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tocopherol

Search Result 75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Resveratrol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 생화학 특성, 혈액 내 면역글로불린과 혈액 내 항산화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Resveratrol on Growth Performance, Blood Biochemical Parameter, Immunoglobulin, and Blood Antioxidant Activity in Broiler Chicks)

  • 김동욱;홍의철;지상윤;이왕식;방한태;강환구;김현수;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7-156
    • /
    • 2015
  • 본 연구는 육계사료 내 resveratrol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도체율 및 조직 중량, 혈액 생화학적 성상, 면역 및 혈액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육계 수평아리 (Ross ${\times}$ Ross 308) 320수를 선별하여 육계초기(0~3주령)와 육계후기(3~5주령)의 35일 동안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8처리구(C(-), 대조군; C(+), 항생제 처리군; ${\alpha}$-tocopherol 20 IU 처리군; ${\alpha}$-tocopherol 200 IU 처리군; resveratrol 20 ppm 처리군; resveratrol 200 ppm 처리군; methylated resveratrol 20 ppm 처리군; methylated resveratrol 200 ppm 처리군)를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으로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육계의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차가 없었으나, 종료체중과 증체량은 항생제와 resveratrol 및 methylated reveratrol 처리구에서 무항생제와 ${\alpha}$-tocopherol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도체율과 조직 중량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간과 F낭 무게는 항생제와 resveratrol 20 ppm 및 methylated resveratrol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췌장의 무게는 resvertrol과 methylated resveratrol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맹장 미생물 균총(total microbes, Coliform bacteria, Salmonella, lactic acid bacteria)은 resveratrol과 methylated resveratrol 처리구가 무항생제와 항생제 처리구 및 ${\alpha}$-tocopherol 처리구와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육계 혈액 내 creatinine, BUN, total protein, albumin, AST 그리고 ALT는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globulin 함량은 resveratrol 200 ppm과 methylated resveratrol 20 ppm 처리구에서 무항생제 처리구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처리구 사이에 유의차는 없었다(P<0.05). IgA, IgG와 IgM는 항생제 처리구와 reveratrol 처리구에서 무항생제와 ${\alpha}$-tocopherol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SOD 유사 활성은 resveratrol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MDA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뽕나무 유래 resveratrol은 육계 생산성 개선 및 건강성 유지를 통해 천연 항생제 대체물질로 이용 가능성이 시사된다.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 및 급원식품군의 현황 및 추이 : 제 1~6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Current status and trends in estimated intakes and major food groups of vitamin E among Korean adults: Using the 1~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안서은;전신영;김성아;하경호;정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5호
    • /
    • pp.483-49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과 기여식품군의 현황 및 추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1~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69,665명의 24시간 회상 자료를 한국인 상용식품의 비타민 E 함량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alpha}-$, ${\beta}-$, ${\gamma}-$, ${\delta}-$토코페롤 및 비타민 E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비타민 E의 섭취량은 1998년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3~2015년의 비타민 E 섭취량은 남성 $7.5mg\;{\alpha}-TE/d$, 여성 $6.4mg\;{\alpha}-TE/d$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식품군별 비타민 E 섭취 기여율을 산출하였을 때에는 채소류, 곡류, 난류 순으로 기여율이 높았고, 시간에 따른 추이를 보았을 때에는 채소류의 기여율은 감소하였고 난류의 기여율은 증가하였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이용해 본 연구에서 추정한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 비타민 E의 평균 섭취량이 충분섭취량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섭취 부족현상은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뚜렷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영양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비타민 E의 기능 및 급원식품을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체계적인 방법으로 추정한 한국 성인의 비타민 E 섭취량은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의 개정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나, 한국인 상용식품 내 다양한 형태의 비타민 E 함량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수행되면, 더욱 정확한 비타민 E 섭취량 추정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의 영양식이 상황에 관한 연구 (제 1보) -지방과 비타민 E- (Studies on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Part I) -Lipid and Tocopherol-)

  • 김천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9권5호
    • /
    • pp.289-295
    • /
    • 1986
  • Seven day's menus consist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dietary pattern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Korean nutrition allowances per capital of whole population. After cooking foods one day's meal was collected, homogenized for one week. Nutrients in each day's meal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 Lipids contents were about 23% higher than the data obtained nationwide nutrition survey conducted in 1984. This suggests the increasing tendency of the fat the oil consumption . PUFA ratio in lipid was 35%, that the customary Korean cooking include high confirmiry amount of vegetable oils. Daily tocopherol intake was 8.3mg . This results is believed to as one reference to set up Korean R.D.A for tocopherol.

  • PDF

植物油 脫臭溜出物의 利用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Deodorized Condensates from Vegetable Oils)

  • 김점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7-303
    • /
    • 1974
  • 植物油 脫臭溜出物에 함유되어 있는 sterine과 tocopherol의 效率的인 分離精製方法을 검토하였다. 시료를 가열하여 水層과 油層으로 分離하고 油層을 取하여 메틸에스테르화한 후 脂肪酸을 溜去하였다. 殘油分을 비누화하여 불비누화분만을 抽出, 濃縮한 후 메틸알코올에 녹여, 냉각함으로서 sterine을 분리하였다. 위의 母液을 메틸알코올에 녹인 후 $-20^{\circ}C$ 냉각하여 遊離脂肪酸을 제거하고 이온交換樹脂로 처리하여 高濃度의 tocopherol을 얻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 PDF

제 2형 당뇨병 환자와 정상 성인의 비타민 A와 비타민 E 영양상태 (Vitamin A and Vitamin E Status of Diabetic Patients and Normal Adults in Korea)

  • 오현미;윤지영;조성희;윤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4호
    • /
    • pp.318-326
    • /
    • 2009
  • We evaluated the vitamin A and E status of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normal adults living in Daegu area. Dietary intakes for two non-consecutive days were measured by 24-hour recall method for 76 diabetic patients and 72 normal adults. Plasma levels of retinol and ${\alpha}$-tocopherol were measured using HPLC method. Dietary intakes of vitamin 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iabetic and the normal adults. However, the diabetic patients had significantly lower vitamin E intakes than the normal adults. Major food sources for vitamin A intake were red pepper powder and carrot. Half of the subjects from diabetic as well as normal adults consumed less th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of vitamin A. Plasma levels of retinol and tocopherol were maintained within normal ranges for most of the subjects regardless of diabetic status. Dietary intake of vitamin A was associated with vitamin E intak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vitamin E intake and plasma ${\alpha}$-tocopherol levels. It seems that diabetic patients should try to increase dietary intake of vitamin E, as prolonged lower-level intake of vitamin E could eventually lead to vitamin E deple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magnitude of dietary variance at individual and seasonal levels, and to understand the discrepancies in dietary intake and plasma levels before establishing the dietary reference intake based on Korean dietary pattern.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Volatil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denophora remotiflora)

  • 김성향;최향숙;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9-113
    • /
    • 2007
  • 신선 및 자연건조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한 후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linoleic acid system과 DPPH 방법으로 유리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신선한 모시대에서 산류 4종, 알데하이드류 7종, 알코올류 12종, 에스터류 9종, 탄화수소류 23종, 케톤류 2종 및 기타 3종의 총 60종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자연건조한 모시대에서 확인된 성분은 총 72종으로 산류 6종, 알데하이드류 11종, 알코올류 14종, 에스터류 10종, 탄화수소류 25종, 케톤류 3종 및 기타 3종이었다. Linoleic acid peroxidation 억제효과를 살펴보면, BHT가 가장 높은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였을 때 신선한 모시대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의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자연건조 시료는 동일하였고 동결건조 시료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모시대 휘발성 성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로 측정한 결과, BHT가 가장 높았으며 자연건조한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이 ${\alpha}-tocopherol$ 보다 높은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신선한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도 ${\alpha}-tocopherol$과 같은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 시료는 낮게 나타났다.

달맞이꽃 종자유와 미강유로부터 효소적 합성한 재구성 지질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Evening Primrose Seeds Oil and Rice Bran Oil)

  • 김효진;이경수;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56-1164
    • /
    • 2010
  • 미강유(RBO)와 달맞이꽃 종자유(EPO)를 기질로 한 다양한 몰비율(1:3, 1:4, 1:5)을 가지고 효소촉매를 이용한 재구성 지질을 합성하였다.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 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와 $\gamma$-linolenic acid(C18:3n-6)가 각각 74.9%와 8.1%를 차지하였다. 비율별로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주요 지방산을 살펴보면 oleic acid, linoleic acid, $\gamma$-linolenic acid가 전체 지방산 조성의 88% 이상을 차지하였다. 합성한 재구성 지질은 $\gamma$-linolenic acid를 각각 7.2%(1:3)와 7.9%(1:4), 8.3%(1:5)로 함유하였다. 반응에 사용된 기질 및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TAG 조성을 reversed-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미강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한 peak인 LLL(trilinolein) peak는 감소하였고, 새로운 peak의 형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재구성 지질 및 반응에 사용된 미강유와 달맞이꽃 종자유의 $\alpha$-, $\gamma$-, $\delta$-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미강유는 $\alpha$-tocopherol과 $\gamma$-tocopherol이 각각 7.60, 2.11(mg/100 g)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elta$-tocoph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달맞이꽃 종자유는 $\alpha$-tocopherol 및 $\gamma$-tocopherol은 각각 13.36과 10.82(mg/100 g)를 나타내었다. Phytosterol 함량은 달맞이꽃 종자유가 744.49 m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미강유는 606.64 mg/100 g이었다. 한편, scale-up한 재구성 지질의 phytosterol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반응하기 전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 함량이 3시간 반응 후 감소하였다. 이로써 필수지방산인 $\gamma$-linolenic acid를 함유한 재구성지질을 효소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백서 전상악골 봉합부 확장시 비타민 E에 의한 골형성 촉진 (Stimulation of bone formation in the expanding inter-premaxillary suture by vitamin E, in rat)

  • Uysal, Tancan;Amasyali, Mihri;Olmez, Huseyin;Karslioglu, Yildirim;Gunhan, Omer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37-347
    • /
    • 2009
  • 본 연구는 백서에서 전상악골 봉합부의 확장시 비타민 E($\alpha$-토코페롤) 복용의 골형성 효과를 조직계측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30마리의 50 - 60일된 백서를 6마리씩 5개 집단(대조군과 실험군 4개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실험 집단에서 50 gm의 힘으로 전상악부를 확장하였다. 장치 장착 1일 후, 대조군(Group I)에는 생리식염수를, 실험군(Group II, Group III, Group IV)에는 $\alpha$-토코페롤을 각각 2 mg/kg, 10 mg/kg, 50 mg/kg씩 전상악골 봉합부에 주사하였다. 다른 실험군(Group V)에는 장치 장착 3, 6, 9일 후 각각 10 mg/kg씩의 $\alpha$-토코페롤을 주사하였다. 10일간 유지한 뒤 봉합부에서의 골형성을 조직계측학적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Kruskal-Wallis rank 및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분석하였다. 신생골 면적, 둘레, 직경의 계측치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 < 0.001). $\alpha$-토코페롤을 주사한 집단에서 골 내부구조가 향상되었고, 확장으로 인한 골형성은 주사한 $\alpha$-토코페롤 용량에 비례하여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백서에서 전상악골 봉합부의 확장시 초기 단계에서의 $\alpha$-토코페롤 주입은 골형성을 촉진하고 유지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 방법에 의한 부각의 제조 및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Boogags by Traditional Methods and Improvement of Preservation)

  • 박재익;정계환;김봉섭;허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86-993
    • /
    • 1994
  • 전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쑥 부각, 김 부각을 대두유(대조구)와 대두유+0.01% BHA, 대두유+0.01% tocopherol 등에서 튀겨 OPP비닐 포장하여 $4^{\circ}C(RH{\;}40{\pm}5%)$의 저온 저장, $25^{\circ}C(RH{\;}80{\pm}5%)$의 실온 저장을 하면서 부각에 함유되어 있는 유지를 추출하여 품질 특성과 전통적인 제품 합리화 공정을 보며, 부각식품의 제조는 원료를 물로 세척한 다음, 그늘에서 물빠짐을 한다. 여기에 찹쌀풍를 바르거나 버무려서 건조대에서 80%정도 2~3일 건조한 다음 열풍건조기로 수분이 13%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부각을 건조상태로 포장하여 제품화하거나, $160^{\circ}C$의 기름에서 10초간 튀겨 제품화 할 수 있었다. $4^{\circ}C$의 저온저장과 $25^{\circ}C$의 실온에서 저장할 때 부각제품 추출유지의 산가, 과산 화물가, TBA가 대체적으로 $4^{\circ}C$의 저온 저장에서는 낮게 나타났으며, 품질 변화량도 적었고, $25^{\circ}C$의 실온 저장에서는 자장시간이 경과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이 많이 증가하고 품질변화량이 컸다. 부각을 대두유(대조구)와 항산화제[(BHZ(0.01 %), tocopherol(0.01%)]을 첨가한 대두유에서 튀겼을 때, 항산화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저장에 따른 산가, 과산화물가, TAB가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자정 중 산화방지효과가 BHA가 자장 컸고 tocopheriol로 다소 안정되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부각의 질감(texture)을 주관적인 관능검사와 객관적 방법인 textu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저온 저장의 경우가 실온 저장의 경우 보다 품질이 양호하게 나타났고, 견고성(hardness)도 컸다.

  • PDF

임신 말 모체와 제대혈의 Retinol, $\beta-Carotene,\;\alpha$-Tocopherol의 농도 및 임신결과와의 상관성 ($\beta-Carotene,\;\alpha$-Tocopherol Concentrations in Maternal-Umbilical Cord Plasma and Their Relationships to Pregnancy Outcome)

  • 이금주;이민숙;안홍석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1-16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ake of antioxidant vitamins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those in 60 maternal-infant pairs (30 in normal term delivery group, NT; 30 in preform delivery group, PT).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levels of maternal-umbilical cord plasma and pregnancy outcome. Mean energy intakes of NT and PT pregnant women were 93.2% and 85.4%, and their protein intakes were 113.3% and 110.9% of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respectively. While vitamin A intakes were only 51.2% and 39.6% of the RDA in NT and PT pregnant women. The vitamin E intake was about 50% of the RDA (NT 6.27 mg, PT 7.78 mg). The levels of retinol in maternal plasma of NT and PT were $1.51\mumol/\ell\;and\;1.43\mumol/\ell$, respectively. The retinol levels in umbilical cord plasma in NT and PT were $0.72\mumol/\ell\;and\;0.61\mumol/\ell$, respectively. The level of $\beta-carotene$in maternal plasma of NT was 0.49 $\mu$mol/$\ell$, significantly (p < 0.01) higher than that of PT ($0.31\mumol/\ell$).The $\beta-carotene$ of umbilical cord plasma of NT and PT were $0.702\mumol/\ell\;and\;0.01\mumol/\ell$, respectively. The plasma $\alpha$-tocopherol of maternal of NT and PT were $0.72\mumol/\ell\;and\;0.01\mumol/\ell\;29.51 /mumol/\ell\; and 27.17\mumol/\ell,\;respectively.\; The $\alpha$-tocopherol of umbilical cord plasma of NT and PT were $4.16\mumol/\ell\;and\;3.80\mumol/\ell$,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vitamin levels (retinol, $\beta-carotene,\;and\;\alpha$-tocopherol) in maternal plasma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001) than those in umbilical cord plasma.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vitamin levels in maternal plasma and those in umbilical cord plasma. The maternal plasma $\beta$-carotene leve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gestational age. Also Apgar score at 1 min produced a positive correlation to maternal plasma $\beta$-carotene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