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 Croaker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Coastal Waters of Korea)

  • 강다연;성기창;김도균;진수연;서호영;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1-207
    • /
    • 2022
  • 전체 418개체의 참조기를 분석하였고, 전장의 범위는 12.0~27.5 cm였으며, 평균 전장은 19.6 cm였다. 참조기의 주먹이생물은 어류로 46.5%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난바다곤쟁이류가 우점하였다. 성장에 따른 먹이생물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성장하면서 어류의 섭식율은 증가하지만 새우류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계절적 변화는 여름과 가을의 고수온기와 겨울과 봄의 저수온기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계절적 변화를 다변량분산분석(PERMANOVA)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계절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참조기의 천연색소와 인위적으로 착색된 황색색소류 판별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apid Discrimination of Yellow Pigments Colored on Yellow Croakers and Natural Yellow Pigment of Croakers)

  • 김희연;홍진환;김동술;한상배;이은주;이정성;강길진;정형욱;송경희;박혜경;박종석;권용관;진명식;박희옥;오세화;신일식;이창국;박희열;하상철;조재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77-983
    • /
    • 2002
  • 식용색소 및 공업용 염료의 인공적 착색여부를 조사한 결과, 심황색소, 식용희석황색소, 마리골드색소, 식용황색 4호, 안나토색소, 카로틴색소는 유사한 색으로 착색되었으며 다른 색소는 착색되지 않았다. 물에 의한 추출시험에서는 참조기 색소와 식용색소황색 제4호는 물에서 용출되지 않았다. 착색 후 색소의 물성실험을 한 결과 물 젖은 가제수건이나 휴지로 색소부위 표피를 문지를 경우 참조기 색소는 표면에 전혀 묻어 나오지 않으나 인공적으로 착색된 색소의 경우에는 물에 의해 색이 뚜렷하게 묻어 나왔으며 참조기의 착색 부위 표피를 아세톤으로 추출할 경우 참조기 색소는 아세톤에 옅은 황색용액으로 추출되었다. 또한, 참조기의 색소처럼 물에 용출되지 않도록 염착이 가능한 공업적 합성염료인 반응성 염료와 분산염료의 착색거동에 대해 실험한 결과, 반응성 염료는 조기에 착색되지만 물 젖은 휴지로 착색부위를 문지를 경우 색소가 용출되었고, 아세톤에는 추출되지 않아 참조기 색소와는 쉽게 판별되었으며 분산염료는 염료가 고르게 착색되지 않고 염료가 입자를 형성하며, 물 적신 휴지로 색소부위를 문지를 경우 색소가 용출됨을 알 수 있었다. 카로틴색소(참조기 색소와 구조가 유사한 색소)와 azo염료의 산화 환원 반응에 따른 소색 반응에서는 산화반응에서 azo염료는 sodium percarbonate와 peracetic acid에서는 소색이 되지 않았으나, fenton시약에서는 1시간 후 소색되었고, sodium hypochlorite에서는 바로 소색되었다. 이에 비하여 카로틴색소는 sodium percarbonate 및 fenton시약에서는 소색되지 않았으나, sodium hypochlorite에서는 2시간 후 소색되었고, peracetic acid에서는 바로 소색되었다. 또한, sodium hydrosulfite, sodium carbonate를 사용한 환원반응시험에서는 azo염료는 소색되었으나, 카로틴색소는 소색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두 색소의 특징적 group을 제거할 때 나타나는 소색 결과를 토대로 진품참조기와 모조참조기의 판별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조기의 동해 출현 기록 (A Record of the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in the East Sea)

  • 서해립;박광재;차성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36-838
    • /
    • 1994
  • 1993년에 동해안의 고리, 월성, 울진 앞바다에서 저서어류의 생물상을 계절별로 조사했다. 그 결과 지금까지 남해와 서해에 분포한다고 알려진 참조기를 고리와 월성에서 각각 13마리 (표준체장 $131.8{\sim}180.1mm$)와 1마리 (170.2mm) 채집하여, 본 종이 동해에도 분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 PDF

이석을 이용한 참조기(Pseudosciaena polyactis Bleeker)의 연령사정과 성장식 추정 (Age Determination and Estimation of Growth Parameters Using Otoliths of Small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Bleeker in Korean Waters)

  • 이만우;장창익;이장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3호
    • /
    • pp.222-233
    • /
    • 2000
  • 지금까지의 한국 연근해산 참조기의 연령사정은 전부가 비늘에 의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참조기의 이석을 연령형질로 사용하여 가장 적절한 연령사정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참조기의 이석은 외관상으로는 윤문이 보이지 않으므로 얇게 절단하여 판독하는 방법(thin section method)이 적절하며, 성장 초점을 기준으로 가로, 세로, 대각선 세 방향으로 얇게 절단하여 윤문이 가장 선명하게 나타나는 방향을 알아본 결과 세로 방향으로 절단했을 경우가 윤문의 판독이 가장 용이하였다. 체장-체중 관계식과 성장식의 추정에서는 지금까지의 성장에 관한 연구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오차구조를 밝혀 매개변수의 추정에 정확성을 기하였다. 체장-체중 관계에서는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오차도 증가하는 곱의 오차구조를 가지며 관계식은 W=$0.0049L^{3.2153}$으로 나타났다. 성장식에서는 오차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합의 오차구조를 가지며 비선형 회귀분석에 의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L_{t}$=37.11(1-e$\^$-0.20+1.88/)로 나타났다.

  • PDF

잉여생산량을 추정하는 모델과 파라미터 추정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models for estimating surplus production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ir parameters)

  • 권유정;장창익;표희동;서영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1호
    • /
    • pp.18-28
    • /
    • 2013
  • It was compared the estimated parameters by the surplus production from three different models, i.e., three types (Schaefer, Gulland, and Schnute) of the traditional surplus production models, a stock production model incorporating covariates (ASPIC) model and a maximum entropy (ME) model. We also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models in the estimation of their parameters. The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 of small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in Korean waters ranged from 35,061 metric tons (mt) by Gulland model to 44,844mt by ME model, and fishing effort at MSY ($f_{MSY}$) ranged from 262,188hauls by Schnute model to 355,200hauls by ME model. The lowest root mean square error (RMSE) for small yellow croaker was obtained from the Gulland surplus production model, while the highest RMSE was from Schnute model. However, the highes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from the ME model, but the ASPIC model yielded the lowest coefficient. On the other hand, the MSY of Kapenta (Limnothrissa miodon) ranged from 16,880 mt by ASPIC model to 25,373mt by ME model, and $f_{MSY}$, from 94,580hauls by ASPIC model to 225,490hauls by Schnute model. In this case, both the lowest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d the highes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ere obtained from the ME model, which showed relatively better fits of data to the model, indicating that the ME model is statistically more stable and robust than other models. Moreover, the ME model could provide additional ecologically useful parameters such as, biomass at MSY ($B_{MSY}$), carrying capacity of the population (K), catchability coefficient (q) and the intrinsic rate of population growth (r).

고주파해동과 일반해동이 냉동 고등어, 명태, 삼치, 조기의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Frequency Thawing and General Thaw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Frozen Mackerel, Alaska pollack, Japanese Spanish mackerel, and Yellow croaker)

  • 정석봉;서태룡;정효정;김보경;조영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152-1158
    • /
    • 2016
  • This study was used samples, mackerel (Scomber japonicas), Japanese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known as some of the major species fisheries products in Korea We were investigated temperature change during thawing processing, water holding capacity, drip loss, extractive-nitrogen and viable cell count by various thawing methods, thawing at the room temperature (TRT), hot-air thawing (HAT), aeration thawing (AT), high-frequency thawing (HFT). The temperature changes have taken 2~3 hours in HFT and 24 hours by TRT. The expressible drip loss was 0.47~0.87 g/100 g in HFT, 1.91~4.42 g/100g in TRT, 1.31~4.93 g/100g in HAT, and 2.01~4.59 g/100g in AE. The water holding capacity was higher samples thawing by HFT than other thawing methods. Extractive-nitrogen was 276~452 mg/100 g in HFT, 177.21~420.27 mg/100 g in TRT. Viable cell count was $10^2$ to $10^3$ in HFT, $10^3$ to $10^5$ in other thawing methods. The processing speed and uniformity by HFT was minimized the risk of product degradations (drip losses, deterioration of sensorial,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bacteria growth, etc.), thus helping to preserve at its best the product quality than those by thawing methods. Therefore, HFT was expected to make high-quality thawing products anticipate future thawing technology

동일 어종(갈치, 참조기) 어획에 대한 다수 어업별 온실가스 배출량 정량적 분석 (A quantitative analysis of greenhouse gases emissions by multiple fisheries for catching the same species (hairtail and small yellow croaker))

  • 강경미;이지훈;신동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7권2호
    • /
    • pp.149-161
    • /
    • 2021
  • The concern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is strongly increasing globally. In fishery industry secti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an important issue according to The Paris Climate Change Accord in 2015. The Korean government has a plan to reduce the GHG emissions as 4.8% compared to the BAU in fisheries until 2020. Furthermore,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declared to achieve the carbon neutrality in 2050 at the Climate Adaptation Summit 2021. However, the investigation on the GHG emissions from Korean fisheries did not carry out extensively. Most studies on GHG emissions from Korean fishery have dealt with the GHG emissions by fishery classification so far. However, follow-up studies related to GHG emissions from fisheries need to evaluate the GHG emission level by species to prepare the adoption of environmental labels and declarations (ISO 14020).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ich degree of GHG emitted to produce the species (hairtail and small yellow croaker) from various fisheries. Here, we calculated the GHG emission to produce the species from the fisheries using the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The system boundary and input parameters for each process level are defined for the LCA analysis. The fuel use coefficients of the fisheries for the species are also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uel type. The GHG emissions from sea activities by the fisheries will be dealt with. Furthermore, the GHG emissions for producing the unit weight species and annual production are calculated by fishery classification. The results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GHG emissions from Korean fisheries.

서해구 자원관리형 자망 · 통발 어구어법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 민어 Michthys miiuy 자망의 망목선택성 -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ill Nets and Trap Nets Fishing for the Resource Management at the Coastal Area of Yellow Sea - Mesh Selectivity of Gill Nets for Croacker, Miichthys miiuy -)

  • 장호영;조봉곤;박종수;두성균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3호
    • /
    • pp.169-175
    • /
    • 2004
  • 민어 자망의 망목선택성 및 적정 망목을 추정하기 위하여 전남 신안구 임자도 인근의 해역에서 2002년 8월 10${\sim}$8월 14일 및 2003년 8월 10일${\sim}$8월 17일까지 시험조업을 실시하였다. 시험어구는 망목 129mm, 135mm, 144mm 및 150mm의 4종류의 자망을 각각 1폭씩 교호로 연결해서 12폭을 1조로 구성하여 2개조를 사용하였으며, 망목선택성 곡선의 분석에는 Kitahara(1968)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민어 자망의 시험조업 결과 총어획미수는 719마리였으며, 민어 526마리 (73.1%), 꽃게 168마리 (23.4%), 병어 17마리 (2.4%) 기타 8마리 (1.1%) 등이었다. 2. 망목선택성 곡선의 추정에서 최대 전장/망목(max. 1/m)의 값은 6.91으로 추정되었다. 3. 50% 선택구간에 대한 전장/망목(1/m)의 값은 5.62${\sim}$8.03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선택폭은 2.41이었다. 4. 민어 자망의 적정 망목은 약 142mm로 추정되었으며, 민어의 50% 선택체장 범위는 798${\sim}$1,140mm로 나타났다

방사선조사에 의한 한국산어류의 품질보존에 관한 연구 1. 민어, 참조기 및 물가자미의 감마선 조사 후의 보존특성 (Irradiation Preservation of Korean Fish 1. Kadurization of croaker, yellow corvenia and roundnose flounder)

  • 정종락;김수일;이민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9-142
    • /
    • 1976
  • 민어(croaker-Nibea imbricate, Matsubara), 참조기 (yellow corvenia-Pseudostiaena manchurica, Jordan and Thompson) 그리고 물가자미(roundnose flounder-Xystrias grigorjewi, Herzenstein) 어육을 0.5 Mrad 이하의 감마선량에 조사하여 냉장기간중의 선도 유지기간 연장을 가져오는 최적 조사선량을 구하였다. 조사된 어육을 $0^{\circ}$$5^{\circ}C$에 35일간 저장하는 동안에 일어나는 관능학적 변화를 미생물학적, 화학적 변화와 비교 검토하였다. $0^{\circ}$ 저장을 위한 민어와 참조기의 최적선량은 0.1 Mrad였으며 $5^{\circ}C$ 저장에서는 0.2 Mrad였다. 물가자미는 방사선 조사에 대단히 민감하여 $0^{\circ}$$0.1^{\circ}C$ 다같이 0.1 Mrad였다. 각각의 최적선량에 조사 처리하므로써 민어의 경우 $0^{\circ}C$에서는 선도 유지기간이 비조사구의 2주간에서 5주간 (3-4배)으로 연장되었으며 $5^{\circ}C$에서는 역시 1주간 이내에서 4주간(4-5매)으로 연장이 가능하였다. 참조기는 $0^{\circ}$에서는 $3\~4$배로, $5^{\circ}C$에서는 4-5배로 그리고 물가자미는 $0^{\circ}$에서 4-5매, $5^{\circ}C$에서 6-7배로 각각 연장 되었다.

  • PDF

황해저층냉수가 저어류 어장에 미치는 영향 (On the Influence of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on the Demersal Fishing Grounds)

  • 조규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8권1호
    • /
    • pp.25-33
    • /
    • 1982
  • 동지나해.황해의 최근 10개년간(1970~1979) 안강망에 의한 참조기.강달이 어획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어장의 경년변동과 저층수온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970~1976년간의 어획량은 수온보다 2~3년 늦은 위상(Time lag)을 가지고 변화하였다. 1970~1973년은 감소, 1974년 초~1975년 말은 급격한 증가, 그리고 그 후 1976년 말까지는 평형상태이었다. 그러나 1976년 이후에는 어획노력량의 증가로 인하여 이러한 위상을 가지는 경형은 명확하지 않았다. 또한, 수온이 평년 보다 낮았던 저수온 년인 1977년의 어장분포는 수온이 높았던 고수온 년인 1972년보다 남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