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ipocytes differentiation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34초

3T3-L1 지방세포에서 진귤 잎 유래 polymethoxyflavones 다량 함유 분획물(PRF)의 항지방생성 및 지방분해 효과 (The Anti-adipogenic and Lipolytic Effect of Jinkyool (Citrus sunki Hort. ex Tanaka) Leaf Extract in 3T3-L1 Cells)

  • 진영준;장미경;김재원;강민영;고희철;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542-549
    • /
    • 2022
  • Polymethoxyflavones (PMFs)는 주로 감귤류에서 발견되는 플라보노이드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재래귤인 진귤(Citrus sunki Hort. ex Tanaka)에서 PMFs를 다량 함유하는 분획물(PMFs-rich fraction, PRF)을 획득하는 방법을 확립하여 3T3-L1 세포에서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RF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생성(lipogenesis)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PRF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𝛾 (PPAR𝛾)와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𝛼 (CEBP𝛼)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fatty acid synthase (FAS), adipocyte fatty-acid-binding protein 2 (aP2)의 발현을 억제하여 지방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숙한 3T3-L1 지방세포에 PRF를 처리하면, cAMP 의존성 protein kinase A (PKA)/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HSL)의 활성화가 일어나 지방분해(lipogenesis)는 촉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PRF는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acetyl-CoA carboxylase (ACC)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지방산화를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진귤 잎 유래 PRF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 및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는 활성을 나타내어 항비만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발효콩 유지의 3T3-L1 지방전구세포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C57BL/6J 생쥐에 대한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Oils in 3T3-L1 Pre-Adipocytes and High Fat Diet-Fed C57BL/6J Mice)

  • 김선웅;김남석;오미진;김하림;김민선;이다영;윤석후;정문웅;김훈중;이창현;오찬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9-28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발효콩 유지가 비만 억제 및 예방,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성장 및 분화 억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발효콩 유지를 처리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NF군 $100{\mu}g/mL$에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생존율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세포독성이 나타났다. 분화를 유도한 다음 세포 내 triglyceride 함량을 측정한 결과, 비발효콩 유지(NF) 처리군보다 발효콩 유지처리군에서 triglyceride 함량 저해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BS, LBA, BLO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BS군, LBA군, BLO군 순으로 지방세포분화 관련 유전자인 $PPAR{\gamma}$의 mRNA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PPAR{\gamma}$ 유전자와 상관관계에 있는 $C/EBP{\alpha}$ 유전자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그리고 adiponectin 유전자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C57BL/6J 생쥐를 이용하여 항비만 활성을 관찰한 결과, 총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해 4주째에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혈액 내 지질농도를 측정한 결과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LBA, BLO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동맥경화 지수인 AI(atherogenic index)는 대조군보다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비만관련 호르몬인 adiponectin의 농도는 SO, BS, LBA, BLO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insulin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Leptin은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발효콩 유지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mRNA 단계에서부터 지방분화를 억제하여 항비만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J 생쥐에서 총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액 내 지질농도인 triglyceride와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과 비만관련 호르몬인 adiponectin, insulin, leptin을 조절하여 항비만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발효콩 유지가 항비만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식품 소재로서 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의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인간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골아세포로의 분화시 관찰되는 유전자 발현 분석 (Gene Expression Profile Associated with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from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 김여경;김희남;이일권;박경수;양덕환;조상희;이제중;정익주;김순학;김형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31-239
    • /
    • 2006
  • 인체의 골수내에 존재하는 중간엽 줄기세포는 성장인자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지방세포, 골아세포, 연골모세포 및 연골세포 등으로 분화됨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인체의 골수으로 얻어진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골아세포의 분화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정상 골수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골유도성 자극보조제로서 $\beta$-glycerol phosphate, L-ascorbic acid 및 dexamethasone을 첨가하여 골아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 세포와 골유도성 자극보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세포를 배양하여 일정 간격으로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계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를 검사하고 이로 인해 얻어진 유전자의 발현량을 분석하기 위해 real time quantitative RT-PCR 을 시행하였다. 골유도성 자극보조제를 첨가한 군에서 첨가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정상적인 골아세포로의 성장이 유도되었고, 분화과정에서 36개의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59개의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주로 골 생성 과정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진 osteoprotegerin, LRP5 및 metallothionein 2A 등의 유전자들이 분화과정에서 발현 증가되어 나타났고,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될 수 있는 조직들 중 근육, 지방, 연골, 혈관 및 신경 조직과 연관된 유전자들은 분화 후기에 감소하거나 혹은 전분화 과정 동안 발현이 억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골아세포의 분화와 연관된 유전자 발현을 확인함으로써 특정 조건하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골아세포로의 분화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과정에 관련된 특정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밝힐 수 있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 독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rcinia cambogia Extract o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and Lipotoxicity)

  • 강은실;함선아;황정석;이창권;서한극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11-416
    • /
    • 2013
  • 본 연구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항비만 효과의 분자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전구세포인 3T3-L1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내 지질 적의 형성 및 중성지방의 축적, 지방 분화 특이 지표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3T3-L1세포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는 MDI로 유도 후, 2일째부터 지방 적 및 중성 지방이 유의하게 축적되기 시작하였는데, 1%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한 세포에서 이러한 지방 적 및 중성 지방의 축적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특이 지표 단백질로 알려진 $PPAR{\gamma}2$, $C/EBP{\alpha}$, aP2와 같은 단백질의 발현 또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palmitate를 처리한 HepG2 세포에서 중성지방의 축적 및 세포사멸을 유의하게 억제함으로써 유리 지방산의 축적에 의한 지속적인 염증 반응으로 유발되는 지방독성(lipotoxicity)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세포 수준에서 비교적 낮은 농도로도 효과적으로 비만을 억제할 수 있으며,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유리지방산에 의한 지방독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섬쑥부쟁이와 쑥부쟁이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anti-adipocyte differentiation of Aster glehni and Aster yomena)

  • 이지연;박정용;김형돈;이승은;이정훈;이윤지;서경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3호
    • /
    • pp.250-2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섬쑥부쟁이 (Aster glehni)와 쑥부쟁이(Aster yomena)의 항산화 효과 및 항비만 효과를 검정하기 하여 물 (-W)과 에탄올 (-E)추출물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히 하였다. 각 추출물을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량을 분석하고 DPPH와 $ABTS^+$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도 분석하였다.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섬쑥부쟁이의 70% 주정 추출물에서 각각 45.42 mg/g와 40.32 mg/g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효과의 경우 또한 $ABTS^+$$IC_{50}$값이 섬쑥부쟁이의 70% 주정 추출물에서 $30.1{\mu}g/mL$로 가장 우수하였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도 유의적으로 통계처리 되어 추출물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섬쑥부쟁이와 쑥부쟁이의 항비만 효능 평가를 위하여 지방세포인 3T3-L1의 분화 억제를 확인하였다.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지방분화를 Oli-Red O 염색약으로 염색하여 비교하여 보았을 때, 섬쑥부쟁이의 물 추출물에서 70.49%의 가장 낮은 지질 축적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섬쑥부쟁이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량, 항산화 활성과 지방분화 억제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섬쑥부쟁이가 안정성이 검증된 항비만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Zinc-chelated Vitamin C Stimulates Adipogenesis of 3T3-L1 Cells

  • Ghosh, Chiranjit;Yang, Seung Hak;Kim, Jong Geun;Jeon, Tae-Il;Yoon, Byung Hyun;Lee, Jai Young;Lee, Eun Young;Choi, Seok Geun;Hwang, Seong G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1189-1196
    • /
    • 2013
  • Adipose tissue development and function play a critical role in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lipid metabolism, and the pathophysiology of metabolic syndromes. Although the effect of zinc ascorbate supplementation in diabetes or glycemic control is known in humans, the underlying mechanism is not well described.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zinc-chelated vitamin C (ZnC) compound o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reatment with ZnC for 8 d significantly promoted adipogenesis, which was characterized by increased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and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Meanwhile, ZnC induced a pronounced up-regulation of the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type 4 (GLUT4) and the adipocyte-specific gene adipocyte protein 2 (aP2). Analysis of mRNA and protein levels further showed that ZnC increased the sequential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the key transcription factors of adipogene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ZnC could promote adipogenesis through $PPAR{\gamma}$ and C/$EBP{\alpha}$, which act synergistically for the expression of aP2 and GLUT4, leading to the generation of insulin-responsive adipocytes and can thereby be useful as a novel therapeutic agent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Cholesterol-induced inflammation and macrophage accumulation in adipose tissue is reduced by a low carbohydrate diet in guinea pigs

  • Aguilar, David;deOgburn, Ryan C.;Volek, Jeff S.;Fernandez, Maria Luz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6호
    • /
    • pp.625-631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high cholesterol (HC) dietary challenge on cholesterol tissue accumulation, inflammati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macrophage infiltration in guinea pigs. A second objective was to assess whether macronutrient manipulation would reverse these metabolic alterations. MATERIALS/METHODS: Male Hartley guinea pigs (10/group) were assigned to either low cholesterol (LC) (0.04g/100g) or high cholesterol (HC) (0.25g/100g) diets for six weeks. For the second experiment, 20 guinea pigs were fed the HC diet for six weeks and then assigned to either a low carbohydrate (CHO) diet (L-CHO) (10% energy from CHO) or a high CHO diet (H-CHO) (54% CHO) for an additional six weeks. RESULTS: Higher concentrations of total (P < 0.005) and free (P < 0.05) cholesterol were observed in both adipose tissue and aortas of guinea pigs fed the HC compared to those in the LC group. In addition, higher concentration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adipose tissue (P < 0.005) and lower concentrations of anti-inflammatory interleukin (IL)-10 were observed in the HC group (P < 0.05) compared to the LC group. Of particular interest, adipocytes in the HC group were smaller in size (P < 0.05) and showed increased macrophage infiltration compared to the LC group. When compared to the H-CHO group, lower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in both adipose and aortas as well as lower concentrations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adipose tissue were observed in the L-CHO group (P < 0.05). In addition, guinea pigs fed the L-CHO exhibited larger adipose cells and lower macrophage infiltration compared to the H-CHO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suggest that HC induces metabolic dysregulation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and that L-CHO is more effective than H-CHO in attenuating these detrimental effects.

Diphlorethohydroxycarmalol of Ishige okamurae and Caffeine Modified the Expression of Extracellular Fibrillars during Adipogenesis of Mouse Subcutaneous Adipose Derived Stem Cell

  • Jeon, Younmi;Song, Siyoung;Kim, Hagju;Cheon, Yong-Pil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3호
    • /
    • pp.275-287
    • /
    • 2013
  • Although, one of the etiologies of localized lipodystrophy of the subcutaneous connective tissue (cellulite) is the histological alternation of adipose tissu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the components of extracellular matrix (ECM) components during adipogenesis are not uncover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affeine and Ishige okamurae originated diphlorethohydroxycarmalol (DPHC) on the expression of extracellualr fibers was analyzed with quantitative RT-PCR during differentiation induction of mouse subcutaneous adipose derived stem cells (msADSC) into adipocyte. The expression levels of Col1a, Col3a1, and Col61a were decreased by the adipogenci induction in a time-dependent manners. However, Col2a mRNA and Col4a1 mRNA expressions were oposit to them. Caffeine and DPHC stimulated the changes of the expression of these collagens. Eln mRNA expression was increased by induction. DPHC stimulated the expression of it. Mfap5 mRNA expression was deceased in both adipogenic cell and matured adipocytes. Caffeine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Mfap5 but the effect of DPHC was different by the concentration. The expression of bioglycan, decorin, and lumican were also modified by caffeine and DPHC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ased on this study, we revealed firstly the effects of caffeine and DPHC on the expression of collagens, elastin, and glycoproteins during adipogenesis of msADSCs. Those results suggest that DPHC may have antiadipogenic effect and has more positive effets on normal adipose tissue generation and work as suppressor the abnormality of ECM structure. Such results indicate that DPHC can be applied in keeping the stability of the ECM of adipogenic tissues.

三元丹 에탄올 추출물이 비만유도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amwondan Ethanol Extract on Obesity Inducer)

  • 강경수;이해진;심부용;박지원;최학주;김동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27
    • /
    • 2015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besity using Samwondan ethanol extract (SWD). SWD is a complex with Salicornia herbacea Linnaeus, Saururus chinensis Baill and Houttuynia cordata Thunberg as the main raw material.Methods : The SWD was extracted 80% ethanol. 3T3-L1 preadipocytes were induced adipogenesis by differentiation media with SWD at 1 μg/mL, 10 μg/mL, and 100 μg/mL. Effect of SWD performed using MTT assay, oil red O staining (observation by microscope),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lso we measured production of triglyceride (TG), fatty acid,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Results : Non-cytotoxicity was in all test group from range of 1 μg/mL to 100 μg/mL on pre-adipocyte. The droplet and production of lipid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SWD. And TG was decreased by approximately 89%, 85% and 82%, upon the SWD treatment at concentration of 1 μg/mL, 10 μg/mL, and 100 μg/mL. Moreover, the SWD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the C/EBP (CCAAT/enhaner binding protein)β, C/EBPα,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genes in adipocytes. The SWD at 100 μg/mL concentration showed inhibitory effect on fatty acid production by 79%. Also ACC production were decreased dose-dependently.Conclusions : From the results above, we concluded that the SWD indicated significantly anti-obesity effects.

Association of Adiponectin Receptor (Adipo-R1/-R2) Expression and Colorectal Cancer

  • Ayyildiz, Talat;Dolar, Enver;Ugras, Nesrin;Adim, Saduman Balaban;Yerci, Om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385-9390
    • /
    • 2014
  • Introduction: Human adiponectin (ApN) is a 30 kDa glycoprotein of 244-amino acids which is extensively produced by adipocytes. ApN acts via two receptors, namely adiponectin receptor-1 (Adipo-R1) and adiponectin receptor-2 (Adipo-R2). Studies have shown the presence of Adipo-R1 and Adipo-R2 expression immunohistochemically in human colorectal cancers (CRCs). However, only a few studies exist which investigated effects of adiponectin receptor expression on CRC characteristics.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explore Adipo-R1/-R2 expression in human colorectal cancers and any association with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enrolled 58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tumor resection and a control group of 30 subjects with normal colon mucosa. Results: Positivity for Adipo-R1/-R2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to the patient group (both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dipo-R1/-R2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sex tumor location, pTNM stage, Duke's stage, metastasis,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perineural invasion, venous invasion sex, lymphatic invasion, cancer-related mortality, tumor size and recurrence. Adipo- R1/-R2 positivity was also not significantly linked to progression-free or overall survival [p values (0.871, 0.758) and (0.274, 0.232),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significantly reduced Adipo-R1/-R2 expression was found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it had no influence on survi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