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ing Days

검색결과 607건 처리시간 0.032초

Correlation between the Profitability and Working Capital Practices: A Case Study in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 KHAN, Mohammed Abdul Imran;ALAM, Md. Shabbir;SYED, Ahsan Jami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229-235
    • /
    • 2021
  • The ability of entrepreneurs to arrange working capital is the key to maximizing the profitabilit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he wealth of entrepreneurs. The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entrepreneurs' working capital management and the profitability of SMEs listed on six Gulf Cooperation Council (GCC) stock exchanges between 2019 and 2020. The secondary data is collected from the financial statements of SMEs listed on the six GCC stock exchanges. Actual sample for the research study was a total of 136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elected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s. Four research models were considered in this analysis, all ending up affecting gross profits. The selected entrepreneurial SMEs were listed on six different Gulf Cooperation Council stock exchanges during 2019-2020. The fixed financial assets ratio, financial debt ratio, and company size are used as control variable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fitability measured by gross profit and cash cycle and the components of the cash cycle (including days of accounts receivable and days of inventory). The study further reveal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ross profit and days of accounts payable.

근무형태별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불안 조사: 타액 코티솔과 자가보고 척도를 이용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Occupational Stress and Anxiety Through Salivary Cortisol and Self-Report Scale in Korean Nurses on Shift and Regular Work)

  • 서민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206-21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salivary cortisol levels, self-reported occupational stress, and anxiety before duty to those after duty in the shift and regular work nurse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Thirty nurses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participated in the study. Salivary specimen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daytime duty for 2 days. The occupational stress and state anxiety were also evalua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The average level of salivary cortisol was $0.40{\mu}g/dL$ before duty and $0.20{\mu}g/dL$ after duty in Korean nurses. Overall levels of salivary cortisol, self-reported occupational stress, and anxiety were higher in shift working nurses than regular working nurses. In shift working nurses, the salivary cortisol gap between before and after duty was attenuated on the first day of daytime dut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 of cortisol before duty and anxiety after duty. Conclusion: Strategies to alleviate occupational stress and anxiety are needed for shift working nurses, especially for those with elevated levels of cortisol. It seems to require 3days to recover from attenuated cortisol rhythm during nighttime duty in shift working nurses.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Time allocation of a dual-earner working group with preschool children on working and nonworking days)

  • 김외숙;송혜림;조희금;김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3호
    • /
    • pp.25-43
    • /
    • 2016
  • This study focused on the time use of a dual-earner working group with preschool children on working and nonworking days using 2014 time-use survey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KOSTAT). We collected the time-use data recorded in a 2,158 time diary. We divided the time use into 4 parts ; paid work, household labor work (including caring work), leisure and living essential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e used SPSS 18.0 packages, i.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Duncan test and regression for the impact off the independent factors. The results verified gender differences in time use and recognized the usefulness of the time-allocation analysis for the diagnosis of Work and Life Balance(WLB). In the conclusion, we suggest increasing men's time allocation for household labor as a crucial solution to the WLB of dual-earner working groups. And the follow-up study should include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time allocation of dual-earner groups, such as type of labor and job and children's ages.

국내 건설공사의 기후조건에 의한 작업불능일 예측방법 개선 (Improvement of Non-Working Day Estimation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in the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 이근효;신동우;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100-108
    • /
    • 2006
  •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 기후에 대한 공기산정은 정확한 자료 없이 현장관리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해 작업불능일수를 정함으로써 잦은 공기조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공사주체들 간의 이해관계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부 건설 현장과 선행연구에서는 작업불능일 산정기준으로 과거 일정기간의 기상평균값을 사용하고 있지만, 과거 산정기간에 대한 기준이 정립되지 않아 현장마다 각기 다른 산정기간을 적용하고 있으며, 적용기간에 따라 산정한 작업불능일수가 서로 다른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대두되고 있는 기후변화는 기후예측을 보다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조건별 작업불능일 산정을 위한 산술평균값들 중 최근 몇 년 기간을 산술평균으로 한 예측값이 실제값과의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지 검토하여, 보다 예측성이 높은 산정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율무의 기계수확(機械收穫) 시기(時期)에 따른 수량성(收量性) (Yield Variation in Different Harvest Time of Coix lachryma L. var. Ma-yuen STAPF)

  • 이은섭;이준석;김기중;이효승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84-288
    • /
    • 1997
  • 농가(農家)에 보급(普及)된 수도용(水稻用) 콤바인의 이용효율(利用效率)을 높이고 농가소득 증대(農家所得 增大)에 기여(寄與)하기 위해 율무의 콤바인 수확적기(收穫適期)를 구명(究明)하고자 수확시기(收穫時期)를 개화기후(開花期後) 40일, 50일, 00일, 70일에 실시(實施)하시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업효율(作業效率)은 개화기후(開花期後) 50일 이후(以後)에는 2조 수확(收穫)) 가능(可能)하였고, 작업속도(作業速度)는 개화기후(開花期後) 50일 이후(以後)에는 0.26m/s였고 이론상의 작업능력(作業能力)은 개화기후(開花期後) 60日 이후(以後)는 11.23a/hr였다. 2.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낮아져 경엽(莖葉)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69.7{\sim}55.3%$ 였고, 종실(種實)의 수분함량은 개화기후(開花期後) 60일 이후(以後)에는 34.2%정도로 안정 되었다. 3.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질수록 등숙립(登熟粒)은 증가(增加)하였고, 미숙립(未熟粒)과 검불은 감소(減少)하였는데, 개화기후(開花期後) 60일 이후(以後)에는 검불의 혼입율이 1.8%미만이었다. 4. 개화기후 40일부터 7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조사한 결과, l 중은 수확시기(收穫時期) 가 늦어질수록 무거워졌으나, 10a당(當) 종실수량(種實收量)은 개화기후(開花期後) 60일에서 가장 무거웠다. 5. 율무의 수도용(水稻用) 콤바인을 이용한 수확적기(收穫適期)는 회귀분석(回歸分析) 결과(結果) 개화기후(開花期後) 68 일경(日頃)이었다.

  • PDF

제조업 근로자들의 결근요인 분석 (A Study on the Factors of Absenteeism among the Manufacturing Workers)

  • 이동배;이태용;조영채;이영수;오장균;박암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6권4호
    • /
    • pp.574-586
    • /
    • 1993
  • 산업장 근로자들의 결근실태와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대전시내에 위치한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1,184명을 대상으로 1992년 6월에서 8월 사이의 3개월간 결근양상에 대한 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총결근자율은 20.1%, 질병결근자율은 6.9% 였으며 총결근율은 1.2%, 질병 결근율은 0.5%로 나타났다. 2. 결근자의 평균결근일수는 2.8일이었으며 이중 질병으로 인한 경우가 4.4일, 질병이 아닌 원인으로 인한 경우는 1.4일로 나타났다. 원인별 질병결근의 평균결근일수는 두부, 사지, 체간의 상해로 인한 경우가 $13.2{\sim}18.6$일로 다른 원인에 비해 높았으며, 총 결근일수는 사지상해, 체간상해, 몸살, 두부상해, 근골격계 증상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결근여부에 관련있는 변수로서 총결근여부에는 고용구분, 교육정도, 유해요인 노출여부, 1일 근무시간, 직종의 변수였으며, 질병결근여부에는 고용구분, 교육정도, 직종 변수였다. 4. 결근자군에서 결근율에 영향있는 변수로서 총결근율에 작업분위기, 비만지수, 작업환경, 1일 작업시간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총결근율에 대한 설명력은 13.1 % 였다. 질병 결근율에는 1일 작업시간, 교육정도, 작업분위기의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질병결근율에 대한 설명력은 25.4% 였다.

  • PDF

직장인의 외식소비 행동에 관한 연구;주5일 근무제 및 주6일 근무제를 기준으로 (A Study in Food Service Consumption Behavior of Company Workers)

  • 장동민;전인호;김종열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4호
    • /
    • pp.135-151
    • /
    • 2007
  • 본 연구는 주5일 근무제와 주6일 근무제를 분리하여 직장인을 상대로 외식 선호일에 대한 설문을 구하고 설문의 결과를 토대로 소득수준과 외식 선호일, 가족구성과 외식 선호일을 가족과의 외식과 친구들과의 오식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범주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 분포되어 있는가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주5일 근무제 및 주6일 근무제 모두, 가족 및 친구와 외식 시 소득수준을 기준으로 내용을 살펴보면, 소득수준의 차이 불문하고 모두 주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비율에서는 가족과의 외식보다 친구와의 외식에 대한 주중 선호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가족구성 형태에 따라 가족 및 친구 외식시는 독신자, 부부가족 및 기타 모두 주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그 선호 비율에서는 친구와 외식 시 주중 선호 비율이 월등히 높아 직장인은 주로 가족은 주말, 친구는 주중을 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5일 근무자와 주6일 근로자의 외식 소비 행동은 큰 차이는 없으나 그 선호 비율은 주5일 근무자의 경우 가족과 외식시 주말, 친구와 외식시는 주중으로 선호 비율이 주6일 근로자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가상기후 시뮬레이션에 의한 공기산정 의사결정 지원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Decision-Making Support Model for Construction Duration by the Hypothetical Weather Simulation)

  • 정석남;이학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권4호
    • /
    • pp.74-81
    • /
    • 2000
  •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 기후에 대한공기산정은 정확한 자료 없이 현장관리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해 일률적인 작업불가능일수를 정함으로써 잦은 공기 조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물론 공사 주체들간의 이해관계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를 요소별로 분석하고 가상기후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공기산정과 연계함으로써 공정표 작성 시 현장관리자들의 효율적인 공기산정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모델을 제시하고,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제한된 과거(1990년-1999년) 기후자료를 요소별로 분석함으로써 단위공종에 대한 기후요소의 영향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제공하였다. (2) 공정계획 시 단위공종에 각 기후요소별로 인자를 추가함으로써 불확실한 기후에 대한 사전 공정계획의 효율성 제고가 기대된다. (3) 기존의 현장관리자들의 경험적이고 직관적인 기후에 대한 대처를 확률분포를 이용한 통계적 처리에 의해 공기산정에 관한 신뢰성 있는 의사결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기산정 의사결정 지원모델은 공정계획 입안 시 불확실한 기후에 대한 과학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실적자료에 의한 고등학교 시설 공기산정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for High School Buildings Based on the Actual Data)

  • 권동찬;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6호
    • /
    • pp.138-145
    • /
    • 2004
  • 공사에 소요되는 기간은 시설물의 품질과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고등학교 시설공사의 경우 경험과 직관에 의거하여 공기를 산정하고 있어 공사수행과정에서 계약당사자 간에 분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시설공사에 소요되는 기간의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여 공기 산정기준을 제안하는 것으로, 인천지 역에서 최근에 개교한 고등학교의 실적자료를 수집하여 다중선형 회귀분석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로 얻은 순 공사기간에 인천지 역의 기후특성을 고려하여 산정한 작업불가능기간을 더하여 총 공사기간을 산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공기 산정식은 공사발주 및 계약 시 계약공기를 정확하게 산정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재시공발생에 따른 적정계약공기 및 적정출력인원 추정에 관한 사례조사 및 분석 (A Case Study and Analysis on Reasonable Construction Period and Appropriate Number of Persons for Works According to Reconstruction)

  • 소용성;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301-304
    • /
    • 2001
  • 재시공 발생에 따른 계약단계에서의 적정계약공기와 적정투입인원을 추정하고자 한 본 연구는 아파트 RC공사 현장사례를 대상으로 계약금액, 계약기간, 재시공발생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재시공발생에 따른 적정계약공기 및 적정출력인원을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방법에 따라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 사례규모별 적정계약공기 및 적정출력인원 첫째, 아파트 4동 규모(계약금액 40억$\pm5\%$)인 경우에서의 적정계약공기는 750일 이상 $\~$800일 미만으로 조사되었으며, 적정계약공기를 기준으로 한 1일 적정 출력인원은 63.5명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파트 8동 규모(계약금액 78억$\pm5\%$)인 경우에서의 적정계약공기는 850일 이상 $\~$900일 미만으로 조사되었으며, 적정계약공기를 기준으로 한 1일 적정 출력인원은 100.6명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파트 12동 규모(계약금액 115억$\pm5\%$)인 경우에서의 적정계약공기는 1000일 이상 $\~$1050일 미만으로 조사되었으며, 적정계약공기를 기준으로 한 1일 적정 출력인원은 145.0명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