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d pork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9초

한국 전통 양념으로 제조한 돼지고기의 숙성중 물리화학적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Pork Prepared by Korean Traditional Sauces During Chilled Aging)

  • 진상근;김일석;허선진;류현지;하경희;주선태;이정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859-870
    • /
    • 2004
  • 한국 전통 양념 (T1, 된장소스; T2, 마늘소스; T3, 고추장소스)을 이용하여 0${\pm}$ $1^{\circ}C$ 에서 30일 동안 숙성 중 돼지고기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숙성기간동안 양념의 염도와 당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육에서는 증가하였고(P<0.05), pH는 숙성기간 동안 양념과 육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보수력과 전단력은 모든 처리구에서 숙성 20일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 다시 감소하였고, 육색은 T3의 $L^*과 b^* 값은 낮고, a^*$ 값은 숙성기간 동안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VBN은 모든 처리구에서 숙성 20일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T3가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TBARS는 저장 10일에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저장 20일에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였고 T3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균과 유산균은 저장 10에 증가하다 저장 20일에 감소하였으며 그 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대장균은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저장 30일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숙성 초기보다 20일 이후 높게 나타났으며 30일에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 50가지 축산물 및 축산가공 식품의 섭취량 및 섭취빈도 조사 (Estimation of Amount and Frequency of Consumption of 50 Domestic Livestock and Processed Livestock Products)

  • 박진화;조준일;주인선;허진재;윤기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177-1191
    • /
    • 2016
  •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의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로 인한 식중독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다양한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에 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50가지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에 대해 대한민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축산식품의 섭취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성별, 나이별, 지역 크기별, 직업별, 지역별로 섭취량 및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축산식품의 섭취량과 섭취빈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역의 차이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섭취량 및 섭취빈도가 높았으며, 나이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높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섭취량 및 섭취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크기별로는 식육 및 그 가공품의 경우 대도시, 우유 및 유가공품과 알류 및 알 가공품은 중소도시에서 섭취량 및 섭취빈도가 높았으며, 직업별로는 학생이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에 대한 섭취량과 섭취빈도가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인천/경기, 부산/울산/경북에서 섭취량과 섭취빈도가 높았다. 조사대상자 전체(1,500명)의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한 달에 가장 자주 섭취하는 식육과 그 부산물류에서는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 순이었고, 축산가공품에서는 햄, 양념된 돼지불고기, 소시지 순이었으며, 우유 및 유가공품에서는 우유, 액상 요구르트, 호상 요구르트 순이었고 알류 및 알 가공품에서는 계란말이, 계란찜, 삶은 계란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인구집단에 따른 50가지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의 섭취량과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인구집단에 따라 선호하는 축산식품의 종류가 다르며 섭취하는 양에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안전한 축산식품 섭취 관련 식중독 교육에 활용할 수 있으며,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의 병원성 식중독균에 대한 위해평가 과정에서 노출평가에 필요한 섭취량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가지 삼원교잡종 (랜드레이스 × 요크셔 × 두록 및 랜드레이스 × 요크셔 × 우리흑돈)의 육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Three-way Crossbred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and Landrace × Yorkshire × Woori black pig))

  • 김정아;조은석;이미진;정용대;최요한;조규호;정학재;백선영;김영신;사수진;홍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95-202
    • /
    • 2019
  • 본 연구는 외화 낭비를 줄이기 위해 우리흑돈이 종료종모돈으로써 두록을 대체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랜드레이스 ${\times}$ 요크셔 ${\times}$ 두록(LYD)과 랜드레이스 ${\times}$ 요크셔 ${\times}$ 우리흑돈(LYW)의 두 삼원교잡종에서 등심의 육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이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180일령의 LYD 59두와 LYW 60두, 총 119두를 이용하였으며, 도축 후 24시간 동안 냉각시키고, 돈육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 육색, 지방산 조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 성분 결과 수분 및 보수력은 두 품종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지방 함량 및 가열감량은 LYW에서 LYD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전단력 및 pH는 LYW가 LYD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육색지수를 확인한 결과 적색도($a^*$) 및 황색도($b^*$)가 LYW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두 품종의 지방산 함량을 비교한 결과 Stearic acid(C18:0)가 LYD에 비해 LYW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검사 결과 LYW가 LYD에 비해 육색과 풍미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는 LYD와 비교하여 LYW에서 특정 화학적 특징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우리흑돈이 수입 종돈인 두록의 대체 종돈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초등학교 급식의 잠재적 위해 식품의 섭취 및 기호도 조사 (A Study on Potentially Hazardous Food Consumption and Food Preference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Menus)

  • 윤기선;정양진;구성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6-14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급식에서 잠재적 위해식품을 포함한 급식메뉴의 기호도와 섭취현황을 분석하였다. 3주 동안의 메뉴에서 고단백음식과 생야채 또는 조리된 야채 메뉴, 과일 등을 잠재적 위해식품 1과 2로 각각 명시하였다. 세 곳 초등학교에서 10세에서 12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에게 그날의 급식을 얼마나 먹었는지, 어떤 음식을 가장 선호하는지, 좋아하지 않는 음식은 무엇이며, 왜 그 음식을 좋아하지 않는지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학교 간, 학년 간, 성별간의 음식섭취량에 유의적 차이가 있는지를 SPSS을 사용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적어도 급식을 통해 하루에 두 종류의 잠재적 위해식품군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89%와 82%의 학생들이 잠재적 위해식품 1과 2를 각각 100% 다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와 요일에 따라 학생들의 음식섭취량에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생들은 고단백식이, 특히 미트볼조림, 돼지고기, 닭고기 바베큐를 선호하고 섭취 또한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교급식에서의 식중독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급식 메뉴에서 잠재적 위해식품과 관련된 위해요소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또는 공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한국 성인의 배추김치 섭취 빈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및 다소비 식품 섭취에 관한 연구: 2012~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 섭취 빈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Nutrient intakes and frequently consumed foods among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intake frequency of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Based on the 2012~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하애화;주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2호
    • /
    • pp.125-13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012,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성인의 김치 소비 실태 조사를 섭취 빈도와 1회 섭취량을 이용하여 김치의 섭취 패턴, 영양소섭취량 및 다소비 식품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성인의 아침결식률은 25~27%로 점심이나 저녁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끼니는 하루 3끼니를 섭취하는 대상자가 높았고, 간식은 섭취한 경우가 92% 이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외식 횟수는 하루 1회 이상이 2012년에 27.6%, 2013년도에는 33%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주 5회 이상 외식을 하는 비율이 2012년에 45%였으며, 김치 섭취 빈도 중 배추김치는 하루 2회 섭취 횟수 대상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배추김치 섭취 빈도에 따른 다소비식품 상위 30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배추김치만이 상위권 안에 들었고, 다른 김치류는 30위 내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배추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김치 섭취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a Dietary Chitosan-Alginate-Fe(II) Complex on Meat Quality of Pig Longissimus Muscle during Ageing

  • Park, B.Y.;Kim, J.H.;Cho, S.H.;Hwang, I.H.;Jung, O.S.;Kim, Y.K.;Lee, J.M.;Yun, S.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414-419
    • /
    • 2005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hitosan-alginate-Fe(II) complex (CAFC) supplementation on carcass and meat qualities of pig m. longissimus during chiller ageing. One hundred and twenty-two LYD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pigs were sampled from an industrial population. Seventy-four pigs (32 gilts and 42 barrows) were administered 3 ml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FC per day from 25 to 70 days of age, while the remaining 48 pigs (20 gilts and 28 barrows) were fed the same commercial feeding regime without the supplementation. For assessing the dietary effects on pH, objective meat color, cooking loss, water-holding capacity (WHC),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ageing, 20 barrows (10 of each treatment) were randomly sampled, and aged for 3, 7, 12, 16, 20 and 25 days in a $1^{\circ}C$ chiller. The results showed that CAFC-fed pigs required approximately 10 fewer feeding days tha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treatment resulted in greatly higher carcass grade whereby the grade A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35% and 7% for gilts and barrows, respectively. The treat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p>0.05) on pH, meat color and WHC during ageing. On the other hand, the CAFC-fed pigs showed significantly (p<0.05) lower TBARS values from 20 days of storage. In addition, the sum of unsaturated fatty acids for the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for the control group after the storage time. This implied that CAFC supplementation could reduce the formation of free radicals in fatty acids (i.e., lipid oxidation). The treatment also significantly (p<0.05) retarded VBN formation during ageing, indicating a significant reduction in protein degradation. However, 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 raised a possibility that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CAFC alone could cause reduction in the formation of TBARS and VBN. In this regard, although the treatment effectively slowed down the formation of TBARS and TBA during chiller ageing, it was not resolved whether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direct effect of the antioxidant function of chitosan and/or alginate, or a consequence of their antibacterial functions.

Dietary intake of fat and fatty acids by 1-5-year-old children in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Baek, YounJoo;Shim, Jae Eun;Song, Su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4호
    • /
    • pp.324-335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We examined dietary fat intake and the major food sources by young children in Korea. SUBJECTS/METHODS: A total of 1,041 children aged 1-5 years were identified from the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on total fat and fatty acid intake were obtained by a single 24-h dietary recall. Food sourc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mounts of total fat and fatty acids consumption according to each food. Fat and fatty acid intakes and their food sources were presented by age group (1-2-y, n = 401; 3-5-y, n = 640). Fat and fatty acid intakes were also evaluated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RESULTS: The mean intake of fat was $27.1{\pm}0.8g$ in the 1-2-y group and $35.5{\pm}0.7g$ in the 3-5-y group, and about 23% of the total energy was obtained from fat in both age groups. The mean intake of saturated fatty acids (SFA) was $10.5{\pm}0.3g$ in the 1-2-y group and $12.7{\pm}0.3g$ in the 3-5-y group, with the 1-2-y group obtaining more energy from SFA than the 3-5-y group (9.2% vs. 8.3%). The mean intake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was $6.3{\pm}0.1g$ in the total subjects, with $0.8{\pm}0.03g$ of n-3 fatty acids and $5.5{\pm}0.1g$ of n-6 fatty acids being consumed. Milk, pork, and eggs were major food sources of total fat, SFA,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soybean oil was the main contributor to PUFA in both age groups. In the 1-2-y group, children in rural areas had significantly higher intake of PUFA and n-3 fatty acids than did those in urban areas. CONCLUSIONS: Our findings provide current information on dietary fat intake among young Korean children and could be used to establish dietary strategies for improvement of health status.

단백질(蛋白質) 급원식품(給源食品)을 기피(忌避)하는 일부(一部) 유치원(幼稚園) 아동(兒童)의 식이형성(食餌形成)과 그 요인(要因) (A Study on the Preference on Protein Rich Foods in Kindergarten Children in Gyeong Nam Area)

  • 윤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1호
    • /
    • pp.3-9
    • /
    • 1984
  • 경남 마산시, 진해시, 창원시에 거주하고 있는 일부 유치원 아동중 단백질(蛋白質) 급원(給源) 식품(食品)을 기피(忌避)하는 103명(名)에 대(對)한 식이형성(食餌形成)과 그 요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남여비(男女比)는 1.2 : 1로서 남아(男兒)에 다소 높게 나타나고 생활(生活)은 중류(中流)이며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高卒), 그리고 첫째 아이가 많았고 대부분 $2{\sim}3$형제의 핵가족(核家族)이였다. 2) 단백질(蛋白質) 급원식품(給源食品) 38개중 50%이상이 기피(忌避)하는 식품(食品)은 메주콩, 꽁치, 고등어, 멸치, 조개, 굴, 된장, 명태, 북어, 납세미, 미꾸라지, 도미, 민어, 조기, 곰국, 쇠간, 돼지고기, 칼치 등 18개 식품(食品)이였고 33%이상이 먹어보지 못한 식품(食品)은 쇠간, 쇠곱창, 쇠갈비, 뱀장어. 미꾸라지 등을 들고 있었다. 3) 기피(忌避) 이유(理由)는 맛이 좋지 않아서가 43.7%로 가장 많았고 독특한 냄새가 싫어서가 29.1%를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생각으로는 몸에 좋다고 억지로 먹이려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30.1%) 보고 있었고 다음이 가족이나 친구의 영향 (29.1%) 으로 보고 있었다. 4)이의 교정을 위하여 아동은 맛있고 예쁘고 골고루 해주기를 원했고 어머니들은 이에 관한 구체적인 영양교육 실시를 원하고 있었다.

  • PDF

경기 일부지역 유아의 식생활관련 지식, 자아효능감, 식품선호도 및 식행동 실태 (Status of Dietary Life 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Food Preference and Dietary Behavior of Preschoolers in Kyunggi Area)

  • 이아름;유예리;김혜진;김경아;김경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4-283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dietary life characteristics such as knowledge, self-efficacy and dietary behavior of preschoolers in Namyangju, Kyunggi-province, Korea. Methods: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Preschoolers aged 4-5 years (n=208)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knowledge, self-efficacy, food preference, and dietary behavior.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data of 197 subject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Mean score of dietary life knowledge was 8.0 out of 12, showing a low level of knowledge. Two out of 12 knowledge item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on items of 'foods to make bones strong' and 'kinds of fast foods' was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p<0.05). Total score of self-efficacy regarding dietary life was 40.1 (possible score: 12~48), on average. Compared to girls, boys had more confidence in 'not over-eating', and 'eating balanced meals with meat, fish and vegetables' (p<0.05). Boys scored higher on total score of food preference than girls (p<0.01). The preference for fruits was quite high. Among food items, boys scored higher on the preference for rice (p<0.01), fish (p<0.01), pork (p<0.05), beef (p<0.05), milk (p<0.01), and ice cream (p<0.05) than girls. Boys also liked fast foods more than girls did, showing preference for chicken (p<0.01) and soda (p<0.05). Compared to girls, boys showed more desirable behavior in 'eating breakfast everyday' (p<0.01). Dietary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r=0.52, p<0.01), food preference (r=0.35, p<0.01), and knowledge (r=0.25, p<0.01) of subjects.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observed differences in food preference by gender. Dietary behavior of preschoolers was correlated with several factors, including dietary life 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and food preference. Thus, it is needed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increasing dietary life related knowledge and self-efficacy, and consider the differences in food preference of preschoolers by gender.

알레르기 질환 유무에 따른 식생활 습관과 식품섭취패턴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Eating Habits and Dietary Intake Patterns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Allergy)

  • 양승혜;김은진;김영남;성기승;김성수;한찬규;이복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6호
    • /
    • pp.523-535
    • /
    • 2009
  • 본 연구는 알레르기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식품 알레르기 빈도 및 그 원인 식품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령의 알레르기 환자 62명과 정상인 69명을 대상으로 2008년 8$\sim$9월 2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조사항목으로는 일반사항, 알레르기 환자에 대한 일반사항, 생활습관, 식습관 및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빈도가 높은 식품에 대한 섭취 빈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사항 조사 결과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가정의 한 달 평균 수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애완동물을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p < 0.05),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보다 식물을 더 많이 키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2) 알레르기 환자의 알레르기 질환양상에 대한 조사결과, 복합적인 증상과 두개 이상의 알레르기를 경험한 환자가 많았고, 알레르기 유발 요인으로는 집먼지 진드기와 식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계절과는 상관없이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가 많았다. 또한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는 환자가 많았으며 (66.1%), 최선의 예방방법은 주위 환경을 깨끗이 하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환자가 가장 많았다 (45.2%). 3) 생활습관 조사결과, 운동 빈도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음주 빈도는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01). 4) 식습관은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결식의 비율이 높고, 간식을 많이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5)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빈도가 높은 식품에 대한 섭취 빈도를 살펴보면, 알레르기 환자군이 정상군 보다 계란 (p < 0.05), 돼지고기 (p < 0.001), 호두 (p < 0.05), 양파 (p < 0.05), 참치 (p < 0.05), 조개류 (p < 0.05), 키위 (p < 0.05), 인스턴트식품 (p < 0.05)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