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aldehyde concentration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 of Zinc-enriched Yeast FF-10 Strain on the Alcoholic Hepatotoxicity in Alcohol Feeding Rats

  • Cha, Jae-Young;Heo, Jin-Sun;Cho, Young-S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207-1213
    • /
    • 2008
  • The possible protective effects of highly zinc-contain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strain, isolated from tropical fruit rambutan on acute alcoholic liver injury in rats were evaluated. Zinc concentration in this strain was 30.6mg%. The activities of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amma$-GTP) were highly increased when alcohol was treated, relative to the normal rats. Also, a high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blood alcohol and acetaldehyde levels by alcohol treatment was observed. Administration of FF-10 strain markedly prevented alcohol-induced elevation of the activities of serum ALT, AST, and $\gamma$-GTP, and the levels of blood alcohol and acetaldehyde, and these reduced levels reached to that of normal rats. As compared with alcohol treated control rats, the FF-10 strain supplementation showed highly decreased the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serum. Alcohol treatment induced the marked accumulation of small lipid droplets, hepatocytes necrosis, and inflammation, but FF-10 strain administration attenuated to alcohol-induced accumulation of small lipid droplets and hepatocyte necrosis in the liver. Therefore, the current finding suggests that zinc-enriched yeast FF-10 strain isolated from tropical fruit rambutan may have protective effect against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페피노 추출액이 흰쥐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pino Extract on Alcohol Metabolism in Rats)

  • 최지은;김지영;정보영;박금덕;이인숙;조남지;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42-134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페피노(Solanum muricatum Ait.) 과실추출액이 흰쥐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페피노 추출액이 알코올 투여 쥐의 혈 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 GOT와 GP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페피노 추출액($11.4^{\circ}$ Brix) 투여 시, 혈 중 알코올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31.5% 감소하였으며 혈 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페피노 추출액을 농도별로 알코올 투여 30분 전에 투여 시, 혈 중 알코올 농도는 $1^{\circ}$ Brix 페피노 추출액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56.4%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혈 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효과는 페피노 추출액 농도가 $1^{\circ}$ Brix일 때 가장 좋았다. $1^{\circ}$ Brix 페피노 추출액을 투여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혈 중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투여 1, 3, 5시간 후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각각 19.9%, 45.4%, 60.7% 감소하였다. 혈 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는 알코올 투여 5시간 후, 대조군보다 약 19% 낮게 나타났다. GOT, GPT 활성은 모두 정상범위에 속해 알코올의 1회 투여로는 간 손상을 일으키지 않았다. 페피노 추출액은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의 혈중 알코올을 낮추어 흰쥐의 알코올 대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Emissions and Catalytic Conversion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nic Control Engine Using Ethanol Blended Gasoline as Fuels

  • Cho Haeng-Muk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9권7호
    • /
    • pp.722-728
    • /
    • 2005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ethanol blended gasoline on emissions and their catalytic conversion efficienc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a multiple-point EFI gasoline engine, The results show that with the increase of ethanol concentration in the blended fuels, THC emissions were drastically reduced by up to thirty percent, And brake specific fuel consumption was increased, but brake specific energy consumption could be improved. However, unburned ethanol and acetaldehyde emissions increased. Pt/Rh based three-way catalysts were effective to reduce acetaldehyde emissions, but had low catalytic conversion efficiency for unburned ethanol. The effect of ethanol on CO and NOx emissions and their catalytic conversion efficiency had close relation to the engine's speed, load and air/fuel ratio. Furthermore fuels blended with thirty percent ethanol by volume could dramatically reduced THC CO and NOx emissions at idle speed.

메탄올 자화성 효모의 분리, 동정 및 Aldehyde 생산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ldehyde Producing Methanol Utilizing Yeast)

  • 윤병대;김희식;권태종;양지원;권기석;이현선;안종석;민태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30-636
    • /
    • 1992
  • 토양으로부터 19균주의 메탄올 자화성 효모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중 높은 균체농도와 aldehyde 생산을 보인 균주를 선별 및 동정하여 Hansenula nonfermentant KYP-1으로 명명하였다. Aldehyde 생산은 메탄올 자화성 효모의 균체를 생촉매로 하는 resting cell system에서 행하였으며, 조사된 aldehyde 가운데 acetaldehyde의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최대의 aldehyde 생산은 40시간 배양한 균체를 생촉매로 이용하였을 때 얻어졌다.

  • PDF

다이설피람-에탄올 반응에 의한 저체온증 1례 (A case of Hypothermia Resulting from Disulfiram-Ethanol Reaction)

  • 배현아;어은경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4-57
    • /
    • 2004
  • Disulfiram (tetraethylthiuram disulphid) is used in the treatment of chronic alcoholism since it causes an unpleasant aversive reaction to alcohol. It works by inactivating hepatic aldehyde dehydrogenase, leading to pronounced rise in the acetaldehyde concentration when ethanol is metabolized. Acetaldehyde causes alcohol sensitivity, which involve vasodilation associated with feeling of hotness and facial flushing, increased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s, lowered blood pressure, nausea, headache. One of its metabolites, diethyldithiocarbamate (DDC) can inhibit the enzyme dopamine $\beta$-hydroxylase (DBH), this may account for the profound refractory hypotension and hypothermia seen with the disulfiram-ethanol reaction (DER), resulting from norepinephrine depletion. This report is presents the case of a patient we met, who presented with hypothermia caused by the disulfiram-ethanol reaction, and along with a brief review of the subject.

  • PDF

아세트알데하이드 흡착을 위한 활성탄의 첨착 및 개질 효과 (Effect of Impregnation and Modification on Activated Carbon for Acetaldehyde Adsorption)

  • 박진찬;김동민;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72-47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공기청정기 필터용 활성탄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특성이 금속 촉매 첨착 및 관능기 도입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야자각 차의 KOH 활성화를 통해 고 비표면적(1700 m2/g)과 미세기공이 발달한 활성탄을 제조하였으며, 금속촉매 첨착과 관능기 개질을 위해 침지 후 기공 내 건조조건에 따른 첨착 효율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활성탄의 물성은 비표면적 및 기공 분석(BET),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 분석(ICP), 유기 원소 분석(EA) 및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 분석(FT-IR) 등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활성탄 성능 확인을 위해 침지 농도에 따른 아세트알데하이드 흡착성능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로 분석하였다. 첨착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금속촉매 첨착량은 증가하였으며, 비표면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금속촉매 첨착 및 표면개질 활성탄의 파과시험 결과 MgO10@AC, CaO10@AC, EU10@AC, H-U3N1@AC 조성에서 우수한 아세트알데하이드 흡착성능을 보여주었다. 흡착성능이 가장 뛰어난 MgO10@AC에 대해 파과 시간은 533.8 분, 흡착량은 57.4 mg/g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활성탄에 나노 크기의 MgO 촉매를 첨착할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카보닐기와 상호작용하여 흡착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떫은감 '청도반시'의 알코올 발효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for 'Cheongdobansi'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

  • 이수원;이오석;장세영;정용진;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90-494
    • /
    • 2006
  • 청도반시를 이용하여 감와인 및 증류주 개발을 위해 감과실의 알코올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알코올 발효에 적합한 균주를 선별한 결과 S. kluyveri DJ97이 알코올 함량 10.8%, 알코올 수율 96.3%로 높게 나타났으며, 메탄을 함량은 935 ppm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초기 $^{\circ}Brix$와 가수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초기 $22^{\circ}Brix$, 가수 120%(v/w)군간에서 알코올함량 10.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ectinase 무처리군에서 알코올 함량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Pectinase 처리군은 무처리군에 비해 acetaldehyde, n-propanol 및 isobutanol 함량은 낮게 나타났으나 methanol 함량은 증가시키므로 pectinase처리를 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하수관거 및 토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악취 특성 (Odor Characteristics and Concentration of Malodor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a Sewer and Its Outlet)

  • 박상진;권수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457-466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from sewerage facilities such as a sanitary sewers, outlets, and catch basins. In addition, the dominant malodorous VOCs among the compounds in this study were studied. Methods: Waste gas samples were collected at 27 points in a sanitary sewer in commercial and residental areas. The concentrations of seven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cluding benzene and toluene, in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photometer (GC/MS). Odor concentrations were estimated using the concentration data of the VOCs and each compound's threshold limit value. Results: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observed data for acetaldehyde was 15.98 ppb and benzene 1.87 ppb, toluene 82.31 ppb, ethyl benzene 63.12 ppb, m+p-xylene 15.66 ppb, oxylene 18.73 ppb, and styrene 4.39 ppb. VOC concentrations in the commercial area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residential area. VOC concentrations of waste gas emitted from sewer lines was also higher than those at the outlet and in the catch basins. It was estimated that the main malodorous VOC among the seven VOCs was acetaldehyde. Conclusions: As there is little data on VOC concentrations inside sewer facilities in Korea, these data will be helpful for estimating impact assessment of VOCs and establishing a counter-plan for the abatement of VOCs from sewer facilities in the future.

Pectinase처리가 감과실 알콜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ctinase Treatment on Alcohol Fermentation of Persimmon)

  • 정용진;김혁일;황기;이오석;박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78-582
    • /
    • 2002
  • 감과실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알콜발효과정에서 pectinase 처리에 따른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pH 및 총산의 변화는 모든 구간에서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pectinase 처리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의 변화는 실험구간 모두 발효시간 12시간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60시간부터는 변화가 없었으며 72시간에서는 pectinase처리 구간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알콜 함량의 변화는 무처리구보다 pectinase 처리구들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으나 농도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알콜발효수율은 200, 500 ppm 처리구가 9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300, 400 ppm 및 무처리구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알콜발효과정에서 주요 알콜성분은 acetaldehyde, mothanol, ethanol, n-propylalcohol, iso-butylalcohol 및 iso-amylalcohol 5종이 분석되었다. Acetaldehyde 및 methanol 함량은 무처리구가 가장 낮았으며 methanol의 함량은 200 ppm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 pectinase 처리 및 농도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감과실 알콜발효과정에서 pectinase 처리는 알콜수율 증가 등에는 효과적이었으나 methanol 함량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 손상을 유발한 흰쥐에 대한 고 분지아미노산 함유 옥수수 단백가수물의 간 기능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 (BCAA)-enriched Corn Gluten Hydrolysates on Ethanol-induced Hepatic Injury in Rats)

  • 정용일;배인영;이지연;전향숙;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06-711
    • /
    • 2009
  • 옥수수 글루텐 가수분해물(corn gluten hydrolysates, CGH)의 알코올 대사 및 간 기능 보호효과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즉, 흰쥐에게 4주간 시료를 함유한 알코올을 경구투여함에 의해 간 손상을 유도시키고, 혈액 중 생화학적 간 기능 지표(ALP, GOT, GPT), 간세포 내 항산화 효소(SOD, GPX, catalase)와 지질과산화물(MDA) 및 알코올 대사와 관련된 효소(ADH, ALDH, MEOS)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알코올 섭취에 따른 경시적인 ethanol과 acetaldehyde 농도에 대한 시료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알코올성 간 손상을 입은 흰쥐의 체중변화 및 간 중량에 대한 에탄올 투여 및 CGH의 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며, 식이섭취량은 정상군에 비해 CGH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혈중 ALP 활성은 CGH 처치로 30% 감소한 반면, GOT 및 GPT 활성은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알코올성간 손상에 따른 체내 항산화 반응계 중 catalase 효소활성은 알코올 투여군에 비해 CGH 처리군에서 79%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DH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LDH 활성은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해 CGH군에서 20% 정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CGH는 MEOS활성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작용하여 3% CGH을 급여한 그룹에서는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해 20%까지 활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알코올 단회 투여에 따른 경시적인 혈액 중 ethanol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acetaldehyde 농도는 CGH 투여에 의해 급격히 감소하였고, 시간에 따른 곡선 하 면적으로 환산한 결과, 약 60% 정도 감소한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CGH는 알코올대사과정 중 ALDH 및 MEOS 활성에 작용하여 체내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기능 보호효과와 함께 ethanol 대사산물인 acetaldehyde의 체내 배출을 촉진시키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