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ction to smartphone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초

디지털 시대 청소년의 외로움,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Loneliness,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in the Era of Digitalization)

  • 김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335-343
    • /
    • 2017
  • 다수 연구들에서는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청소년들은 스트레스를 더 받으며, 그들은 외로움과 스트레스를 달래기 위하여 쉽게 스마트폰 중독에 빠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관련 연구들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들에게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들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주제들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외로움, 스트레스,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주제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위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15일 동안 실시하였다. 총 356명이 설문조사에 참가하였으며, 이 가운데 327명의 설문조사 내용을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의 4개 하부 요인들인 일상생활 장애, 가상세계 지향, 금단, 내성이 모두가 청소년들이 지각하고 있는 외로움과 스트레스의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은 청소년들의 정신적 건강, 특히 외로움과 스트레스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환경적 요인의 관계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Ecological Factors of Elementary Students)

  • 조권형;김수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91-49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환경적 요인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생태체계요인으로서 통학구역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실태 및 역기능 실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통학구역은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비율이 높은 학교와 낮은 학교를 선정하여 769명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태체계요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통학구역에 따라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및 역기능 실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통학구역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생태체계요인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 분석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은 개인적인 성향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 가정, 학교 및 사회가 협력해야 하는 문제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Impacts of University Students' Aggression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rough Smartphone Addiction

  • Cha, Eun-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75-82
    • /
    • 2021
  • 이 연구는 대학생의 공격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특히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지 확인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G광역시의 5개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거된 368부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대학생의 공격성이 심각할수록 스마트폰 중독이 더 심각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공격성이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각할수록 대학생활적응수준이 더 낮았다. 넷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공격성과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유의한 완전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이상의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활적응수준의 제고를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동의 미디어 기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모 감독의 순차적 매개 효과 (The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Children's Media Dependency: Sequentially Mediated by Mothers' Work-Family Strains and Parental Monitoring)

  • 이희원;김도리;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3호
    • /
    • pp.573-583
    • /
    • 2024
  • Smart devices have become an essential part of human life; however, excessive dependency on these devices has become a serious issue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which hypothesized that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influences children's media dependency, and that this effect is sequentially mediated by mothers' work-family strains and parental monitoring. To test this hypothesis, an analysis of data from the 13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conducted in 2020, was perform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26 children (359 boys, 367 girls) with an average age of 12.23 years (SD=.30).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7.0 and Process MACRO Ver. 4.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ternal smartphone addiction increased mothers' work-family strains, which in turn lowered the level of parental monitoring, which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children's media dependency. Furthermor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children's media dependency. In sum,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increased children's media dependency, and this effect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an increase in mothers' work-family strains and a decrease in parental monitoring. This study verifies that mothers' smart device usage as well as their working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media dependency. Therefore, to increase parental monitoring of children's media usage, mothers' work-family strains need to be reduced.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생활 스트레스, 가족 의사소통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ife Stress, and Family Communication in Nursing Students)

  • 서기순;방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98-407
    • /
    • 2017
  • 간호대학생은 교육과정의 특성상 스트레스가 심하고 가족과의 대화시간이 부족하며 스마트폰 중독률이 높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생활 스트레스, 가족 의사소통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D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재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위험 사용자군 24명(14.0%),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50명(29.0%), 일반 사용자군 98명(57.0%)으로, 74명(43.0%)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 사용자군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 중 스마트폰 중독 위험 사용자군은 일반 사용자군보다 생활 스트레스가 높고(t=3.15, p=.002), 가족의사소통이 좋지 않으며(t=-2.53, p=.012), 스마트폰 중독은 생활 스트레스(r=.27, p<.001) 및 가족 의사소통(r=-.26,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폰 이용시간, 생활 스트레스, 일상에서 스마트폰이 중요한 정도, 가족 의사소통이며, 이 요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31.3%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스마트폰 이용방법, 스트레스 관리, 가족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춘 개인적 및 집단적 차원의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개인특성, 환경특성, 스마트폰특성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정도 및 일상생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The Effects of Personal, Environmental, SmartPhone Characteristics Factors on the SmartPhone Addiction Degrees and Daily Life of University Students)

  • 안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39-50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특성, 환경 특성, 스마트폰 특성으로 나누어 이러한 특성이 스마트폰 중독정도 및 일상생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폰 사용이 일상화되어 있어 스마트폰 중독에 쉽게 노출되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총 37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SPSS와 SmartPLS 2.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 특성 중 유능감과 관계성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특성 중 사회적 영향이 클수록 스마트폰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특성 중 편재성은 스마트폰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라 일상생활의 변화에 긍정적 및 부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의 부정적인 측면만을 부각시켜 무조건 억제할 것이 아니라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father's rearing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 김정현;정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126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 그리고 자녀가 지각하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지각하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11개 중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570명의 남녀학생이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조사결과, 중학생의 22.4%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군 학생들이 일반사용자군보다 더 오랜 기간 스마트폰을 사용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부모와의 마찰 경험이 더 많았고,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은 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각하는 아버지의 양육태도 중 애정-합리적 설명형 양육태도와는 부적 상관을, 비일관성-과잉간섭형 양육태도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에서 자녀가 지각하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함께 올바른 부모 양육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환관과 가족환경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이외선;이경숙;김득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433-441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고등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일부터 12월 23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SPSS/WIN 23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범위 1~5점)는 2.75점, 감성지능(범위 1~5점)은 3.63점, 스마트폰 중독(범위 1~4점)은 2.18점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는 감성지능과는 부적 상관관계(r=-.15, p =.030), 스마트폰 중독과는 정적 상관관계(r=.25, p<.001), 감성지능은 스마트폰 중독과 부적 상관관계(r=-.25, p<.001)를 보였고 감성지능이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를 조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0.45, p<.001).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고등학생의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정서표현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ir Smart Phone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Concept)

  • 박순아;박근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55-26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표현, 스마트폰중독, 자아개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5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21일까지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서표현과 자아개념은 정적상관관계이었고(r=.286, p<.01), 스마트폰중독과는 부적 상관관계 이었다(r=-.261, p<.01). 자아개념과 스마트폰중독은 부적 상관관계(r=-.247, p<.01)가 있었다.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정서표현을 잘할수록 자아개념은 높아졌고(${\beta}=.286$, p<.001),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중독은 감소하였다(${\beta}=-.269$, p<.05). 자아개념은 정서표현과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되었다(Z=3.447, p<.001). 이에 대한 설명력은 8.4%이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중재 개발 시 정서표현과 자아개념을 함께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따른 잠재집단탐색 및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 (Identifying the Latent Group in the Patterns of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up Identification)

  • 이채연;엄정호;강한별;이상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21-235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중심으로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잠재집단구분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학업성취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잠재계층분석 결과,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따른 잠재집단은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학업스트레스 없는 중간수준 스마트폰 몰입집단'으로 학업 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영역이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하위영역에서 평균 수준의 수치를 나타냈다. 두 번째 집단은 '중간수준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몰입집단'으로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세 번째 집단은 '중간수준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비몰입집단'으로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 평균보다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은 다른 집단보다 월등히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성별과 학년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두가지 다른 요소라고 볼 수 있는 학업 관련 변인인 학업 스트레스와 정신보건 관련 변인인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융합적으로 연관시켜 분석을 통해 집단의 특성을 분류하고 차별적 개입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