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잡힌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인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의 유치원 만5세 유아 36명을(실험, 통제집단 각 18명씩)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을 8주간 주 2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활용한 검사도구는 알파벳 읽기능력과 단어읽기능력은 이옥섭(1999)의 단어읽기 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책읽기 능력은 Sulzby(1985)의 읽기 발달단계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유아들의 쓰기발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Hildreth(1936)와 Schikedanz(1986)의 쓰기 발달단계에 기초하여 이경화(1997)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COVA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읽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하위 요인가운데 알파벳 읽기와 단어읽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영어책읽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쓰기능력 발달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using the inquiry-based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in class on metacognition and scientific creativity to enhance the ability of solving problems in science classrooms of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usage of metacognition necessary for learners to solve the problem with science. Second,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inquiry-based approach, learners used scientific knowledge to come up with ideas and produce outcomes, therefore they could seek sanswers to scientific problems for themselves. Third,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produced a positive awareness of science process skill because learners had more opportunities to think on their own than an existing passive class.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inquiry-based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encouraged learners to do inquiring activities in school classrooms, therefore contributing to the application of metacognition and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중심의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질성이 검증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 쓰기, 문제해결 과정쓰기, 개념 설명쓰기 등 3가지 유형의 의사소통 중심 수학 쓰기 학습 전략을 활용한 수업을 하고, 비교집단에서는 교과서 및 지도서에 준한 일반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비교집단에 비교하여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수학적 성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W중심 사회를 맞아 주목받고 있는 코딩과 코딩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코딩 교육용 게임 를 중심으로 코딩과 이를 통한 게임 플레이 안에서 나타나는 수행적 글쓰기로서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글쓰기 과정으로서 코딩은 코드 블럭을 활용한 연쇄적 확장과 이의 순환이라는 작동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유닛 오퍼레이션으로서 의미를 생성하고 있었는데 이는 사용자의 창발적 플레이를 지시하는 동인이 되었다. 다음으로 수행적 글쓰기로서 코딩은 말하기/쓰기가 중첩되며 사용자의 플레이 전과정에 체현되고 있었다. 이어 실패와 교정의 부재는 역설적으로 사용자의 문제 탐험 공간을 확장시키며 사용자의 자율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시키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 환경에서 코딩과 코딩 교육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도로서 의의가 있다.
대학수학 학습에서 성공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학생들에게 강력한 학습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글쓰기 과제가 수학 학습의 동기를 불러일으키고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가를 알아보려고 한다. 수업시간에 일어난 또는 의논된, 강의된 내용 중에서 두, 세 개의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주제를 골라 학생들이 보고 느낀 대로 요약하여 친구나 가족 또는 보내고 싶은 사람에게 편지를 쓰도록 하고 편지쓰기 반응과 편지쓰기 결과를 분석하여 편지쓰기 시도가 수학의 저변확대와 수학학습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나아가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고 더 나은 방법을 찾아본다.
인터넷에 의해 사회의 모든 분야가 변해가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그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닝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자가 원하는 수준과 방법으로 능동적인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닝을 통하여 영어쓰기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강의 사이트, 인터넷 사이트, 커뮤니티나 블로그 등을 통해서 영어쓰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강의를 들을 수 있고 학습 자료를 받을 수 있다. 둘째, 이러닝을 통한 영어쓰기 학습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며,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선택한 학습을 하기 때문에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셋째, 이메일이나 채팅을 통해 원어민과 글로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고,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영어를 학습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if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has influence on writing intelligibility and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the children who have spastic cerebral palsy. Methods: The subjects were 12 children of 4-8 years old. Classifying them into 2 groups - cerebral palsy children group(6) and normal children group(6),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to the cerebral palsy children group twice a week for 4 weeks. Korean alphabet writing test and Korean-version development test on visual perception(DTVP-2) were used for the test. Result: First, the cerebral palsy children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visual perception than the normal children group. Second, Two groups didn't show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Third, The normal children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ree parts without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Forth, The cerebral palsy children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only a part after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Conclusion: For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improvement of cerebral palsy childre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 and continued intervention. And the study about the effect of the visual perception training program application according to by type characteristic of the cerebral palsy child wishes to proceed.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material about the treatment effect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writing training being performed as a part of treatment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non-dominant hand of the patients whose dominant hand is damaged and thus need to improve their non-dominant hand's function. Method : During one month of November, 2013, this study randomly chose five study subjects for hand function training, five for writing training, and ten of control group from 20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 going to K Univ. in Busan. All study subjects fully understood all of the training course, agreed to take the test in this study, and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test. Each training was performed five times for two weeks, 30 minutes each time. For measurement, Purdue pegboard was used to look into the change of hand dexterity. To investigate an improvement in hand function through hand function training and writing training, this study conducted early evaluation before training, interim evaluation, and final evaluation. Result : Firs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dominant hand dexterity by group and by method during a training period, the groups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of writing training improved dominant hand dexter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non-dominant hand dexterity by group during a training period, the groups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of writing training improved dexter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non-dominant hand dexterity by method during a training period,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dexterity between the groups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of writing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 group of hand function training showed a further improvement. Third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both-hand dexterity by group and by method during a training period, the groups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of writing training improved both-hand dexter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Fourthly,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both-hand handling ability by group and by method during a training period, the groups of hand function training and of writing training improved both-hand handling abilit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Given the study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hand function training and writing training help brain damaged patients improve their hand function for their daily activity. And it will be meaningful to research brain damaged patients' motor skills after their brain damage, and the patients who have low abilities of visual perception and cognition.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ecure more study subjects and perform systematic training during a sufficient test period.
In this paper, we study the effect of writing activity as mathematical communication on the students's mathematics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mathematical tendency.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 a experimental class and then analyze the students' change in those aspects after applying three-divided-note writing activity and colleague feedback on their works those students are in the experimental clas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e find that three-divided-note writing activity and colleague feedback made some significant change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but does not affect on mathematical tendency. We also offer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ly,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must be stressed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need to develop the teaching and the evaluation method to use not only writing but also 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so that many teachers can apply this method easily to their classes. Second, we need to fix some realistic problems such as fair evaluation , the numbers of students per class, the numbers of lesson, and too much extra-work, and so on. Thirdly, we suggest to explore some methods for extending three- divided-note writing activity to evaluate mathematical essay and to study educational effects of colleague feedback on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ocus-on-form instruction is effective in promoting accuracy in writing and to make some suggestions regarding education in business English writing.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of which the participants were 29 college sophomores taking a course in business English, was made. The learners received instruction in the English nouns followed by modificatory phrases or clauses through the focus-on-form techniques, feedback and explicit expla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who received focus-on-form instruction improved accuracy in writing. Seco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the effects of focus-on-form instruction. Third, the high level learn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focus-on-form instruction than the low level ones. To promote accuracy in written business communic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irst, focus-on-form instruc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a content-based business English class. Second, repeated focus-on-form instruction is needed. Third,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focus-on-form instruction is given.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