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alase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6초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제조한 속성 멸치 액젓의 펩티드 특성 1.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멸치 액젓 및 Actomyosin의 가수분해 (Peptide Properties of Rapid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 Using Various Pretenses 1. Hydrolysis of Anchovy Sauce and Actomyosin by Various Pretenses)

  • 김인수;최영준;허민수;조영제;임영선;구연숙;여생규;박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81-487
    • /
    • 1999
  • 전통적인 발효와 유사한 가수분해 형태를 가지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최적 발효 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trypsin, chymotrypsin, Alcalase, Neutrase, Protamex와, 오징어 내장 및 간에서 추출한 조효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멸치 액젓 및 actomyosin의 가수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멸치 젓갈의 휘발성 염기질소 값은 오징어 내장을 첨가한 젓갈이 저장 70일째 173.6mg/100g으로 가장 높았고, 저장 기간에 따른 과산화물가의 증가는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lcalase와 Protamex를 첨가한 젓갈의 비단백태 질소 함량과 총 유리아미노산 증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숙성 60일째에 Alcalase와 Protamex는 육 단백질에 대해 약 $57\%$의 가수분해율을 보인 반면, 대조구는 약 $43\%$이었다. pH 5.0$\~$7.5 범위에서 멸치 actomyosin에 대하여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pH는 trypsin, chymotryosin, Alcalase, Neutrase 및 Protamex가 각각 7.5, 6.5, 6.5, 7.0 및 5.0이었고, 최적 활성을 보이는 온도는 trypsin, chymotryosin, Alcalase, Neutrase에서 각각 55, 45, 60 및 $55^{\circ}C$였으며, Protamex는 온도의 상승 ($20\~70^{\circ}C$)과 더불어 활성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Protamex는 사용한 효소 중 가장 높은 $K_m$(3.545)과 $V_{max}$값(2.688)을 나타내었고, NaCl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아 일반적인 젓갈 숙성 조건인 $20^{\circ}C$, $25\%$ NaCl에서도 $52.5\%$의 높은 잔여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rotamex가 멸치 actomyosin의 가수분해에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 PDF

자숙크릴의 일반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위한 반응표면법에 의한 알카라제 가수분해 최적화 (Comparison of General Composition of Cooked Krill and Alcalase Optimization for Maximum Antioxidative Activity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경묘;조용범;황영정;이다선;이양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숙크릴에 Alcalase를 사용하여 크릴가수분해물의 항산화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독립변수인 pH와 온도에 대한 가수분해 최적조건을 찾아 이를 기초로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크릴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 조건을 최적화 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calase를 이용한 크릴 가수분해 최적화에 있어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로는 pH, temperature로 두고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로는 단백질 분해정도의 TCA, DPPH-scavenging과 Fe-chelating activities로 하여 데이터를 SAS software를 이용하여 식을 얻고 이에 대한 3차원 그래프는 Maple software를 사용하여 얻었다. 자숙크릴의 가수분해 최적화 실험에 있어 DH효과는 pH 8.5, 온도 $66.6^{\circ}C$에서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TCA는 29.4%로 나타났다. DPPH효과는 pH 7.4, 온도 $67.5^{\circ}C$일 때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DPPH는 27.1%로 나타났다. Fe에 대한 킬레이팅효과는 pH 8.7, 온도 $65.5^{\circ}C$일 때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철에 대한 킬레이팅효과는 24.9%로 나타났다.

  • PDF

메밀 가수분해물의 항고혈압, 항균 및 항곰팡이 활성 (Antihypertensive,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Buckwheat Hydrolysate)

  • 도정룡;허인숙;백수연;윤혜숙;조진호;김영명;김기주;김상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68-27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단메밀과 쓴메밀에 Viscozyme L과 Alcalase 2.4L 효소를 첨가하여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균, 항곰팡이, 항고혈압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단메밀과 쓴메밀의 수율은 각각 7.92, 3.17%로 낮은 가수분해율을 보었으며 Viscozyme L을 첨가한 단메밀과 쓴메밀의 경우 18.70, 19.45% 그리고 Alcalase 2.4L을 첨가한 단메밀과 쓴메밀의 경우 24.65, 22.10%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메밀 가수분해물을 E. coli, S. typhimurium, P. aeruginosa, B. subtilis, S. aureus 및 L. monocytogences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Viscozyme L을 첨가한 단메밀 가수분해물이 L. monocytogences, S. typhimurium에 대해 3-7.2 mm의 clear zone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쓴메밀 가수분해물이 S. typhimurium에 대해 5.7 mm의 clear zone으로 낮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A. niger, M. miehei, P. rugullosum, A. oryzae, T. reesei 균주의 항곰팡이 활성은 Viscozyme L을 첨가한 단메밀 가수분해물이 T. reesei에 대해 3.7-12 mm의 clear zone으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ACE 저해 활성은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단메밀은 45.82%, 쓴메밀은 73.06%으로 나타났다. Viscozyme L을 첨가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단메밀은 39.39%, 쓴메밀은 46.83%로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메밀 가수분해물에 비해 낮은 ACE 저해활성을 보였다. 반면 Alcalase 2.4 L을 첨가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단메밀 61.19%, 쓴메밀 94.48%로 가장 높은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의 효소적(酵素的) 변형(變形) : 분리대두단백질(分離大豆蛋白質)의 기능성(機能性)에 미치는 단백질가수분해(蛋白質加水分解)의 영향(影響) (Enzymatic Modification of Soy Proteins: Effect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Isolate upon Proteolytic Hydrolysis)

  • 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1-217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분리(分離)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에 단백분해(蛋白分解) 효소(酵素)를 작용(作用)시킬 때 일어나는 효소반응성(酵素反應性) 및 단백질(蛋白質) 기능성(機能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사용(使用)된 효소(酵素)는 동물성(動物性)인 trypsin과 세균성(細菌性)인 alcalase 및 pronase였으며 열(熱) 처리(處理)되지 않은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에 대(對)하여 trypsin보다 세균성(細菌性) 효소(酵素)가 높은 친화력(親和力)을 나타냈으며 열(熱) 처리(處理)된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에 대(對)하여서는 효소종류(酵素種類)에 관계없이 기질농도(基質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반응(反應)이 저해(沮害)되었다. 가수분해(加水分解)된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의 전기명동(電氣鳴動) 결과(結果) alcalase가 특이적(特異的)으로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 중(中) 2S 단백질(蛋白質)에 어떤 변화(變化)를 가져오는 것이 관찰되었다. 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의 기능성(機能性)에 있어서 효소처리(酵素處理)는 등전점(等電点)에서 $25{\sim}30%$의 가용성(可溶性) 단백질(蛋白質)의 증가(增加)를 가져왔으며 또한 열(熱) 응고성(凝固性)의 증가(增加), 칼슘 침전성(沈澱性)의 감소(減少)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에멀젼 특성(特性), 거품 형성능(形成能) 및 유리(遊離) SH기(基) 등에 대(對)하여서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거품 안전성(安全性)은 크게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쌍별귀뚜라미 단백가수분해물의 제조 및 항산화 활성 (Enzymatic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tein hydrolysates from Gryllus bimaculatus)

  • 조혜린;이유정;홍지은;이승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73-479
    • /
    • 2019
  • 동결건조된 쌍별귀뚜라미 분말을 4%(w/v)의 기질용액으로 제조한 후, 기질 대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alcalase, flavourzyme, neutrase, bromelain, papain)를 1%(w/v) 첨가 하여 24시간 가수분해시킨 단백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각 효소별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SDS-PAGE와 available amino group 함량을 측정하여 확인한 결과, flavourzyme 단백가수분해물이 가장 높은 가수분해도를 보인 반면 bromelain과 papain은 상대적으로 낮은 가수분해도를 보였다. 가수분해도가 높았던 3종의 효소(alcalase, flavourzyme, neutrase)를 이용하여 제조한 단백가수분해물을 각각 한외여과막을 통해 분자량 3 kDa 이하로 분리한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경우 flavourzyme이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neutrase, flavourzyme 및 alcalase 단백가수분해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H_2O_2$ 소거활성은 alcalase와 flavourzyme 단백가수분해물이 neutrase 단백가수분해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FRAP법은 flavourzyme, alcalase, neutrase 단백가수분해물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저분자 펩타이드 생산 효율이 가장 높았던 쌍별귀뚜라미 flavourzyme 단백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농도별 linoleic acid 과산화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과산화 억제 활성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고단백질 소재인 쌍별귀뚜라미로부터 여러 단백분해효소원들을 이용한 단백가수분해물 제조 특성 및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번 연구는 향후 식용곤충 유래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식용곤충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기농 유청 단백 가수분해의 최적 효소 선발 (Optimal Enzyme Selection for Organic Whey Protein Hydrolysis)

  • 서형주;신중철;김재환;장주현;한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59-136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at the optimal hydrolysis conditions of endo- and exo-type enzymes were selected to utilize organic cheese byproducts. Optimal substrate concentration and optimum enzyme ratio were measured by using 4 kinds of endo-type enzymes (alcalase, neutrase, protamex, and foodpro alkaline protease) and two exo-type enzymes (flavourzyme and prozyme 2000P) for whey protein hydrolysis were analyz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 As a result, the optimal endo-type enzyme through the first enzyme reaction was selected as alcalse, and as a result of the secondary enzyme reaction, flavourzme was selected as the Exo type enzyme. The concentration of whey protein substrate for optimal primary and secondary enzyme reactions was 10%. In addition, the optimum ratio of enzyme was 0.5% of alcalase and 0.2% of flavourzyme, which showed low molecular weight chromatography pattern compared to 2% of alcalase and 1% of flavourzyme hydrolyzate. Therefore, hydrolyzing the endo-type enzyme alcalase at a concentration of 0.5% for 10 hours and then hydrolyzing the exo-type enzyme flavouryme at a concentration of 0.2% for 4 hours was considered to be the optimum condition.

Hydrolysis by Alcalase Improves Hypoallergenic Properties of Goat Milk Protein

  • Jung, Tae-Hwan;Yun, Sung-Seob;Lee, Won-Jae;Kim, Jin-Wook;Ha, Ho-Kyung;Yoo, Michelle;Hwang, Hyo-Jeong;Jeon, Woo-Min;Han, Kyoung-Si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16-522
    • /
    • 2016
  • Goat milk is highly nutritious and is consumed in many countries, but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from goat milk has been slow compared to that for other types of mil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goat milk protein hydrolysate (GMPH) with enhanced digestibility and better hypoallergenic properties in comparison with other protein sources such as ovalbumin and soy protein. Goat milk protein was digested with four commercial food-grade proteases (separately) under various conditions to achieve the best hydrolysis of αs -casein and β-lactoglobulin. It was shown that treatment with alcalase (0.4%, 60℃ for 30 min) effectively degraded these two proteins, as determined by SDS-PAGE, measurement of nonprotein nitrogen content, and reverse-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ydrolysis with alcalase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β-lactoglobulin concentration (almost to nil) and a ~40% reduction in the level of αs-casein. Quantification of histamine and TNF-α released from HMC-1 cells (human mast cell line) showed that the GMPH did not induce an allergic respons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Hence, the GMPH may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novel foods for infants, the elderly, and convalescent patients, to replace cow milk.

Alcalase에 의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항원성 저감 효과 (Reduction in antigenesity of whey protein by alcalase)

  • 유재민;렌친핸드;;정석근;백승희;남명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4호
    • /
    • pp.359-365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enzymatic hydrolysis of ${\alpha}$-LA, ${\beta}$-LG and BSA with alcalase for the possible application of hypoallergenic foods toward cow's milk allergenic infant. The molecular weights of most of the peptides in hydrolysates from ${\alpha}$-LA, ${\beta}$-LG and BSA by alcalase were below 3,000 dalton. Antigenesity of ${\alpha}$-LA, ${\beta}$-LG and BSA hydrolysates to rabbit anti-${\alpha}$-LA antiserum, ${\beta}$-LG antiserum and BSA antiserum were remarkably decreased by more than $10^{-3}$ at 20% inhibitionrate. Antigenesity of polyvalent antigenic peptide in ${\alpha}$-LA, ${\beta}$-LG and BSA hydrolysates to specific rabbit anti-${\alpha}$-LA antiserum, ${\beta}$-LG antiserum and BSA antiserum was determined by PCS test using guina-pig. Hydrolysates of ${\alpha}$-LA, ${\beta}$-LG and BSA with less than 3,000 dalton did not show polyvalent antigenic reaction against rabbit antiserum. Hydrolysates of ${\alpha}$-LA, ${\beta}$-LG and BSA could be a source for the manufacturing of hypoallergenic food.

달걀 단백질의 Allergenicit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lergenicity of Egg Protein)

  • 정은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28-236
    • /
    • 1998
  • 달걀의 Allergenicity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물리적 처리, 축합 인산염 처리 및 효소처리를 하여 Guinea pig를 이용한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PCA) inhibition 실험과 Non Proteic Nitrogen(NPN)정량을 통한 가수분해율의 측정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달걀의 allergenicity는 가열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가열시간이 길수록 단백질 가수분해율 및 PCA inhibition을 증가 시켰다. Ultraviolet 조사와 Microwave 조사는 단백 가수분해율과 PCA inhibition을 증가 시켜서 allergenicity를 저하시켰으며 ultraviolet이 저해효과가 더 컸으며 부화 달걀은 allergenicity를 감소시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처리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율 및 PCA inhibition을 증가 시키며 allergenicity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alcalase의 재해효과가 더 컸다. Polyphosphate의 참가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는 유도하지 않았으나 PCA inhibition을 증가 시키며 allergenicity를 감소시켰다. Allergenicity를 감소시키기 위한 처리를 한 달걀 gel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효소처리 시 표면이 밝게 나타나서 단백질이 분해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neutrase가 alcalase보다 밝게 나타났으나 반응시간의 증가에 따라 모든 효소 표면이 밝게 나타났다. Instron에서 달걀 gel의 경도를 측정한 결과 효소와의 반응시간이 길수록 경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살 오징어(Todarodes pacificus) 간췌장 유래 Aminopeptidase 활성획분에 의한 Alcalase 처리 멸치(Engrauris japonica) 가수분해물의 쓴맛 개선 최적화 (Optimization of Reduced Bitterness of Alcalase-treated Anchovy Engrauris japonica Hydrolysate by Aminopeptidase Active Fraction from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 윤인성;김진수;이정석;권인상;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724-732
    • /
    • 2021
  • This study use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s to reduce the bitterness of alcalase-treated anchovy hydrolysate (AAH) by the aminopeptidase active fraction (AAF) derived from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hepatopancreas.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selected AAF/AAH ratio (X1, %) and hydrolysis time (X2, h)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gree of hydrolysis (Y1) and bitterness (Y2) as dependent variables. The uncoded values of the multiple response optimization for independent variables were 3.4% for the AAF/AAH ratio and 9.2 h for the hydrolysis time. The predicted values of the yield and bitterness score of alcalase-AAF continuously treated anchovy hydrolysate (AAAH)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68.9% and 4.6 points, respectively. Their measured values of 69.5% for yield and 4.6±0.5 points for bitterness were similar to the predicted values. The food components of AAAH were 91.4% (moisture), 7.5% (protein), 0.1% (lipid) and 0.6% (ash). The findings indicate the potential value for use as an anchovy seasoning base. The results also confirm that the bitterness of AAH was remarkably improved by AAF and implicates AAF derived from squid hepatopancreas as a good enzyme to catalyze reduced bitter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