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ime allocation of a dual-earner working group with preschool children on working and nonworking days  

Kim, Oisook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ong, Hyerim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lsan University)
Cho, Heekeum (Dept. of Family Welfare, Daegu University)
Kim, Joohee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0, no.3, 2016 , pp. 25-4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time use of a dual-earner working group with preschool children on working and nonworking days using 2014 time-use survey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KOSTAT). We collected the time-use data recorded in a 2,158 time diary. We divided the time use into 4 parts ; paid work, household labor work (including caring work), leisure and living essential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e used SPSS 18.0 packages, i.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Duncan test and regression for the impact off the independent factors. The results verified gender differences in time use and recognized the usefulness of the time-allocation analysis for the diagnosis of Work and Life Balance(WLB). In the conclusion, we suggest increasing men's time allocation for household labor as a crucial solution to the WLB of dual-earner working groups. And the follow-up study should include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time allocation of dual-earner groups, such as type of labor and job and children's ages.
Keywords
dual-earner working group; time use; preschool childre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9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기현 .전명진(2014). 생활시간 데이터를 활용한 수도권 맞벌이 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및 이동수단 차이 분석. 지역연구, 30(3), 109-129.
2 김동식. 김영택. 정진주. 최인선(2013). 맞벌이 여성의 일 가정 양립 갈등과 건강영향 연구: 근로시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 김복수(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대중매체 이용시간의 변화: 2004년 생활시간조사 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4(2), 185-218.
4 김소영 .진미정(2015).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 남성의 주말 시간사용 유형화와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2), 71-88 .   DOI
5 김외숙. 조희금. 송혜림(2015). 기혼취업자의 일생활 균형. 통계청 "2015 생활시간조사 국제워크숍 : 생활시간조사 결과의 정책적 의의" 자료집.
6 김주희. 이기영(2015).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01-125.
7 김진욱. 고은주(2014). 맞벌이 부부의 가정 내무급노동시간 영향요인 국가비교: 노르웨이, 독일, 영국, 프랑스, 한국. 사회복지정책, 41(2), 185-212.
8 김진욱 .최영준(2012). 일-가족 시간배분에 따른 가구유형과 변화-퍼지센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4(2), 31-54.
9 남수정. 유현정(2006). 취업주부의 시장소득에 따른 생활시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2006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0 문숙재 .윤소영(2003). 맞벌이 주말부부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213-220.
11 박은정. 이성림(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DOI
12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2014). 제22차 가족정책포럼 "일가정 양립을 위한 일하는 방식과 문화의 개선" 자료집.
13 서미숙(2016). 성별에 따른 통근시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시간조사(Korean Time use Survey)를 중심으로. 여성연구논총, 18, 5-36.
14 손애리(2000). 시간연구의 특성과 생활시간조사 개발 과정. 조사연구, 1(1), 135-148.
15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16 송혜림(2014).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균형실태: 초등학교 저학년생 자녀를 둔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41-59.
17 송혜림(2015). 일-가정 균형감과 행복도: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81-99.
18 송혜림. 유아랑(2013).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정책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 실태에 대한연구: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01-125.
19 송혜림. 김외숙. 조희금(2015). 기혼취업남녀의 일-생활 균형. 통계청 2015 생활시간조사국제워크숍 '생활시간조사 결과의 정책적 의의' 자료집.
20 유성용(2008). 가구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노동시간-1999/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2(3), 28-62.
21 이동훈. 이호진. 정민근(2011).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생활시간 분석: 서울에 거주하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대한산업공학회지, 37(2), 105-117.   DOI
22 손문금(2005).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5, 239-287.
23 이승미. 이현아(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9(5), 81-96.
24 이영환. 이수재(2007).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2004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학회지, 10(1), 19- 25.
25 이재림. 손서희(2013).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직장 및 자녀양육 관련 자원과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93-114.
26 이창순(2014).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40(2), 29-54.
27 장원봉(2002). 생활시간조사를 통한 실업자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 -실업자의 교체활동을 중심으로-. 도시와 빈곤, 59, 106-132.
28 정경희(2001). 노인의 생활시간 배분실태. 보건복지포럼, 61, 56-70.
29 정재기(2011).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형태-생활시간조사의 활용. 한국사회학, 45(5), 197-225.
30 조미라(2016). 여가시간 불평등 연구: 1999-2009년 성별 여가시간양의 변화 및 불평등 요인분석. 한국인구학, 39(1), 29-57.
31 조미라. 윤수경(2014). 한국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연구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44, 5-30.
32 조보성(2006). 생활시간조사를 이용한 직장인들의 5년간 여가스포츠 활동과 참가시간의 변화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1), 125-135.
33 조성호(2016). 부부의 시간배분 결정요인: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39(1), 57-79.
34 주은선(2014). 노동인가, 돌봄인가, 여가인가? -전일제 임노동자 맞벌이 부모의 시간배분에 대한 젠더 영향과 학력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45(3), 5-34.
35 주익현(2015a). 계층별 맞벌이 여성의 시간부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논집, 46(1), 111-135.
36 주익현(2015b). 맞벌이 여성의 소득기여도가 가사 시간량에 미치는 효과: 2004년, 2009년, 2014년 시계열적 변화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논집, 46(2), 49-68.
37 지현진(2012). 2009년 생활시간조사자료를 근거로 노년층의 여가프로파일. 한국노년학, 32(3), 675-687.
38 차승은(2011). 노동시간에 따른 시간압박과 여가제약-건강행동의 선택 혹은 희생?. 한국인구학, 34(2), 65-90.
39 채화영. 이기영(2013).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 가정 양립 경험. 대한가정학회지, 51(5), 497-511.
40 최균호(2005). 독일기업의 근로시간 단축과 가족 및 여가 생활의 변화-독일 폴크그바겐사의 '주 28.8시간 근무제'를 보기로. 독일어문학, 30, 387-407.
41 최종후. 이동희. 소선하(2006). 생활시간소비 소비형태에 따른 피로도에 대한 연관성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2 통계청(2015). 2014년 생활시간자료.
43 한영선. 윤소영(2009). 미취학 자녀를 둔 도시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2), 81-95.
44 OECD(2015). How's Life?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