의 내분비독성 (Oestrogenic Activity of Parabens in Uterotrophic Assay)

  • 조은혜;정지윤;박철범;박선희;심용희;강대혁;이성호;유종훈;김선중;이성훈;박정란;이영순;강경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8-128
    • /
    • 2006
  • 본 시험은 암컷 랫드에 파라벤류(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를 생후 19일령부터 21일령까지3일간 투여하여 자궁비대반응을 관찰하고, 이를 토대로 시험물질의 내분비계 장애작용을 검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시험의 투여기간 동안 사망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용량결정시험에서 관찰된 것과 같이 투여부위의 피하결절 및 부종의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점차 투여부위의 탈모 및 가피형성 등의 과정을 거치면 발전되었다, 이러한 증상은 투여용량이 다소 낮은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에서 발생하지 않아, 분말상태의 시험물질이 고용량으로 현탁되어 투여되며 생긴 물리적인 영향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시험물질의 에스트로겐성의 영향과는 무관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체중, 사료 및 음수섭취량에서 대조군과 시험물질간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혈중 호르몬 농도에서 혈중 에스트로겐의 농도는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에틸 파라벤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고, 이외의 시험물질에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중 난포자극 호르몬 및 혈중 황체형성 호르몬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아 파라벤류에 의한 혈중 에스트로겐, 난포자극 호르몬 및 황체형성 호르몬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장기중량에서 생식기계를 제외한 장기에서 시험물질에 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또한 난소 및 질의 중량에서 시험물질과 연관된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자궁의 wet weight 및 blotted weigh에서는 각 시험물질군에서 대조군에 대해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소부틸 파라벤 투여군은 모든 용량군이 자궁중량에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여 가장 에스트로겐성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되었고, 250 및 1,000 mg/kg 투여군에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인 이소프로필 투여군이 그 다음으로 에스트로겐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검결과, 자궁의 확장정도는 자궁의 중량에서 관찰된 바와 대부분 일치하였으며,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자궁상피세포를 관찰한 결과, 이소부틸 파라벤 투여군이 가장 높은 세포질과 핵의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이소프로필 파라벤 및 부틸 파라벤 1,000 mg/kg 투여군에서는 다소 작게 관찰되었다. 자궁의 영상분석결과, 대부분의 시험물질투여군에서 자궁직경의 장축 및 단축, 자궁벽의 최소 및 최대치에서 대조군에 대해 유의성있는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이소부틸 파라벤 투여군의 경우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에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이소프로필 파라벤, 부틸 파라벤, 이소부틸 파라벤에서 자궁비대 반응이 관찰되어 파란벤류의 물질은 내분비 장애물질로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소부틸 파라벤이 가장 높은 에스트로겐성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검은콩과 발효검은콩 추출물이 인간 모유두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lack Soybean and Fermented Black Soybean Extracts on Proliferation of 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 최지혜;이명숙;김현정;권정일;이윤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71-680
    • /
    • 2017
  • 본 연구 결과 검은콩 물 에탄올 추출물과 Lactobacillus rhamnosus GG(LGG)와 Bifidobacterium animals subsp. lactis BB-12(BB-12)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검은콩 물 에탄올 추출물의 발효 전과 후의 성분변화를 분석하고, 검은콩과 검은콩 발효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rimary 인간 모유두 세포(HFDPC)에 검은콩 추출물(BWE, BEE)과 발효검은콩 추출물(BWE-F, BEE-F)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정 처치 농도를 결정하여 모발 성장촉진(VEGF와 KGF/FGF7)과 억제($TGF-{\beta}1$과 AR)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나아가 검은콩 추출물이 HFDPC의 생존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Akt와 Erk의 인산화 활성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LGG와 BB-12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검은콩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 총폴리페놀, 총당 환원당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검은콩 4종 추출물(BWE, BEE, BWE-F, BEE-F) 중 BWE, BEE, BWE-F가 VEGF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키고, 모든 처리군에서 KGF/FGF7의 mRNA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BWE, BEE, BWE-F가 Erk의 활성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검은콩 물 추출물과 검은콩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발효검은콩 물 추출물이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세포성장에 모발 성장 촉진인자의 활성과 Erk의 활성화 등을 통한 기전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모발 성장 및 모발 건강을 위한 기능성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산균 2종(LGG, BB-12)을 이용한 발효검은콩이 검은콩과 비교하여 모발 성장 촉진 관련 단백질 발현에서는 유의적인 우월성을 가지지는 않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다른 유산균 균 총을 이용한 발효검은콩의 연구와 더불어 보다 정밀한 발효를 통한 검은콩 추출물의 성분과 조성의 변화를 바탕으로 한 모발 성장 및 모주기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백미대맥(白米大麥) 및 속(粟) 사료(飼料)가 실험용(實驗用) 백서(白鼠)에 미치는 영양학적(營養學的) 및 생물화학적(生物化學的) 연구(硏究) (Biochemical and Nutritional Effects of Rice, Barley, and Millet on Rats)

  • 허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권1호
    • /
    • pp.9-18
    • /
    • 1968
  • Dividing into six(6) experimental groups; Stock Diet(SD) Group, Rice Diet(RD) Group, Rice Diet supplemented with Barley(RD-BD) Group, Barley Diet(BD) Group, Rice Diet supplemented with Millet(RD-MD) Group, and Millet Diet(MD) Group, biochemical and nutritional effects of rice, barley, and millet on rats are studied. The grains used in this experiment are polished ones and purchased from market. Six(6) weaning male albino rats are housed into the individual cages in each group and fed with each experimental diet and water ad libitum for 21 weeks. The composition of the experimental diets are shown in Table 1. At the end of experiment, the appearences of rats are observed and the bloods are sampled by heart puncture method following ether anesthesia for determinations of serum protein and serum cholesterol. And the livers are sampled immediately right after heart after heart puncture for determinations of liver weight, liver nitrogen, liver fat, and liver glycogen. And also liver tissues are observed histologically. The result of growth experiment is shown in Table 2 and Figure 7. The results of blood analysis are shown in Table 3 and the results of liver analysis are shown in Table 4. And the histological observations of liver tissue are shown in Figures 1, 2, 3, 4, 5, and 6.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ormal appearences are observed at SD Group and BD Group. Alopecia is observed at RD, RD-­BD, RD-MD, and MD groups and the wet appearences of hair are observed at RD-MD and MD groups. The color of hair is changed to yellowish white at RD, RD-MD groups. The maximum growth inhibition, is observed at MD group and the growths of RD, RD-BD, BD, and RD-MD groups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D group. The growth of RD group is lower than those of RD-BD and BD groups, though this difference is not significant. 2) At the blood analysis, the highest serum protein content is shown at SD group and the lowest serum protein is observed at MD group. The serum cholesterol content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ix(6) experimental groups. 3) The highest liver weight is observed at SD group and the lowest weight is shown at MD group. However, oppositely the highest liver weight per 100 grams of body weight at MD group and the lowest liver weight per 100 grams of body weight at SD group are observed as shown in Table 6. 4) The differences of liver nitrogen contents of RD, RB-BD, BD, RD-MD, and MD Groups are not significant except SD group showing the highest content. 5) The significant highest content of liver fat is observed at RD group and the lowest content of liver fat is shown at SD group.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s of liver glycogen are observed among the six(6) experimental groups. 6) No significant abnormal histological changes of liver tissue are observed at SD, RD-BD, and BD groups. However, the fat metamorphosis at peripheral zone of liver tissue is observed at RD Group and the some histological abnormal changes are observed at RD-MD and MD groups. According to the above summaries, the followings might be estimated and recommended; 1) The BD group shows histological normality of liver tissue, improvement of liver fat and liver nitrogen, normality of appearence, and better growth compared with RD Group. This could be indicated that barley is nutritionally and biochemically better than rice as the feeding diet on rat. And it might be considered that there might be the species speciality for nutritionary evaluation of food. 2) Recently, Marshall indicated that the high consumption of carbohydrate causes fatty liver and Kondo reported that the higher consumption of rice causes the more heart disease and the shorter life span. Considering these reports, the higher consumption of rice as a main dish in our country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national nutritional problem. And this might be improved by supplementing with barley or other grains to rice.

  • PDF

경북지방(慶北地方)의 육성우(育成牛) 및 비육우(肥育牛)에 있어서 기생충(寄生蟲)의 감염(感染)과 질병실태조사(疾病實態調査) (Incidence of Parasitic Infections and Diseases in Rearing and Fattening Cattle Raising in Gyeongbug District)

  • 이차수;이재현;변명대;박청규;이희석;문무홍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9-197
    • /
    • 1980
  • A survey was made from March 1978 through Feb. 1979 to know infection rate of parasites and incidence of diseases in 1968 cattle of 240 rearing and fattening cattle herds (1746 Korean native cattle, 186 Holstein, 34 Charolais and 2 Hereford) raising in 28 cities and counties of Gyeongbug district.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e of nematoda infection was about 49.0% in the examined cattle. These nematodes were identified as Mecistocirrus sp., Oesophagostomum sp., Bunostomum sp., Trichostrongylus spp., Strongyloides sp. and other 3 species. Infection rate of nematoda in fattening and breeding cattle was higher than that in rearing calves, 44.3% of the positive cattle were infected with 2 to 5 species, and incidence of mixed infection was high in fattening cattle. 2. The rate of coccidal infection was 10.9%. Eimeria $z{\ddot{u}}rni$, Eimeria bovis and Eimeria bukidnonensis were mainly found in the examined cattle. The infection rates of cocidia in Holstein, breeding Korean cows, rearing Korean calves and fattening Korean cattle were 27.3%, 15.8%, 11.2% and 9.1%, respectively. 3. The rate of trematoda was 14.6% with Fasciola spp. (11.2%), Eurytrema spp. (2.0%), and Paramphistomum spp. infections (1.4%). Breeding Korean cows, fattening Korean cattle, Holstein and rearing Korean calves indicated 47.4%, 26.4%, 18.2% and 6.3% incidence of trematoda infections, respectively. of trematoda positive cattle, 76.6% were infected with Fasciola spp., 4. The rate of Theileria and Babesia infection was 62.7% in the examined cattle. Of these positive cattle 5.4% were infected with both parasites, 57.3% with Theileria, and 1.3% of rearing Korean calves and 22.6% of Holstein were found to have parasitized erythrocytes over 1.0%. 5. The incidence of diseases in 1968 cattle of 240 herds was 564 cattle (28.7%) of 154 herds (64.2%). of the diseases observed of skin occurred in 354 cattle (18.0%) of 61 herds (25.4%), diseases of respiratory system in 121 cattle (6.1%) of 34 herds (14.2%), diseases of digestive system in 38 cattle (1.9%) of 22 herds (9.2%), diseases of eye in 21 cattle (1.1%) of 13 herds (5.4%), diseases of urogenital system in 8 cattle (0.4%) of 8 herds (3.3%) and the other diseases in 24 cattle (1.2%) of 22 herds (9.2%). 6. Diseases of skin in 1968 cattle of 240 herds werds were observed in the highest incidence. Ringworm was observed in 13.3% of the examined herds, rearing Korean calves and Holstein showed high incidence. Scabies caused by Chorioptes bovis and alopecia localis along with infestation of lice (Damalinia bovis, Linognathus vituli) were observed in fattening Korean cattlein winter. 7. Diseases of respiratory system occurred frequently in rearing Korean cattle and Holstein. In the diseases of digestive system acute indigestion occurred in fattening Korean cittle, enteritis in rearing Korean calves and Holstein, and coccidiosis in rearing Korean calves maninly. 8. Infectious keratoconjunctivitis occurred in a fattening Korean cattle herd, sterility (2.0%) in breeding Korean cows, and theileriosis in Holstein calves were also occurred. In addition, poisoning and heat stroke were observed in several cattle.

  • PDF

개에서 Malassezia 피부염에 대한 itraconazole 치료 18례 (Efficacy of itraconazole in 18 cases of Malassezia dermatitis in dogs)

  • 정아영;허우필;정효훈;엄기동;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0-93
    • /
    • 2005
  • Malassezia 피부염으로 진단된 18두의 개를 대상으로 Itraconazole 5mg/kg을 1일 2회 경구 투여하여 치료효과를 알아보았다 치료반응을 보인 환자는 $88\%$이었으며 소양감과 피부병면은 치료후 1주일에 확연히 개선되었다. 치료대상견의 품종은 Haltese$(22\%)$, Cocker Sptuiel$(17\%)$, Pekingese$(11\%)$, Vizsla$(11\%)$이었다. 피부증상으로는 가피$(31\%)$, 탈모$(25\%)$, 색소침착$(25\%)$, 인설$(19\%)$, 발적$(13\%)$, 태선화$(11\%)$, 농포$(11\%)$ 귀부종$(11\%)$, 구진$(5\%)$의 순으로 냐타났다. 병변발생부위는 이도$(41\%)$, 액와부$(18\%)$, 서혜부$(15\%)$, 회음부$(12\%)$, 복측경부$(9\%)$, 지간부$(1\%)$, 총구부$(1\%)$ 이었다. 세포학적 검사시$61\%$의 환견에서 구균이 동시에 검출되었다. Itraconazole에 대한 임상반응은 $89\%$가 치료반응을 보였고 (2두)$11\%$는 치료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치료반응을 보인 환자 중 5두는 재발되었고 1두는 갑상선 기능저하증이었으며 나머지 4두는 재발의 원인을 확인할 수 없었다. 1두에서 투여 후 28일에 식욕결집, 침울의 증상이 발현되어 투약을 중지하였다. 따라서itraconazole을 5mg/kg을 1일 2회 경구투여는 Malassezia 피부염에 효과적인 치료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