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and marketing pla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s Hedonic Value for Retail Advertising and Marketing Plans: Based on In-depth Interview on Consumer's Shopping Experience

  • Seo, S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13-18
    • /
    • 2020
  • Going shopping would be a very reasoned and well-planned activity, however, at the same time, it would not. People may go shopping just for fun and as their leisure. The motivations for going shopping and their experiences cannot be fully explained with the economic utility or the information-processing model. Thus, this study explored the hedonic aspect of the experiences of shopping as an alternative explanation to consumers' motivations of shopping and discussed retail advertising and marketing plan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hedonic value, and it was found that hedonic value affects a consumer's shopping experience and that understanding consumers' motivations for shopping and establishing competitive advertising and marketing plans is important in drawing more consumers. Strategic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further retail advertising and marketing plans obtained from the findings were also suggested.

Social Networks As A Too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 Nataliia Liashu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2호
    • /
    • pp.137-144
    • /
    • 2023
  • The relevance of the research topic lies in the necessity to use social networks as innovative tools of marketing communications. A wide audience and the ability to segment the market for a specific consumer determine the construction of a corporate strategy, which will be based on using the social networking approach. The spread of the global coronavirus pandemic has l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remote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the company and the customer. The issue of using marketing tools in social networks acquires the most urgent importance in the modern world of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mpany's marketing strategies. The purpose of the academic paper is to study the use of social networks as features of implementing the marketing campaign. Social networks are the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the processes of creating an information society involved in the digital space.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are to analyse the opportunity of using social networks as a tool for marketing communications and their implementation at the level of its widespread use by enterprises and establishments. It is significant to create an advertising campaign by defining the target audience and outlining the key aspects, on which the company is focused. The research methodology consists in determining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the essence of introducing social networks and their practical importance in the implementation of marketing activities of companies. The obtained result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quality of functioning of modern enterprises and organizations that plan to master a new market segment or gain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existing one. The academic paper examines the essence of social networks as a too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The key principles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social platforms were revealed. The quality of implementing the advertising campaign in the social network was studied, and further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using social networks as a component of the marketing strategy were outlined. Therefore, the academic paper analyses the problems of using social networks as a marketing tool.

The Impact of SNS Advertising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SNS Advertising on Advertising Performence

  • YiJie WANG;EunJu PARK;KyoungSeop CHO
    • 융합경영연구
    • /
    • 제12권1호
    • /
    • pp.77-88
    • /
    • 2024
  • Purpose: By studying the effects of SNS advertising characteristics and SNS advertising music characteristics conducted by companies on advertising preference and advertising effects, we would like to suggest a plan for effective SNS advertising oper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a total of 483 surveys were collected for college student consumers in their 20s who had experience seeing advertisements on SNS, and 458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additi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24.0 and AMOS 24.0, and Sobel Test was perform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dvertising preference, purcha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increased as consumers who saw advertisements on SNS per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advertisements (information, entertainment, individuality, and interactivity). However, advertising preference was not formed by SNS advertising music characteristics (fun, information delivery, unconscious stimulation, and emotional homogeneity). In addition,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NS advertising music characteristics (fun, information delivery, unconscious stimulation, and emotional homogeneity), the more advertising effects such as purcha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were linked,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NS advertising music characteristics (fun, information delivery, unconscious stimulation, and emotional homogeneity), the more advertising effects such as purcha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could be create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advertising prefer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NS advertising characteristics and advertising effects, and between SNS advertising music characteristics and advertising effects. Conclusion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investigated the causal relationship of advertising effects according to sub-factors such as SNS advertising characteristics and SNS advertising music characteristic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as secondary factors.

스마트모바일 LBS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와 광고마케팅 방안 연구 - 델파이 조사 기법을 활용 - (A Study on Service & Advertising Marketing Plan using LBS Smart Mobile Technology based on Delphi Research Method)

  • 안종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81-28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LBS 기술발전 현황을 기반으로 향후 어떤 LBS 서비스와 광고마케팅 활용이 필요하고 가능성이 높은지를 LBS 관련 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LBS 관련 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1차 개방형 설문지를 제시하여 LBS 서비스와 광고마케팅 활용 방안 중 필요하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자유롭게 서술하게 하였다. 1차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6가지 카테고리로 LBS 서비스가 분류될 수 있었고 각 카테고리별로 전문가 관점에서 향후 필요하고 활용 가능성이 있는 서비스 항목이 도출 되었다. 2차와 3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스마트모바일의 확산으로 점차 서비스 인프라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LBS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어떤 LBS 서비스와 LBS 광고마케팅이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하는지를 알게 되었다.

SNS 마케팅 디자인의 현황과 제작 교육 개발 방안 (Current Status of SNS Marketing Design and Development of Production Education)

  • 조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67-272
    • /
    • 2018
  • 오늘날은 SNS가 파급력이 가장 큰 매체로 존재하고 있다. 수많은 SNS마케팅 디자인에 노출되어있고 SNS와 포털 사이트에 광고 노출이 많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디자인들이 생산되어지고 있다. 10년 전보다도 가열되고 있는 sns광고 디자인의 현황을 알아보고 홍보와 광고 디자인의 제작에 필요한 커리튤럼을 고려하여 대학에서의 진행할 교육의 중요한 부분과 현업에 사용되고 제작되어지는 현재의 방식을 도입하는 전략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현대 SNS마케팅 디자인은 홍보포스터, 카드뉴스, 배너 광고 등이며 광고와 접목된 콘텐츠와 다양한 형식으로 진화되고 있다. 의사소통하거나 정보를 공유하는 데 있어, 실시간 광고 제작물 작업의 중요성과 가성비 절약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현장에서는 질적 향상과 함께 빠른 속도의 제작 방식으로 바뀌어 나가는 상황이며, 현재에 와서는 대학 교육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SNS디자인 제작교육 개발 방안을 위한 졸업생 및 디자인 작업을 할 때, 산업현장에 나아갈 때 필요한 실시간 작업이 가능한 교육 부분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SNS 마케팅 디자인 인력 양성과 교육 방안에 대한 고려와 실무적인 의의를 가지고자 한다.

글로벌 중소기업의 디지털마케팅 추진전략 및 이행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Marketing Promotion Strategy and Implementation Strategy Implementation Plan of Global SMEs)

  • 임기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195-205
    • /
    • 2020
  • 전세계적으로 인터넷사용이 보편화 되면서 디지털마케팅이 광고매체로서 커다란 비중을 가지게되었다. 적은 비용으로 효과가 큰 디지털마케팅 도구로는 웹사이트, 눈, 블로그, 검색광고, 온라인 배너, 메일링, 유트브 등이 있으며 이는 전세계의 대부분 기업들이 이들중 하나 이상을 디지털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디. 이러한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해외 법인을 가지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은 디지털 마케팅 추진전략수립 및 이행방법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마케팅의 필요성과 추진전략에 대한 연구는 다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이행방법 모델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글로벌 중소기업에 적합한 디지털 마케팅을 정의하고 추진전략수립 모델 및 구체적인실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범용적인 중소기업 글로벌 디지털 마케팅전략 수립방안에 기여하고자 한다.

식품업체의 건강편의식 개발 경향 및 유용성 조사 (Trends and Feasibility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 of Korean Food Industry)

  • 양일선;이진미;이영은;윤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5-225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velopment trends and feasibility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in Korea for promoting health. Special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to determine the factor affecting the sale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to examine marketing strategies of the foodservice industry; and to provide feedback for the development plan.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and mailed to 10 food companies in Korea and then telephon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lso, marketing strategies of each industry are analyzed by the visit interview with food processing and marketing chargers.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30 and October 30, 1997.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 The most popular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were completely precooked type, pouch/PE bag packaging type, diet purpose, 100-300 gram size, and convenience store sales with regard to selling and developing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About factors affecting selling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the best contributors among factors were seasonality, convenience, and negative image for instant foods. For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improvement of taste and quality. Adults should be the most promising customers for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Food companies must promote variety, taste, nutrition, convenience, price, and advertising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for the powerful marketing strategies in the future.

  • PDF

TV공익광고에 나타난 영상이미지와 언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Image and Verbal Texts in Television Public Service Advertising)

  • 신인식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11-122
    • /
    • 2005
  • 공익광고는 전체 구성원의 동의를 계획적이고 목표 지향적인 방법으로 얻어내어 궁극적으로 사회변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전략과 기술이 포함된 종합적 마케팅 개념이다. 상업성이 배제된 공익광고는 사회적 문제를 중심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사회의 흐름과 의제를 잘 반영하고 있다. 아울러 공익광고는 현재의 문화적 가치를 광고 메시지에 투영시킬 뿐 아니라 미래의 문화가치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 공익광고의 텍스트에 대하여 분석 해 보는 작업은 지금까지의 공익광고의 커뮤니케이션전략의 틀을 파악해 보고, 앞으로 효율적인 광고 집행을 위한 계획수립을 위하여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제 제작, 방영된 TV '환경보전' 공익광고물을 대상으로 하여 영상이미지와 언어에 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TV 공익광고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시각적 이미지와 언어적 요소에 관하여 분석해 봄으로서 공익광고의 특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1980년대의 환경관련 공익광고는 언어중심의 설득적 메시지를 중심으로 하고 시각적 요소는 그에 대한 대응물로서 작용하고 있으며 수용자를 교육, 계몽하고자하는 의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주인공과 스토리 라인이 없는 비서사적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비해 1990년대 이후의 공익광고는 탈언어적인 이미지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은유적 기법을 사용한 시각적 구성을 통해 수용자의 판단과 개입을 활성화, 공익 캠페인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또한 서사 내적 구성으로 공익광고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주장을 시각적 방법을 통해 이야기 형식으로 제시함으로써 수용자의 관심제고와 설득에 기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영상이미지와 언어의 관계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오늘날 광고를 포함한 모든 영상제작물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시대적 경향으로, 공익광고 캠페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주목할 만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PDF

Facebook의 사용자경험연구: 사용자의 시선경로와 광고콘텐츠를 중심으로 (User Experience(UX) of Facebook: Focusing on Users' Eye Movement Pattern and Advertising Contents)

  • 김태양;신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5-57
    • /
    • 2014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시선경로의 흐름을 통하여 SNS 사용자들의 감성적 경험을 이해하고 사용자 중심의 사용자 환경(UI)에 암시점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페이스북에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응시시간 및 태도 분석을 통하여 소셜미디어 마케팅영역에 사용자경험(UX) 중심의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선추적 장치인 아이트래커(eye-tracker)를 활용하여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UX를 추적한 결과 사용자들의 시선경로는 기존 웹에서의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던 시선경로인 F-shape pattern과는 다른 H-shape pattern을 확인하였다. 또한 페이스북에 노출된 광고에 대해 4부분의 관심영역(AOI.1, AOI.2, AOI.3, AOI.4)을 설정하고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가장 오래 응시하는 광고의 위치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들은 페이스북 오른쪽 상단에서 두 번째 구역인 AOI.2에 가장 오랜 시선을 두었다. AOI.1, AOI.4, AOI.3의 순서로 응시순서를 추적한 실험에서도 페이지 오른쪽 상단에서 두 번째 광고에 대한 태도가 가장 좋았으며 처음과 마지막 그리고 세 번째 광고의 순으로 광고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치형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을 통한 브랜드 각인효과에 관한 연구 -20~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랙티브 마케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rand-imprinting Effects of Utilizing Interactive Media Installation -Focusing on interactive marketing targeted at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 문하나;최종훈;박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61
    • /
    • 2015
  • 디지털 시대가 도래됨에 따라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면서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받던 방식에서 이제는 소비자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재생산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했다.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행태 변화는 새로운 마케팅 패러다임을 등장시켰다. 이는 브랜드 각인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인터랙티브 마케팅이 지속적으로 화두되고 있는 것을 일컫는다. 이에 본 연구는 설치형 인터랙티브 마케팅의 브랜드 각인효과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그 활용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국내외 다양한 인터랙티브 마케팅 사례분석을 통해 체험방식과 접근방식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인터랙티브 마케팅이 브랜드 각인효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소비자들의 잠재된 니즈를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각인효과를 위한 설치형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 전략 방안을 도출했다. 첫째, 소비자와 광고 미디어가 만나는 소통 매개체로써의 공간활용 전략, 둘째, 소비자가 처한 정황 중심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전략, 셋째, 정황과 컨텍스트에 합당한 인터랙션 전략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