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ial

검색결과 3,646건 처리시간 0.029초

무인항공기의 안전한 도입을 위한 보안기능요구사항 개발 (Development of Security Functional Requirements for Secure-Introduc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 강동우;원동호;이영숙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7-105
    • /
    • 2019
  • 니콜라 테슬라에 의해 항공기의 무선제어 가능성이 제시되면서 출현한 무인항공기는 제 1, 2차 세계대전을 통해 항공력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군사, 방산용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2000년대, 무인항공기의 분야가 촬영, 배송, 통신 등 민간분야까지 확대됨에 따라 여러 서비스와 융합되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무인항공기 시스템에서의 통신이나 무인항공기 자체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하여 GPS 스푸핑, 전파 교란 공격 등을 시도하는 보안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안전한 무인항공기의 도입을 위하여 국내에서는 자체 무인항공기 검증 제도인 감항 인증 제도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감항 인증 제도는 무인항공기의 보안성보다는 시험 비행, 설계 및 물리적 구조의 안전성과 인증하는 쪽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보안성 높은 안전한 무인항공기의 도입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 데이터 흐름도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데이터 흐름도를 바탕으로 무인항공기 시스템에서의 위협을 도출하였고, 도출한 위협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기능요구사항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보안기능요구사항을 통해 향후 무인항공기의 안전한 도입을 위한 앞으로의 평가, 검증 기술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Novel Roaming and Stationary Tethered Aerial Robots for Continuous Mobile Missions in Nuclear Power Plants

  • Gu, Beom W.;Choi, Su Y.;Choi, Young Soo;Cai, Guowei;Seneviratne, Lakmal;Rim, Chun T.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982-996
    • /
    • 2016
  • In this paper, new tethered aerial robots including roaming tethered aerial robots (RTARs) for radioactive material sampling and stationary tethered aerial robots (STARs) for environment monitoring are proposed to meet extremely-long-endurance missions of nuclear power plants. The flight of the proposed tethered aerial robots may last for a few days or even a few months as long as the tethered cable provides continuous power. A high voltage AC or DC power system was newly adopted to reduce the mass of the tethered cable. The RTAR uses a tethered cable spooled from the aerial robot and an aerial tension control system. The aerial tension control system provides the appropriate tension to the tethered cable, which is accordingly laid down on the ground as the RTAR roams. The STAR includes a tethered cable spooled from the ground and a ground tension control system, which enables the STAR to reach high altitudes. Prototypes of the RTAR and STAR were designed and successfully demonstrated in outdoor environments, where the load power, power type, operating frequency, and flight attitude of the RTAR and STAR were: 180 W, AC 100 kHz, and 20 m; and 300 W, AC or DC 100 kHz, and 80 m, respectively.

항공사진을 이용한 DEM 제작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duction of DEM Using Aerial Photo)

  • 박충선;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05-120
    • /
    • 2018
  • This study estimates possibility and limitation on production of DEM using aerial photo by comparison of DEMs using aerial photo and digital map. Mountain and urban areas show higher elevation in DEM using aerial photo than in DEM using digital map, due to height of vegetation cover and buildings, respectively. However, artificial affects due to bridge, embankment and road construction are responsible for areas with higher elevation in DEM using digital map than in DEM using aerial photo. This difference in elevation between DEMs seems to be caused by rapid change in real elevation that is not reflected in digital map.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elevation between DEMs in plain and area with little or no vegetation cover. This study suggests that problems associated with vegetation cover and error by GCP should be fixed, although DEM using aerial photo can quantitatively and 3-dimensionally reconstruct topography with a high resolution.

항공디지털카메라 UltraCamX의 사진기준점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Aerial Triangulation using UltraCamX which is Airborne Digital Camera)

  • 이재원;나종기;정창식;배경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7-186
    • /
    • 2009
  • 최근 지식기반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정보의 수집, 처리, 서비스가 디지털 기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측량분야 역시 전통적인 아날로그 기반에서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항공사진측량분야에서도 아날로그항공사진측량에서 디지털항공사진측량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아날로그항공사진측량과 UltraCamX를 이용한 디지털항공사진측량의 사진기준점측량 및 블록조정 후 잔차 특성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진기준점측량에서는 GPS/INS를 탑재한 디지털항공사진측량의 번들조정법이 아날로그항공사진측량의 전통적인 독립모델법보다 우수하였으며 최소의 기준점만을 사용하여도 우수한 결과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블록조정 후 잔차 특성 분석에서도 디지털항공사진측량이 우수하였다.

On-Site vs. Laboratorial Implementation of Camera Self-Calibration for UAV Photogrammetry

  • Han, Soohee;Park, Jinhwan;Lee, Wonhee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9-35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s two camera self-calibration approaches, on-site self-calibration and laboratorial self-calibration, both of which are based on self-calibration theory and implemented by using a commercial photogrammetric solution, Agisoft PhotoScan. On-site self-calibration implements camera self-calibration and aerial triangulation by using the same aerial photos. Laboratorial self-calibration implements camera self-calibration by using photos captured onto a patterned target displayed on a digital panel, then conducts aerial triangulation by using the aerial photos. Aerial photos are captured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arget photos are captured onto a 27in LCD monitor and a 47in LCD TV in two experiments. Calibration parameters are estimated by the two approaches and errors of aerial triangulation are analyzed. Results reveal that on-site self-calibration excels laboratorial self-calibration in terms of vertical accuracy. By contrast, laboratorial self-calibration obtains better horizontal accuracy if photos are captured at a greater distance from the target by using a larger display panel.

항공사진 전용 자동독취기의 정확도 검증 (The Verification of Accuracy for Aerial Photogrammetric scanner)

  • 이현직;용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7-394
    • /
    • 2000
  • 항공사진영상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오차의 원인은 자동독취기의 독취 과정에서 발생한다. 현재 수행하고 있는 항공사진영상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의 품질 확보를 위해서는 자동독취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확도를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영상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이용되는 항공사진 전용 자동독취기의 정확도 검증방법을 정립함으로써 항공사진영상 DB의 정형적인 품질확보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해 항공사진영상 DB의 품질확보를 위한 자동독취기 정확도 검증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정립된 방법을 실제 항공사진영상 DB구축과정에 적용한 결과 자료의 품질확보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Functional Analysis of Genes Specifically Expressed during Aerial Hyphae Collapse as a Potential Signal for Perithecium Formation Induction in Fusarium graminearum

  • Yun-Seon Choi;Da-Woon Kim;Sung-Hwan 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83-97
    • /
    • 2024
  • Fusarium graminearum, the causal agent of Fusarium head blight (FHB) in cereal crops, employs the production of sexual fruiting bodies (perithecia) on plant debris as a strategy for overwintering and dissemination. In an artificial condition (e.g., carrot agar medium), the F. graminearum Z3643 strain was capable of producing perithecia predominantl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fungal culture where aerial hyphae naturally collapsed. To unravel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aerial hyphae collapse and sexual development in this fungus, we focused on 699 genes differentially expressed during aerial hyphae collapse, with 26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Targeted gene deletion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es elucidated the functions of specific genes during natural aerial hyphae collapse and perithecium formation. Furthermore, comparative gene expression analyses between natural collapse and artificial removal conditions reveal distinct temporal profiles, with the latter inducing a more rapid and pronounced response, particularly in MAT gene expression. Notably, FGSG_09210 and FGSG_09896 play crucial roles in sexual development and aerial hyphae growth, respectively. Taken together, it is plausible that if aerial hyphae collapse occurs on plant debris, it may serve as a physical cue for inducing perithecium formation in crop fields, representing a survival strategy for F. graminearum during winter. Insights into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aerial hyphae collapse provides offer potential strategies for disease control against FHB caused by F. graminearum.

항공항법지도와 항공사진 촬영안내 시스템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erial Navigation Map and Aerial Photographic Guidance System)

  • 황진상;이재원;윤종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0-78
    • /
    • 2004
  • 지도제작을 목적으로 하는 항공사진 촬영은 지상에 표시되지 않은 촬영노선을 따라 항공기를 운행하며 수행해야 하는 어려운 작업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항공사진 촬영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항공사진 촬영안내 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촬영안내 시스템은 조종사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도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시해야 함으로 먼저 지형판독을 위한 지형도 정보와 안전운행을 위한 항로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항공항법지도(aerial navigation map)를 개발하였으며, 그 다음 항공항법지도를 배경지도로 하는 촬영안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시스템은 비행하는 항공기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지도정보를 빠른 시간 안에 검색하여 표시해 주고 항공사진 촬영안내 기능까지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 PDF

고정익 항공기 공중급유 유형 및 Boom-Receptacle 시스템 비행시험 평가 방안 연구 (A Research on Aerial Refueling Type and Flight Testing of Boom-Receptacle Systems for a Fixed-wing Aircraft)

  • 김대욱;김찬조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0-80
    • /
    • 2022
  • 공중급유 능력은 항공기의 임무시간 증대와 운용영역 확장을 제공함에 따라 많은 군용기에 적용 및 운영되어왔다. 피급유기가 지정된 급유기로부터 공중급유를 받기 위해서는 기술 및 운용호환성평가를 통해 공중급유허용을 확보해야 한다. 적합성 평가에는 공중급유 조종성, 기능성, 연료, 조명시스템 평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비행시험을 통해 최종 검증된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신규개발항공기에 대한 공중급유 적합성 평가를 수행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시험 요구도, 범위 및 프로그램 규모를 결정하기 위한 경험이 없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중급유 유형 소개와 한국 공군에 도입된 Boom & Receptacle 시스템에 대한 고정익 항공기 공중급유 FCS (Flight Control System) OFP (operational flight program) 검증, 시스템 검증 및 영역 허용 관련 공중급유 비행시험 방법을 연구하였다.

Design and Development of Multi-rotorcraft-based Unmanned Prototypes of Personal Aerial Vehicle

  • Muljowidodo, Muljowidodo;Budiyono, Agus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140-147
    • /
    • 2009
  • The paper presents the design, development and testing activities of the multi-rotorcraft-based unmanned aerial vehicle at the Center for Unmanned System Studies, Institut Teknologi Bandung (ITB), Indonesia. The multi-rotor system was selected as the design stepping stone for future development of personal aerial vehicle prototypes. A step-by-step design program is conducted to study the technology building blocks and critic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desig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personal aerial vehicles. A number of multi-rotor configurations have been investigated providing basic guidelines for developing a stable unmanned aerial platform. The benefit of the presently selected configuration is highlighted and some preliminary testing results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