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41초

Hypoglycemic Effects of Exo-biopolymers Produced by Five Different Medicinal Mushrooms in STZ-induced Diabetic Rats

  • Yang, Byung-Keun;Kim, Guk-Nam;Jeong, Yong-Tae;Jeong, Hun;Mehta, Pradeep;Song, Chi-Hyun
    • Mycobiology
    • /
    • 제36권1호
    • /
    • pp.45-49
    • /
    • 2008
  • Hypoglycemic effects of exo-biopolymers (EBP) produced by submerged mycelial cultures of Coriolus versicolor, Cordyceps sinensis, Paecilomyces japonica, Armillariella mellea, and Fomes fomentarius were investigated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The rats from each experimental group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EBPs (100 mg/kg BW) daily for 2 weeks. Though the hypoglycemic effect was achieved in all the cases, however, C. versicolor EBP proved as the most potent one. The administration of the C. versicolor EBP substantially reduced (29.9%) the plasma glucose level as compared to the saline administered group (control). It also reduced the plasma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by 9.22, 23.83, 16.93, and 27.31%, respectively. The sugar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this EBP were also analyzed in detail.

Hypolipidemic Effects of Biopolymers Extracted from Culture Broth, Mycelia, and Fruiting Bodies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in Dietary-induced Hyperlipidemic Rats

  • Jeong, Hun;Yang, Byung-Keun;Jeong, Yong-Tae;Kim, Guk-Nam;Jeong, Yu-Sun;Kim, Sang-Min;Mehta, Pradeep;Song, Chi-Hyun
    • Mycobiology
    • /
    • 제35권1호
    • /
    • pp.16-20
    • /
    • 2007
  • Hypolipidemic effect of biopolymers extracted from culture broth (CP), mycelia (MP), and fruiting bodies (FP)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was investigated in dietary-induced hyperlipidemic rat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administrated (100 mg/kg body weight) with different biopolymers, daily for 4 weeks. Hypolipidemic effects were achieved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however, FP was proved to be the most potent one. The administration of the FP reduced the plasma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by 24.3, 28.5, 36.4, and 40.9%, respectively, while increased the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 (9.0%), when compared to the saline (control) administered group.

쑥부쟁이 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of White Bread Containing Aster yomena Powder)

  • 김용주;정지숙;김은하;손병길;고근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1-99
    • /
    • 2016
  • 쑥부쟁이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독특한 향기가 있어 식욕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산채나물로 이용되어 왔다. 산채나물은 항산화, 항암,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로 기능성 식품으로의 관심이 높아져 다양한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쑥부쟁이 에탄올 추출물이 간세포 내 지방축적 유전자 발현 억제 및 지방축적 억제 효과, 항비만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기능성 측면에서 활용가치가 높다. 쑥부쟁이에 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되었으나 이를 활용한 가공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우리밀 가루에 쑥부쟁이 분말 첨가량을 0, 0.5, 1.0, 1.5, 2.0%로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쑥부쟁이 분말을 0.5~2.0% 첨가한 식빵은 대조구와 비교 시 외관, 향,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면에서 통계 수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소비자에게 거부감 없는 제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쑥부쟁이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총 폴리페놀 및 DPPH 라디칼 소거 등의 기능성이 증가하므로 기능성을 높인 제과제빵 및 면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Use of alternative curing salts for processing salamis

  • Yim, Dong-Gyun;Chung, Ku-Young;Jo, Cheorun;Nam, Ki-Ch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123-12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effects of different curing salts on the quality of salamis and to assess feasibility of using NaCl-alternative salts. Methods: Various types of curing salts (KCl or $MgCl_2$) as well as NaCl (sun-dried or refined) were incorporated for processing of salamis. The proximate composition, fatty acids, nucleotide-related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of the salamis were analyzed during 40 days of ripening. Results: The substitution of NaCl by KCl caused higher fat and ash content, but lower moisture content of the salami after 20 days of ripening (p<0.05). Compared with the sun-dried NaCl, use of KCl in salami also led to greater inosine 5'-monophosphate whereas refined NaCl had more inosine (p<0.05). KCl-added salami also had a higher C12:0, C17:1, and C20:0 than other types of salami (p<0.05). $MgCl_2-added$ salami had higher content of free amino acids compared to the other salamis (p<0.05). Conclusion: Alternative curing salts such as KCl and $MgCl_2$ could substitute NaCl in consideration of quality factor of a fermented meat product. Especially replacement of NaCl with KCl will be a suitable strategy for developing relatively low sodium salami products without compromising product quality.

토마토의 생산·유통단계에서 유해미생물 오염 및 추출물에서 미생물 증식 (Analyse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Cultivation and Distrubution Stage of Tomato and Evaluation of Microbial Growth in Tomato Extract)

  • 윤혜정;박경훈;류경열;김병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4-18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의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의 위해 미생물 오염도 정도를 파악하고 유통과정 중 외부 손상으로 인해 과즙 유출시 미생물의 증식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의 성장을 토마토 추출물 함량(0.1, 1.0, 10%) 및 다양한 배양온도(5, 15, 25, $35^{\circ}C$)에서 측정하였다. 수확단계에서는 APC 작업 종사자의 장갑에서 총 호기성 세균이 7.77 log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양 양액에서 대장균군과 B. cereus가 각각 0.33 log 검출되었다. 수확 후 처리과정으로 APC 과정을 거친 토마토에서 총 호기성 세균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S. aureus, Salmonella spp. 는 검출되지 않았다. 재배방법에 따른 일반, 유기농, 무기농 토마토에서의 미생물 분포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포장 방법 중 봉지 포장제품이 박스 포장제품에 비해 대장균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척에 의한 미생물 저감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토마토 추출물 함량이 높을수록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의 성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토마토 추출물 10%인 경우 $5^{\circ}C$ 조건에서 가장 낮았고, 15, 25, $35^{\circ}C$에서 72시간 배양시 각각 7.33~8.51, 7.73~8.60 log CFU/g으로 증식하였다.

축분뇨 액비 저장조의 운영실태 및 악취 물질 발생량 조사 (Investig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Operation of the Livestock Liquid Manure Bin and Assessment of Malodorant Emissions)

  • 김태일;송준익;정선;정종원;정의수;;유용희;양창범;김민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1권3로
    • /
    • pp.189-196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액비저장조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액비저장조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국내에 200톤 규모의 액비저장조를 설치한 60 농가를 대상으로 한 본 조사에서 약 $93\%$가 액비저장조를 제대로 가동을 하고 있었으며 이중 $57\%$가 액비제조시 폭기 처리하고 있었다. 2. 조사 농가 중 년간 액비의 활용 횟수는 2회가 $50\%$로 나타났고 액비의 부숙 효과를 높이고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64\%$가 미생물제제를 첨가하고 있었다. 반면에 액비 이용시 인력 장비의 비용 및 악취물질 발생 저감을 위한 첨가제 비용이 $43\%$로 조사되어 액비이용 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3. 액비 제조 형태별 악취물질 발현양상으로 호기 제조시 액비저장조내에서는 iso-valeric acid가 0.012에서 0.07ppm, Propionic acid가 $0.17\~2.85ppm$의 범위로 검지되었으며 혐기 제조시에는 n-Butyric acid가 1.5에서 2.3ppm, n-valeric acid가 $1.3\~1.8ppm$, acetaldehyde가 0.8에서 2.1ppm로 검지되어 호기 제조방법과 혐기 제조방법 모두 휘발성 지방산의 농도는 악취방지법의 규제농도 이상이었다. 부지경계선에서의 악취물질을 보면 호기시에는 미검출로 나타났고 혐기 제조시에는 Acetaldehyde가 $0.4\~0.9ppm$ 수준으로 검지되어 악취방지법의 규제농도를 초과였다.

  • PDF

홍삼추출물과 글루코사민 복합제제의 관절염에 미치는 영향 (Anti-arthritic Effect of a New Diet-Supplement Containing Red Ginseng Extract and Glucosamine Complex)

  • 정춘식;현진이;강민희;심준수;손미진;정상훈;김종훈;이광승;김영식
    • 생약학회지
    • /
    • 제34권4호통권135호
    • /
    • pp.327-334
    • /
    • 2003
  • We evaluated the anti-arthritic effect of a new diet-supplement product containing red ginseng, glucosamine, shark cartilage, ascorbic acid and manganese chloride for the relieving arthritic symptom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aqueous extract of red ginseng (250 and 500 mg/kg), glucosamine (240 mg/kg) and shark cartilage (240 mg/kg) were tested individually on vascular permeability and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Glucosamine and shark cartilage showed the inhibition of vascular permeability by 29.6 and 32.9%, respectively. Red ginseng (500 mg/kg) and shark cartilage showed the inhibition of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at 0.5, 1, 2 and 3 hr. The supplement (red ginseng mixture: RGM) composed of red ginseng (43.5%), glucosamine (25.0%), shark cartilage (25.0%), ascorbic acid (5.0%) and manganese chloride (1.5%) was prepared and its inhibitory activities including vascular permeability and carrageenan-induced paw edema were comparable to anti-inflammatory drugs such as diclofenac and ibuprofen. It was also tested on adjuvant-induced arthritis in rats as one of chronic arthritic tests and Randall-Selitto assay as an analgesic test. RGM showed the inhibition against the swelling of rat paws induced by Mycobacterium tuberculosis at a dose of 1,500 mg/kg. Determination of cytokines of the sera sampled from arthritis-induced animals indicated that RGM increased the levels of $interferon-{\gamma}$ and interleukin-6, representing the immunostimulatory effect by red ginseng. RGM treatment moderately reduced the production of NO in RAW 264.7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pport that RGM can be applicable for the improvement of arthritic as a new diet-supplement.

보통 밀에서 저분자글루테닌 유전자 클로닝 및 단백질 동정 (Cloning of Low-molecular-weight Glutenin Subunit Genes and Identification of their Protein Products in Common Wheat (Triticum aestivum L.))

  • 이종열;김영태;김보미;이정혜;임선형;하선화;안상낙;남명희;김영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47-554
    • /
    • 2010
  • 미성숙 종자로부터 추출된 전체 RNA를 이용하여 합성한 cDNA와 LMW-GS 특이 프라이머세트를 이용하여 43개의 LMW-GS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각각의 유추 아미노산은 상동성이 높은 20개의 시그널 펩타이드, N-말단 영역, 반복서열영역 그리고 C-말단 영역을 가지며 C-말단 영역에 분자내 혹은 분자간 이황화 결합을 형성하는 전형적인 8개의 시스테인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시스테인의 위치는 첫번째, 일곱번째를 제외하고는 보존되어 있었다. Ikeda 분류법과 비교할 경우, 이들은 각각 그룹 1, 2, 3 또는 4, 5, 7, 10(이중 그룹 2와 5가 가장 많음) 그리고 11에 속하며 그룹 6, 8, 9 그리고 12에 속한 단백질은 탐지되지 않았다. 이들 43개 LMW-GS 유전자들을 Lasergene Version 7.0을 이용하여 DNA 염기서열 수준에서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 Ikeda 그룹의 분류법과 일치하였다. 단백질 수준에서 LMW-GS들을 확인하기 위해 2DE로 이들 단백질을 분리하여 이들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였다. 7개 스팟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중 2개는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이 세린으로 시작하는 LMW-s 타입이었고 5개는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이 메티오닌으로 시작하는 LMW-m 타입이었다. 이들 서열은 Ikeda 그룹의 분류법에 따르면 그룹 1, 2, 3, 3/4, 5 그리고 10이었다. 이들 LMW-GS 단백질 중 2개는 Glu-D3 그리고 3개는 Glu-B3에 의해 encoding 되었고 나머지는 확인이 불가능 하였다. 그룹 6, 7, 8, 9, 11, 그리고 12의 스팟은 확인할 수 없었다. N-말단 아미노산 서열들과 클로닝된 LMW-GS 유전자군을 비교해 보면 그룹 1, 2, 3/4, 5 그리고 10이 모두 유전자와 단백질 수준에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LMW-GS 유전자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의 해당 단백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밀가루 품질 향상을 위한 육종 프로그램에 도움이 될 것이다.

잡초 및 농림부산물을 이용한 Biorefinery 기술개발 (Biorefinery Based on Weeds and Agricultural Residues)

  • 황인택;황진수;임희경;박노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0-360
    • /
    • 2010
  • 이제 바야흐로 21세기 탈석유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범국가적 차원의 새로운 산업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바이오리파이너리"란 원유로부터 각종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기존의 기술과 달리 석유대신 나무나 볏짚 등과 같은 식물을 원료로 해서 바이오화학제품이나 바이오연료 등을 생산하는 기술을 총칭한다. 바이오리파이너리를 통한 바이오매스 기반의 화학산업은 석유로부터 생성되는 많은 역기능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을 이용해서 생산할 수 있는 제품을 특성별로 분류하면, 바이오 연료, 대체원료, 특수 기능물질, 바이오폴리머 등이 있으며, 이러한 공정기술 개발이 미래지속 성장 화학기술의 중심기술이 될 것이다. 바이오 연료에는 에탄올, 디젤, 수소 등이 있고, 대체원료(chemical feedstock)로서는 글리세롤, 젖산, 아세톤, 부탄올, 프로피온산, 부틸산, 부탄디올, 프로판디올, 구연산, 숙신산, 각종 아미노산 등이 해당된다. 특수기능물질 중에는 항생제, 다당류, 미생물농약, 생리활성물질 등과 각종 생촉매 전환반응 생산제품, 바이오 식품소재 등이 있고, 바이오 폴리머는 미생물 대사산물 유기산을 원료로 하는 고분자와 미생물이 직접 생산하는 바이오 폴리머 등이 있다. 이러한 공정기술 개발이 미래 지속 성장 화학기술의 중심기술이 될 것이며, 공정기술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충분한 양의 바이오매스 확보 및 생화학적/열화학적 전환기술이다. 바이오매스 확보를 위하여 환경적응성이 큰 잡초의 이용이 기대된다. 바이오리파이너리는 농업으로 시작되며, 농업과 화학산업의 다리역할을 하는 기술이 바로 바이오리파이너리인 것이다.

표고버섯 균사체의 생산과 당뇨 유발 흰쥐에 대한 혈당강하 효과 (Production of Lentinus edodes Mycelia in Submerged Culture and It's Hypoglycemic Effect in Diabetic Rats)

  • 양병근;김동현;송치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1-135
    • /
    • 2002
  • 표고버섯 균사체가 항당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당뇨가 유발된 흰쥐에 표고버섯 균사체을 7일간 급여시킨 후 혈장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및 ALT, AST 활성을 관찰하였고, 표고버섯 균사체 생장의 최적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균사체 생장을 위한 최적의 pH와 온도는 5와 $30^{\circ}C$로 나타났으며, 발효조배양시에는 최대 균사체 생장(8.13g/l)이 진탕배양일 때보다 6일 단축되었다. Hypoglycemic 효과에서 혈장 glucose는 당뇨 유발군에서 표고버섯 균사체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23.0%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혈장 total cholesterol과 triglyceride는 20.3%와 27.1%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혈장 ALT와 AST 활성은 당뇨 대조군에 비해 표고버섯 균사체 급여군이 29.6%와 34.3% 낮은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