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place spirituality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초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 and Employee Performance: The Role of Job Satisfaction

  • ASTUTI, Rini Juni;MARYATI, Tri;HARSONO, Mug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1017-1026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in reducing workplace deviant behavior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its impact on employee performa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and investigate (1)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 (2)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job satisfaction; (3)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employee performance; (4)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employee performance; (5) the effect of workplace deviant behavior on employee performance; and (6)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workplace deviant behavio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43 permanent non-lecturer staff at Universitas Muhammadiyah Yogyakarta, Indonesia. The data analysis technique employed in this study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ased on Partial Least Square (P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orkplace spirituality affected workplace deviant behavior; workplace spirituality affecte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ffected employee performance; and workplace deviant behavior affected employee performance. Meanwhile, the findings further showe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did not affect employee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did not affect workplace deviant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could not mediate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workplace deviant behavior.

Minimizing Workplace Deviant Behaviors through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Case Study in Indonesia

  • AMIN, Shofia;SITUNGKIR, Sihol;AIRA, Dian Mala Fithrian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1119-1128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model for reducing workplace deviance from employees' perspectives.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workplace deviance through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quantitative approac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00 civil servants in the various government agencies in Indonesi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Analysis of Moment Structures (SEM-AMO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reveal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s no significant negative effect directly on workplace deviance, but i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workplace deviance. The non-significance of workplace spirituality's direct effect on workplace deviance proves that there is a full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mplies that, to reduce workplace deviance, merely workplace spirituality is not adequate, but it should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ndings can add an understanding of the empirical evidence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place deviance. Practically, the top decision-makers in civil servant institutions need to consider the right strategies, policies, and real efforts to carry out workplace spirituality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designing a control system.

간호일터영성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Development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Instrum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석정원;고명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9-10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instrument. Methods: Using 44 preliminary items which were developed in a former study, a survey was done with 469 nurses working in 2 city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 to October 10, 2014 and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ckages SPSS 18.0 and AMOS 18.0. Results: The finalized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instrument consisted of 32 items and 6 sub factors: meaning of nursing,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transcendency through nursing service, inner self, interaction between the workplace environments, and harmony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A seven-point Likert scale was employed, and achieving a higher score in a particular factor and sum of all scores indicated high factor and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with this instrumen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nursing organization's workplace spirituality. Therefore this instrument is recommended for use in hospitals.

사회적기업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일터영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place Spirituality in the Social Enterprises)

  • 정현우;서정기;류태모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35-5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인 목적과 사회적인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에서 최근 들어 기업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는 윤리적 행동에 관한 리더십인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의 자발적이고 직무외적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영향력에 구성원들의 정신과 관련된 개념인 일터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진흥원에 등록된 사회적 기업의 367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윤리적 리더십 하위차원인 투명성, 공헌성, 정직성이 모두 조직시민행동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일터영성에는 윤리적 리더십의 하위차원인 투명성, 공헌성, 정직성 모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일터영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윤리적 리더십의 하위차원인 투명성, 공헌성, 정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일터영성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일터영성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조직에서 구성원들에게 조직에 바람직한 행동으로 자발적이고 직무외적인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윤리적 리더십과 일터영성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일터영성이 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Team Productivity :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Creativity)

  • 전기석;데이비드 패스모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13-524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일터영성이 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 속에서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최근 한국에서는 조직의 실무자들과 연구자 그룹에서 일터영성에 대한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한국 조직의 맥락에서 일터영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터영성과 팀 생산성, 그리고 창의성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창의성은 내적 동기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일터 영성은 내적 동기요소로서 임직원의 창의성을 촉진하는 것 뿐 아니라 이를 통해서 조직의 성과에도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 임직원 514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일터영성 세 가지 요소인 내적 삶과 의미 있는 일, 그리고 조직소속감은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창의성은 일터영성과 팀 생산성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에 따라 이론과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완화의료 전문인들의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이 말기환자 돌봄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alliative Care Practitioners' Workplace Spirituality on Caring for Terminally Ill People)

  • 홍영준;임성희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7호
    • /
    • pp.69-9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영성(공동체 의식, 일의 의미)과 돌봄수행(정서적, 사회적, 영적) 그리고소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터영성이 돌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전국 68개 완화의료 전문기관의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14부를 SPSS Statistics 21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터영성의 하위요인중에서 공동체의식은 심리적 돌봄에 영향을 미치고, 일의의미는 사회적 돌봄과 영적 돌봄에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진은 돌봄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않지만 소진의 독립적 영향력을 측정한 사후분석에서 사회적 돌봄과 영적 돌봄에 미미한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소진은 일터영성이 돌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일터영성신념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the Workplace Spirituality Belief Scale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 이경화;조준오;심은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290-1302
    • /
    • 2015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for measuring prospective teacher's belief on workplace spirituality. The researchers revised the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Lim, 2014)' into the draft of 'Workplace Spirituality Belief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WSBS_PECT)' and then validated the draft of WSBS_PECT statisticall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64 prospective teachers participating 5 early childhood teacher programs. EFA, CFA, Correlations and some statistical methods were carried out for tes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As a result, the WSBS_PECT with 21 items of 4 factors - i.e. 'awareness of meaning of life', 'belief on calling for ECE teacher job', 'belief on relationships in community', and 'belief on membership in community'- was developed and identified as a available measurement for prospective childhood teachers.

마을기업에서의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을 매개효과로 - (A Study on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Community Enterpris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 조영복;하태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2호
    • /
    • pp.137-165
    • /
    • 2016
  • 마을기업은 지역사회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공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업방식이면서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공동체 회복을 위한 대안적 노력의 한 형태이다. 이처럼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면서도 영리기업의 특성을 함께 가진 마을기업은 자신의 삶에 대한 궁극적인 의미를 가지고, 마을기업의 일을 통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으며, 동료들과 함께 있다는 심리적 정서 즉 공동체 의식이 마을기업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일터에서의 영성은 일반기업에서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지역과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목적으로 지역의 공동체를 형성하여, 비즈니스 형태로 해결하려는 마을기업에서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오늘날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와 사회적 역동성의 중심에서 개인과 조직의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대안 중의 하나가 일터영성이다. 일터영성은 만족, 몰입, 헌신, 조직시민행동에 이로울 뿐 아니라,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 대부분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기존 일터영성 연구에서 연구 범위와 대상을 확대하여 마을기업에서의 일터영성 효과를 실증 분석하여 마을기업의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분석결과, 마을기업과 일반기업 모두 동일하게 일터영성은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직무만족은 일터영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마을기업에서의 일터영성은 일반기업과 차이가 있었는데, 마을기업에서 일터영성의 계수와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일터영성이 영리를 우선으로 추구하는 일반 기업에서도 중요하지만 마을기업에 더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마을기업을 통한 일의 소명의식, 자신에 대한 내면의식, 타인에 대한 공감의식, 조직에 대한 공동체 의식, 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의식인 일터영성은 마을기업 내 촉진되고 정착될 필요성이 있다.

  • PDF

유아교사의 일터영성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 임정수;심은주;이경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717-735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WSSECT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tests. The initial version with 40 items based on two dimensions of spirituality in individual and professional level was constructed. Then, it was revised twice for improving reliability and validity. Finally the WSSECT was constructed of 4 factors - i.e. 'calling for ECE teacher job', 'meaning for life', 'membership in educational community' and 'awareness of inner life' - including the 23 items. The scale will be expected to identify workplace spirit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일터영성이 이직의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Supporters for the Disabled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 이은희;고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20-52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일터영성, 이직의도,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OO시 장애인 활동지원사 1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일터영성 하위요인인 소명의식은 이직의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일터영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일터영성의 하위요인인 소명의식, 공동체의식은 직무만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장애인 활동지원사가 지각하는 일터영성의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이직의도 감소 방안 마련을 위한 역량강화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