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learning method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32초

Determining Nursing Student Knowledge, Behavior and Beliefs for Breast Cancer and Breast Self-examination Receiving Courses with Two Different Approaches

  • Karadag, Mevlude;Iseri, Ozge;Etikan, Ilk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9호
    • /
    • pp.3885-3890
    • /
    • 2014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nursing student knowledge, behavior and beliefs for breast cancer and breast self-examination receiving courses with a traditional lecturing method (TLM) and the Six Thinking Hats method (STHM). Materials and Methods: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69 second year nursing students, 34 of whom received courses with traditional lecturing and 35 of whom received training with the STHM, an active learning approach. The data of the study were collected pre-training and 15 days and 3 months post-training. The data collection tools were a questionnaire form questioning socio-demographic features, and breast cancer and breast self-examination (BSE) knowledge and the Champion's Health Belief Model Scale. The tests used in data analysis were chi-squar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The mean knowledge score following traditional lecturing method increased from $9.32{\pm}1.82$ to $14.41{\pm}1.94$ (P<0.001) and it increased from $9.20{\pm}2.33$ to $14.73{\pm}2.91$ after training with the Six Thinking Hats Method (P<0.001).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pre and post-training perceptions of perceived confidence in both grou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raining, and 15 days and 3 months post-training frequency of BSE in the students trained according to STHM (p<0.05).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raining and 3 months post-training frequency of BSE in the students trained according to TLM. Conclusions: In both training groups, the knowledge of breast cancer and BSE, and the perception of confidence increased similarly. In order to raise nursing student awareness in breast cancer, either of the traditional lecturing method or the Six Thinking Hats Method can be chosen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of the teaching material and resources.

고등학교 생물 '물질대사' 단원에서 협동학습의 효과: STAD 모형의 적용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o Study the Unit 'Metabolism' in High School: Application of STAD Model)

  • 정영란;이혜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5-46
    • /
    • 2003
  •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은 과학 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간주되어 왔고 현 사회의 교육이 담당해야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오래 동안 과학 수업을 받은 후에도 학생들의 문제 해결 수준은 향상되지 않았고 이에 효과적인 교수 방법으로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토론을 기반으로 긍정적 상호 의존성을 기르면서 문제 해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협동학습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고등학교 생물 분야에서는 타 과학 과목에 비해 협동학습을 적용한 충분한 연구가 수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교 자연계 생물II의 'II. 물질대사' 단원에 대하여 협동학습을 실시한 후. 학업 성취도 및 과학 학습 태도에 대한 효과를 전통적 수업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여자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 학생들 100명이며, 2개 학급 중 한 학급의 협동학습을 실시하고 나머지 한 학급은 전통적 수업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검사도구는 학업 성취도 검사지의 경우 단원의 내용 및 수업 목표를 근거로 객관식 24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과학 학습 태도 검사 도구는 김인희(1994) 연구에서 개발된 총 40개의 리커어트 척도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 집단(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설계에 기초하여 협동학습의 모형 중 STAD모형을 적용하였고 5주 동안 총 13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협동학습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전통적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지 않았다(p> .05). 협동학습은 상위 및 중위 수준의 학생들에게 효과가 없었으나 학위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전통적 수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p< .05). 협동학습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 학습 태도 변화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었다.(p< .05). 과학 학습 태도에서 4개의 하위 영역 중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의 영역에서는 협동학습이 전통적 수업 보다 효과가 없었으나(p> .05)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협동학습이 효과적이었다(p< .05). 협동학습은 상위 및 중위 수준의 학생들의 과학 학습태도를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없었으나 하위 수준의 학생들에는 효과적이었다(p< .05).

상호작용적 사이버가정학습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Interactive Cyber Home Study)

  • 송태옥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3-4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사이버 가정학습을 위하여 상호작용적 사이버 가정학습 모형의 개발, 선택교육과의 연계, 실시간 비실시간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개발, 사이버 가정학습 체제의 교육적 가능성을 검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록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교실환경에서의 학습과 사이버 가정학습 환경에서의 학습에 차이가 없다는 점은 향후 학교교육의 대안적 체제로서 사이버 가정학습체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실시간 상호작용도구의 사용에서 오는 새로운 경험과 흥미에 기인하여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도가 24%에서 54%로 증가되었는데, 이는 상호작용도구의 중요성과 사이버 가정학습 체제의 비전을 제시해주는 결과이다. 셋째, 사이버 가정학습시스템이 WAN에서 운영된다는 점에서 보다 나은 사양의 시설을 필요로 하므로, 이미 구축된 인프라에 대한 개선 작업이 필요하다.

  • PDF

Doc2Vec 모형에 기반한 자기소개서 분류 모형 구축 및 실험 (Self Introduction Essay Classification Using Doc2Vec for Efficient Job Matching)

  • 김영수;문현실;김재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3-112
    • /
    • 2020
  • Job seeker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find a good company and companies attempt to recruit good people. Job search activities through self-introduction essay are nowadays one of the most active processes. Companies spend time and cost to reviewing all of the numerous self-introduction essays of job seekers. Job seekers are also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of their self-introduction essays by companies. This research builds a classification model and conducted an experiments to classify self-introduction essays into pass or fail using deep learning and decision tree techniques. Real world data were classified using stratified sampling to alleviate the data imbalance problem between passed self-introduction essays and failed essays. Documents were embedded using Doc2Vec method developed from existing Word2Vec, and they were classifi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decision tree model was chosen as a benchmark model, and K-fold cross-validation was conduct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As a result of several experiments, the area under curve (AUC) value of PV-DM results better than that of other models of Doc2Vec, i.e., PV-DBOW and Concatenate. Furthmore PV-DM classifies passed essays as well as failed essays, while PV_DBOW can not classify passed essays even though it classifies well failed essays.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embedded using the PV-DM model is better than the decision tree-based classification model. The implicati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is that company can reduce the cost of recruiting good d job seekers. In addition, our suggested model can help job candidates for pre-evaluating their self-introduction essays.

후미등 하단 학습기반의 차종에 무관한 전방 차량 검출 시스템 (Lower Tail Light Learning-based Forward Vehicle Detection System Irrelevant to the Vehicle Types)

  • 기민송;곽수영;변혜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09-620
    • /
    • 2016
  • 최근 발생빈도가 높은 차량 간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운전자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한 전방 충돌 경고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충돌 회피를 위한 차량 시스템에 자동으로 차량을 검출하는 기술은 필수적 요소이다. 기존의 학습 기반 차량 검출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면 전체를 학습하며, 외형이 다른 승용차와 트럭, SUV의 경우 클래스를 분류하여 학습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종에 관계없이 후미등 하단 부의 외형은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하단부에 한해 Haar-like feature를 학습함으로써 전방 차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검증단계로서 후미등 검출을 통해 실제 차량과 차량이 아닌 것들을 분류하고 후미등 검출이 어려운 작은 크기의 후보 영역은 HOG(Histogram Of Gradient) 특징과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기를 통해 검증하여 오검출률을 낮추었다. 도로 주변에 건물이 많은 복잡한 영상에서도 차종에 관계없이 95%에 해당하는 정확도를 보여 전방 차량 검출 성능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RSSI기반 지능형 위치 추정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SSI-based Intelligent Location Estimation System)

  • 임창균;강오성;이창영;김강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9-1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로봇이 주어진 환경에서 물건 객체를 찾기 위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지능형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개발된 지능형 시스템은 인공 신경망 시스템으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값을 입력으로 하고 절대 위치 좌표 값을 목표 값으로 하는 학습 시스템이다. 위치 추정을 위하여 수동형 RFID를 사용하였으며 능동형으로의 확장도 고려하였다. 실내에서 위치 추정을 위한 환경을 구축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설계된 시스템을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였고, 실험을 통해 테스트베드 상에서 시스템 학습과 관련된 결과를 보여준다. 실제 현장과 유사한 환경에서 학습데이터 생성에서부터 실시간 위치 추정과 관련된 다양한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실험 결과를 통해 모바일 로봇이 실내에서 원하는 객체를 쉽게 찾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Home Network System)

  • 신재욱;윤바다;김성길;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65-468
    • /
    • 2007
  •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기반의 저 전력, 저 비용의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기반의 사용자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과 Dynamic multi-hop routing 시스템, 학습형 통합 리모컨을 활용한 능동적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을 각각 설계하여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현 하였다. 지능형 서비스를 위해 반드시 팔요한 사용자 위치 정보는 RSSI기반의 삼각측량을 통해 계산하고 측정된 위치 정보값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Smoothing Algorithm을 적용하였다. 또한 지능형 홈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자가 휴대하는 무선 센서노드를 Layout 하여 설계, 제작하였으며 수집된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와 환경 센서 데이타는 Dynamic multi-hop routing을 통해 서버 프로그램으로 전달되며 각종 계산을 통해 사용자 위치정보와 환경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 PDF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에서 컴퓨터그래픽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6학년 포스터 표현지도 내용을 중심으로- (Utilizing Plan for Computer Graphics in Elementary Design Education - Focusing on Poster Expression Lessons -)

  • 정우석;문현주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9권
    • /
    • pp.117-13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제9단원 $\ulcorner$알리는 것 꾸미기$\lrcorner$의 포스터제작에 있어서,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한 표현지도에 중점을 두어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초등학교 고학년의 포스터제작에 있어서 컴퓨터그래픽이 새로운 표현 도구로서의 그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미술교육의 새로운 매체로써 컴퓨터그래픽이 지니는 다양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종이와 붓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이미지나 원하는 색을 순간적으로 선택하여 화면에 적용시키는 활동 속에서 아동들의 창의적인 표현활동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는 21세기 미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현대의 다양해진 시각적 문해력 신장에도 일조하리라고 보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는 미술수업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 PDF

동료 및 자기 평가 피드백을 통한 대학생 말하기 교육 방안 (Speaking Education Plan for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the Method of Peer and Self Evaluation Feedback)

  • 최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73-580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의 말하기 교육 유형인 발표와 토론 수업을 중심으로 동료 및 자기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말하기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을 탐색해보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내용은 H대학교의 교양 필수인 <독서와 소통> 수업을 수강한 1학년 학생들로 '읽기, 말하기, 쓰기'의 통합 활동 중 말하기 활동과 그 효과에 한정하여 제시한 것이다. 말하기 교육에서 동료 및 자기 평가와 피드백은 학생들 간에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고 협력 하에 말하기에 필요한 역량 함양과 자기 발견 및 소통을 통한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연구결과, 다양한 말하기 실습을 통해 말하기 태도 및 심리적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평가와 피드백 활동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효과를 가져다 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현실적이며 유용한 말하기 교육 및 지도 방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도움자료의 개발과 효과 분석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for stow learners in mathematics and the analysis of its effect)

  • 이남훈;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9권2호
    • /
    • pp.89-105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 material for slow learners in mathematic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To achieve the first goal, several pre-used teaching material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ere analyzed to set up a framework fur developing new teaching material. Using these developed framework and curriculum data, 370 units of lesson were developed from the 3rd grade to the 6th gr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aterial, 3 slow learners (2 from the 5th and 1 from the 6th grade) were selected through diagnostic tests. Then supplementary lessons were administered after school to relieve their disability accordingly for seven months. During the lessons(lasted about 40 minutes), teacher observed the subjects in detail and .judged the teaming sequence and the learning pace. Through this observation and the test administered after the treatment,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 First, the supplementary lessons using the developed teaching material helped slow learners understand mathematics and solve problems. Especially, the test scores gained on formative evaluation became higher. This might be caused by the material that enabled to relieve the disablement and the teaching method that aimed to give a meaningful mathematical experience. Second, the supplementary lessons affected positively to the affective domain of the slow learners. They convinced themselves to their mathematical ability and became active in their mathematics class. This was observed by researcher and the class teacher in their lessons.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their ability is quite important for mathematics learning especially fur slow learners in mathe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