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 anxiety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37초

청소년의 정신건강문제가 자살 관련 행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The influences of mental health problem on suicide-related behaviors among adolescents: Based on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 박은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6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e-related behaviors (ideation, plans, and attempts) focusing on mental health problems (anxiety, depression, and lonel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s: A secondar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the 16th Korean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collected from in 2020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i-square tests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After the adjustmen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risk behaviors, the influences of mental health problems on suicidal ideation, plans, and attempts showed the anxiety odds ratio (OR) for severe anxiety vs. minimal (OR 4.65, 4.67, and 3.75), depression (OR 4.27, 3.69, and 4.49), loneliness (OR 2.18, 1.96, and 1.96). Health risk behaviors (violence experience, drug use, stress,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and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school record, and socioeconomic status)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e-related behaviors. Conclusion: Anxiety, depression, and loneliness were strong predictors of suicide-related behaviors. Early detection of suicide risks through screening for comprehensive mental health problems was recommended. Suicide prevention that considers the risk factors, including mental health problems and other risk factors, needs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reduce suicide risks among adolescents.

시험불안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 국민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 (TEST ANXIETY AND ACADEMIC PERFORMANCE)

  • 송숙희;김재은;정현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권1호
    • /
    • pp.11-23
    • /
    • 1991
  • 본 연구는 국민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불안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시험불안의 발달차, 성차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학생의 경우 전체 12개 교과목중 국어, 미술, 사회, 음악, 실과, 한문의 6개 교과목에서 시험불안과 부적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불안 수준에 따른 6개 교과목의 학업성취도 및 각 교과목별 학업성취도 비교에서 시험불안이 높을 수록 학업성취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때 시험불안이 학업성취에 일반적으로 해로운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시험불안 수준에 따라 그 영향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실험불안의 차이에 있어서는, 국민학생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시험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은 성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학생의 경우, 시험불안은 학업성취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여학생의 시험불안이 더 높다면 평가상황에서 여학생이 해로운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셋째, 시험불안의 발달차에 있어서는 국민학생의 경우 학년간에 시험불안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에 따른 시험불안의 변량분석 결과에서는 의미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054로 임계치(P<.05)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어느 정도의 발달차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농촌 청소년의 희망과 문제행동, 성적 및 학업지연행동과의 관계 (Levels of Hop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 Academic Records and Procrastination among Rural Adolescents)

  • 이창식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8권4호
    • /
    • pp.879-902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hop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 academic records and procrastination among rural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579 rura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ree counti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thway and agency thinking of rural adolesc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records and procrastination. But only agency thinking of rural adolesc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linquency among problem behaviors. Second, as a result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groups of high hope of rural adolescents were lower in depression and anxiety than groups of low hope, but were higher in academic records and procrastination.

아동용 외상관련 증상 평가척도의 효용성 - 성폭력 피해 아동과 일반 아동의 비교 - (The Effectiveness of Traumatic Symptom Checklist for Children(TSCC) - Comparisons of Sexually Abused Children and Nonabused Normal Children -)

  • 손소영;김태경;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8권1호
    • /
    • pp.49-57
    • /
    • 2007
  • Objectives : The research is designed in order to know how much Traumatic Symptom Checklist fur Children(TSCC) is effective in the case of child abuses, especially in the estimation of the psychopathology of child sexual abuse. Methods : A sample includes a group of thirty children of 4th, 5th and 6th grade whose sexual abuse have confirmed and also a group of thirty four normal kids who have no abuse. Along with TSCC,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were used to children and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sexual behaviors (CSBI), and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SADS-PL) record sheets were used to kids' parents. Results : In case of the sexual abuse group, the most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e analyzed result is shown at sexual concerns scale which is one of the clinical scale in TSCC (p<.01). Also, the sexual abuse group has the meaningful higher score than the general group's one in the stress scale after the other anxiety, depression, anger and dissociation (p<.01). Conclusion : The scale of TSCC has relatively shown the characteristic symptom and severity which were gained from the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trauma, especially sexual abuse.

  • PDF

북한이탈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문화변용정체성에 관한 연구 (Problem behaviors, Cultural Identity and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 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4-154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behaviors, cultural identity and acculturation of North Korean (NK) refugee youth and to suggest an appropriate approach for helping them to adjust to our society based on these findings. Methods: The subjects were 117 NK adolescent refugees in Hanawon. Data were collected by a demographic questionnaire, Youth Self Report (YSR), the South-North Korean cultural identity. Results: Problem behaviors of NK refugee youth were the highest in anxiety/depression and withdrawal behavior and were followed by internalized behavior, aggressiveness, overall problem behavior, externalized behavior, delinquency and positive behavior in that order. Acculturation was the highest in 'separation' followed by 'integration', 'assimilation' and 'marginalization' in that ord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cculturation types and problem behaviors except positive behavior.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some important information that we have to develop specific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primarily focused on withdrawal, anxiety/depression, and internalization for the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of NK refugee youth. It is necessary to explore further research related to cultural identity, acculturation process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cculturation types and problem behaviors.

부모의 성격 및 자녀의 성격과 자녀의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Offspring's Personality and Offspring's Psychological Adaptation)

  • 이숙희;김태호;전영순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1호
    • /
    • pp.56-63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of parent and offspring, and offspring's psychological adaptation. Methods: We examined temperament and character of 65 parents and their offspring (measured using the Junior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and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and offspring's internalizing (anxiety,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delinquency, hyperactivity) problems. Results: The internalizing problems of offspring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arm avoidance (HA) of offspring and parent,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directedness (SD) of offspring and parent. The externalizing problems of offspring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novelty seeking of offspring, and were predicted by SD of parent.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HA and offspring's HA predicted higher levels of anxiety of offspring. Conclusi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offspring's personality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can depend on the personality of the parent.

Comorbid Psychiatric Symptom Associated With Oppositional Defiant Symptom in Community School-Age Children

  • Yong Hun Kim;Duk-Soo Moon;Na Ri Ka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3호
    • /
    • pp.169-174
    • /
    • 2023
  • Objectives: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is often comorbid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s in childhoo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morbid psychiatric symptoms and associated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ymptoms of ODD.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05 mother-offspring pairs. Psychiatric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Diagnostic Predictive Scales and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Psychiatric comorbid symptoms were compared between children with ODD symptom and those without ODD symptom.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the odds ratio of psychiatric symptom on ODD. Results: ODD group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p=0.001, p<0.001, respectively). ODD group were more comorbid with anxie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conduct disorder. Among psychiatric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djusted odds ratio [AOR]=18.620, p<0.001) and conduct disorder (AOR=9.529, p=0.014) were associated with ODD symptom.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ith ODD symptom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comorbid psychiatric symptoms. And GAD and conduct disorder are related to ODD symptom.

정신과 환자 자녀의 우울, 불안, 자기 개념 그리고 가정환경의 특성에 대한 연구 (IMPACT OF PARENTAL PSYCHIATRIC DISORDER ON OFFSPRING'S DEPRESSION, ANXIETY, SELF CONCEPT AND PERCEPTION OF FAMILIAL RELATIONSHIP)

  • 이정법;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1호
    • /
    • pp.54-66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 환자의 자녀가 정상인의 자녀와 비교하여 불안, 우울 등의 정신병리와 자기 개념,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부모의 정신병리가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밝히기 위함이다. 아울러 환자집단 내에서 환자의 성별에 따라, 환자의 발병 당시의 자녀의 나이에 따라, 환자 진단에 따라 자녀의 불안, 우울 등의 정신병리와 자기 개념,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7년 6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서울, 경기지역의 신경정신과 성인 외래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자녀 중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남녀 학생 52명에게 한국형 소아 상태-특성불안척도,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 한국형 소아자기개념척도, 한국형 가정환경척도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동 수의 정상인 자녀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자녀 내에서는 환자가 남자인지 혹은 여자인지, 환자의 발병 연령이 자녀가 3세 이전이었는지 이후였는지, 환자의 진단이 어떤 것인지에 따라 척도들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과 환자의 자녀들이 정상인의 자녀들과 비교하여 가정환경척도 중 표현력 척도에서 유의하게 낮은점수를 보였고 상태 불안 척도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그러나 소아 자기개념척도의 지적 및 학업 상태 소척도와 인기도 소척도에서는 오히려 환자의 자녀가 정상인의 자녀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2) 환자군 내에서 환자의 남녀 성별에 따른 자녀의 척도들의 차이는 없었다. 3) 환자군 내에서 환자가 자녀 나이 3세 이전에 발병한 경우가 3세 이후에 발병한 경우보다 가정환경척도 중 조절성 소척도 점수는 유의하게 낮고 특성불안척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환자군 내에서 환자의 진단(정신분열병 범주 장애-정동장애-신경증)에 따른 자녀의 척도들의 차이는 없었다. 자기 보고식 설문으로 측정한 우울, 불안 등의 정신병리는 환자의 자녀와 정상인의 자녀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자의 진단이나 남녀 성별의 차이 역시 자녀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자녀가 3세 이전에 부모가 정신질환에 이환 될 경우에는 자녀의 특성불안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향후 고위험군 자녀의 발달학적 측면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자녀의 자기보고 이외에도 부모, 선생님 등의 관찰과의 일치도에 대한 조사, 직접적인 면담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통제된 환경에서의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청소년의 자살사고와 관련된 우울-불안 성향 (ANXIOUS-DEPRESSIVE ATTRIBUTES TO SUICIDAL IDEA OF ADOLESCENTS)

  • 진용탁;하은혜;송정은;박은영;최태규;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95-102
    • /
    • 2003
  • 목 적: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성향과 관련된 정서적 특성을 지역사회연구를 통하여 조사함과 아울러 우울불안 집단을 설정하여 그들의 충동성과 자살사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경기도 고양시의 1909명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 for Depression(CES-D),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RCMAS), Youth Self Report(YSR)의 Anxious/Depressed subscale을 사용하여 우울불안집단을 선정하였고, 대조집단과 비교하여 PS-1 of Offer's Self Image Questionnaire(PS-1 of OSIQ), Suicide Ideation Questionnaire(SIQ) 척도점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자살사고와 관련된 정서적 요인들과의 상관성 및 자살사고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결 과:우울불안집단을 연구대상의 6.58%를 차지하였으며 남녀비는 약 1:1.5이었다. 또한 우울불안집단에서 대조집단에 비하여 충동성조절 점수는 유의하게 높았고 자살사고 척도 점수도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사고와 관련하여 우울척도, 불안척도, 우울-불안척도 및 자살사고 척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인 요인들이었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과 불안이 자살사고를 예측하는 유의한 요인이었다. 결 론:지역사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살사고의 정서적 요인들 조사한 결과 우울 및 불안성향을 지닌 집단이 자살의 고위험군임을 시사하였으며, 이를 위한 예방적 개입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집단 따돌림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THE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FOR SCHOOL BULLIED)

  • 이주현;신지용;연병길;한창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2호
    • /
    • pp.221-230
    • /
    • 2000
  • 본 연구는 집단 따돌림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의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이다. 정상적인 중학교 1학년 학생 202명에게 도덕발달수준척도, 오퍼 자아상척도, 우울 및 상태 ${\cdot}$ 특성불안척도의 분포와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자아상과 우울, 불안은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도덕발달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도덕발달이 정서에 크게 영향받지 않고 인지 발달적 과정에 의존하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교사의 관찰에 의해 집단 따돌림 피해를 받으면서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보이는 중학교 1학년 학생 5명의 도덕발달수준척도, 오퍼 자아상척도, 우울 및 상태 ${\cdot}$ 특성불안척도는 전체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피해학생들을 대상으로 12회에 걸쳐 인지적 집단 정신치료를 시행하고, 치료 전후에 상기 4가지 척도의 변화를 평가하여 효용성을 검정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참가 학생들이 치료 기간 중에 기재한 일기에서 확인되는 심리적 마음자세(psychological mindedness)의 향상과 담임 교사의 긍정적인 평가보고는 의미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