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7.045

User Experience(UX) of Facebook: Focusing on Users' Eye Movement Pattern and Advertising Contents  

Kim, Tae-Yang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Shin, Dong-Hee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subjects' eye movement pattern and surveys their attitudes to the exposed advertisements on the Facebook. Different from the F-shaped pattern of the typical Web pages, users' eye movements on the Facebook have shown a rough H-shape.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users have shown F-shaped pattern on the ordinary Web pages in order to skip the contents of a Web, subjects' eye-movement pattern on the Facebook has H -shaped pattern due to the unique User Interface (UI) of the Facebook. With the right side and vertical arrangement of ads on the Facebook, users skip the page with having a large H-shaped pattern. In addition, this study set four AOIs(Area of Interest) that are advertising sections comprised on the Facebook Web page and measured fixation length within the AOIs then surveyed subjects' attitudes about the exposed ads. Through the experiment and survey, this study offers the optimum advertising position that can attract Facebook users' attention. As the result of experiment and survey, the second ad has the subjects' highest attitude to advertising and fourth ad is the next effectiveness and first and third ad followed. This study highlights the key implications to provide better user experiences(UX) and marketing strategies to users who are the consumers of companies and organizations which have a plan to put their advertising on the Facebook.
Keywords
Social Media; Facebook; UX; UI; Eye-tracker; H-shape; AOI(Area of Interes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시훈, 안주아, "광고연구에서 심리생리학적 측정방법의 활성화는 가능한?: 심리생리학적 측정 방법에 대한 광고 학자들의 인식",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4호, pp.25-50, 2009.
2 김태양, 신동희, "소셜네트워크 마케팅에서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적용연구: 트위터에서 아이트래커 측정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 HCI학회 학술대회, pp.954-956, 2013.
3 안주아, 이시훈, 송인덕, "심리생리학적측정방법을 활용한 광고연구현황분석: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2호, pp.21-54, 2009.
4 성기원, 이건표, "시선추적 분석을 위한 통합 해석 모델의 개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휴리스틱 가이드라인의 도출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제17권, 제2호, pp.23-32, 2004.
5 이윤정, 권만우, 이지연, 김재명, "시선 추적 장치를 이용한 형태지각에 관한 연구 모바일 이용가능",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8권, 제4호, pp.229-237, 2008.
6 R. E. Smith, J. Chen, and X. Yang, "The Impact of advertising creativity on the hierarchy of effects," J. of Advertising, Vol.37, No.4, pp.47-61, 2008.   DOI   ScienceOn
7 J. Nielsen, F-Shaped Pattern for Reading Web Content, Retrieved, 2009.4.24 http://www.useit.com/alertbox/reading_pattern.html
8 S. Shrestha, K. Lenz, J. Owens, and B. S. Chaparro, "F-Pattern Scanning of Text and Images on Web Pages," Proceedings of the 51st Annual Meeting,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Baltimore, 2007.
9 S. Shrestha and J. Owens, Eye Movement Patterns on Single and Dual-Column Web Pages, Retrieved, 2009.4.24 http://www.surl.org/usabilitynews/101/column.asp
10 L. Chen and P. Pu, "Users' eye gaze pattern in organization-based recommender interfaces," 2011 15th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User Interfaces, pp.311-314, 2011.
11 강현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감성적 경험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환경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제18권, 제1호, pp.1-12, 2012.
12 김태연, 정지홍, "소셜네트워킹 환경에서의 인맥 관리를 위한 휴대폰 User Interface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대회, pp.76-77, 2006.
13 이준희,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디자인", 디자인학연구, 제18권, 제4호, pp.367-379, 2003.
14 박은정, "웹사이트 콘텐츠에서의 사용자 감성적 경험 향상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요소의 활용", 한국일러스아트학회, 제15권, 제3호, pp.85-93, 2012.
15 전성일, 경험디자인의 관점에 따른 MMORPG 의 시각 정보에 대한연구: MMORPG GUI의 정보전달 접근성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한규훈, "SNS 광고효과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페이스북 이용자 분석을 토대로", 홍보학 연구, 제16권, 제3호, pp.132-168, 2012.
17 A. Alexander, J. Owers, R. A. Carveth, C. A. Hollifield, and A. N. Greco, Media Economic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NJ: Mahwah, 2004.
18 이은선, 임연수, "페이스북을 활용한 국내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4권, 제3호, pp.124-155, 2012.
19 A. Lipsman, G. Mudd, M. Rich, and S. Bruich, "The Power of "Like" How Brands Reach (and Influence) Fans Through Social-Media Marketing," J. of Advertising Research, Vol.2, No.1, pp.40-52, 2012.
20 최민혁, 이은선, "페이스북에서 브랜드 애착과 매체 몰입도에 따른 이용자의 태도 변화 연구 하이더의 균형이론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97권, 제4호, pp.122-156, 2013.
21 김재휘,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인터넷 광고효과 측정", 광고정보, pp.75-79, 2008.
22 김태용, "인쇄광고에 대한 수용자 주의투여에 관한 연구: 아이트래킹기법을 활용하여", 광고학연구, 제16권, 제4호, pp.109-135, 2008.
23 R. L. Solso, Cognition & the visual art, Mit Press, 2008.
24 한규훈, "SNS 광고효과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페이스북 이용자 분석을 토대로", 홍보학 연구, 제16권, 제3호, pp.132-168, 2012.
25 이경렬, 목양숙, "뉴미디어광고에 대한 소비자 정보처리과정과 광고패러다임의 변화에 관한 탐색적 고찰", 조형미디어학, 제15권, 제4호, pp.111-118, 2012.
26 Thorsten Henning-Thurau and Gianfranco Walsh, "Electronic Word-Of-Mouth: Consequences of and Motives for Reading Customer Articulations on the Internet," International J. of Electronic Commerce, Vol.8, No.2, pp.51-74, 2004.
27 A. De Bruyn and G. Lilien, "A Multi-Stage Model of Word-of-Mouth Influence," International J. of Research in Marketing, Vol.25, pp.151-163, 2008.   DOI   ScienceOn
28 Rebecca Walker Naylor, Cait Poynor Lamberton, and Patricia M. West, "Beyond the "Like"Button," J. of Marketing, Vol.78, No.11, pp.105-120, 2012.
29 임승희, 이현정, "마케팅 영역의 소셜미디어 연구 지식 구조 분석", 마케팅연구, 제28권, 제2호, pp.155-171, 2103.
30 수밍,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1 이혜정, "미래 컨텐츠 유형에 따른 UX 디자인 모형 적용 연구: 스마트 TV에 한하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7호, pp.1-13, 2010.
32 이상호, "SNS 사용자의 감성인식, 몰입이 구전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사용자 그룹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제18권, 제2호, pp.1-23, 2013.
33 E. C. Hirschman and M. B. Holbrook, "Hedonic consumption," J. of Marketing, Vol.46, No.8, pp.92-101, 1982.
34 김병택, 김영헌, "모바일 증강현실 정보시각화 분석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디자인지식저널, 제16권, 제1호, pp.72-81, 2010.
35 설진아, 소셜미디어와 사회변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36 Gartner, "Forecast: Social Media Revenue, Worldwide, 2011-2016," 2012. 6. 25.
37 이주영, "소셜미디어 서비스 현황 및 활용: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정책, 제25권, 제2호, pp.45-65, 2013.
38 한은경, 임수현, "소셜미디어의 신뢰도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92권, 제1호, pp.7-29, 2012.
39 Andrew A. Mitchell and Jerry C. Olson,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J.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pp.318-332, 1981.   DOI   ScienceOn
40 K. Mogg, B. P. Bradley, M. Field, and J. De Houwer, "Eye movements to smoking-related pictures in smokers: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al biases and implicit and explicit measures of stimulus valence," Addiction, Vol.98, pp.825-836, 2003.   DOI   ScienceOn
41 이해룡, 박준석, 이전우, "감성 UX 기술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5호, pp.76-89,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