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allocation of a dual-earner working group with preschool children on working and nonworking days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 집단의 근무일과 비근무일 생활시간배분

  • Kim, Oisook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Song, Hyerim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lsan University) ;
  • Cho, Heekeum (Dept. of Family Welfare, Daegu University) ;
  • Kim, Joohee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김외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 조희금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 김주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Received : 2016.05.31
  • Accepted : 2016.07.29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time use of a dual-earner working group with preschool children on working and nonworking days using 2014 time-use survey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KOSTAT). We collected the time-use data recorded in a 2,158 time diary. We divided the time use into 4 parts ; paid work, household labor work (including caring work), leisure and living essential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e used SPSS 18.0 packages, i.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Duncan test and regression for the impact off the independent factors. The results verified gender differences in time use and recognized the usefulness of the time-allocation analysis for the diagnosis of Work and Life Balance(WLB). In the conclusion, we suggest increasing men's time allocation for household labor as a crucial solution to the WLB of dual-earner working groups. And the follow-up study should include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time allocation of dual-earner groups, such as type of labor and job and children's ages.

Keywords

References

  1. 권기현 .전명진(2014). 생활시간 데이터를 활용한 수도권 맞벌이 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및 이동수단 차이 분석. 지역연구, 30(3), 109-129.
  2. 김동식. 김영택. 정진주. 최인선(2013). 맞벌이 여성의 일 가정 양립 갈등과 건강영향 연구: 근로시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 김복수(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대중매체 이용시간의 변화: 2004년 생활시간조사 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4(2), 185-218.
  4. 김소영 .진미정(2015).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취업 남성의 주말 시간사용 유형화와 유형별 시간사용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2), 71-88 . https://doi.org/10.7466/JKHMA.2015.33.2.71
  5. 김외숙. 조희금. 송혜림(2015). 기혼취업자의 일생활 균형. 통계청 "2015 생활시간조사 국제워크숍 : 생활시간조사 결과의 정책적 의의" 자료집.
  6. 김주희. 이기영(2015).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01-125.
  7. 김진욱. 고은주(2014). 맞벌이 부부의 가정 내무급노동시간 영향요인 국가비교: 노르웨이, 독일, 영국, 프랑스, 한국. 사회복지정책, 41(2), 185-212.
  8. 김진욱 .최영준(2012). 일-가족 시간배분에 따른 가구유형과 변화-퍼지센 이상형 분석의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4(2), 31-54.
  9. 남수정. 유현정(2006). 취업주부의 시장소득에 따른 생활시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2006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0. 문숙재 .윤소영(2003). 맞벌이 주말부부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213-220.
  11. 박은정. 이성림(2013).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97-111. https://doi.org/10.7466/JKHMA.2013.31.4.097
  12. (사)가정을건강하게하는시민의모임(2014). 제22차 가족정책포럼 "일가정 양립을 위한 일하는 방식과 문화의 개선" 자료집.
  13. 서미숙(2016). 성별에 따른 통근시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시간조사(Korean Time use Survey)를 중심으로. 여성연구논총, 18, 5-36.
  14. 손문금(2005).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5, 239-287.
  15. 손애리(2000). 시간연구의 특성과 생활시간조사 개발 과정. 조사연구, 1(1), 135-148.
  16.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17. 송혜림(2014).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균형실태: 초등학교 저학년생 자녀를 둔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41-59.
  18. 송혜림(2015). 일-가정 균형감과 행복도: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81-99.
  19. 송혜림. 유아랑(2013).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정책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 실태에 대한연구: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01-125.
  20. 송혜림. 김외숙. 조희금(2015). 기혼취업남녀의 일-생활 균형. 통계청 2015 생활시간조사국제워크숍 '생활시간조사 결과의 정책적 의의' 자료집.
  21. 유성용(2008). 가구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노동시간-1999/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2(3), 28-62.
  22. 이동훈. 이호진. 정민근(2011).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생활시간 분석: 서울에 거주하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대한산업공학회지, 37(2), 105-117. https://doi.org/10.7232/JKIIE.2011.37.2.105
  23. 이승미. 이현아(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9(5), 81-96.
  24. 이영환. 이수재(2007).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2004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학회지, 10(1), 19- 25.
  25. 이재림. 손서희(2013).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직장 및 자녀양육 관련 자원과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93-114.
  26. 이창순(2014).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40(2), 29-54.
  27. 장원봉(2002). 생활시간조사를 통한 실업자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 -실업자의 교체활동을 중심으로-. 도시와 빈곤, 59, 106-132.
  28. 정경희(2001). 노인의 생활시간 배분실태. 보건복지포럼, 61, 56-70.
  29. 정재기(2011).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형태-생활시간조사의 활용. 한국사회학, 45(5), 197-225.
  30. 조미라(2016). 여가시간 불평등 연구: 1999-2009년 성별 여가시간양의 변화 및 불평등 요인분석. 한국인구학, 39(1), 29-57.
  31. 조미라. 윤수경(2014). 한국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연구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44, 5-30.
  32. 조보성(2006). 생활시간조사를 이용한 직장인들의 5년간 여가스포츠 활동과 참가시간의 변화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1), 125-135.
  33. 조성호(2016). 부부의 시간배분 결정요인: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39(1), 57-79.
  34. 주은선(2014). 노동인가, 돌봄인가, 여가인가? -전일제 임노동자 맞벌이 부모의 시간배분에 대한 젠더 영향과 학력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45(3), 5-34.
  35. 주익현(2015a). 계층별 맞벌이 여성의 시간부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논집, 46(1), 111-135.
  36. 주익현(2015b). 맞벌이 여성의 소득기여도가 가사 시간량에 미치는 효과: 2004년, 2009년, 2014년 시계열적 변화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논집, 46(2), 49-68.
  37. 지현진(2012). 2009년 생활시간조사자료를 근거로 노년층의 여가프로파일. 한국노년학, 32(3), 675-687.
  38. 차승은(2011). 노동시간에 따른 시간압박과 여가제약-건강행동의 선택 혹은 희생?. 한국인구학, 34(2), 65-90.
  39. 채화영. 이기영(2013). 육아기 맞벌이 남성의 일, 가정 양립 경험. 대한가정학회지, 51(5), 497-511.
  40. 최균호(2005). 독일기업의 근로시간 단축과 가족 및 여가 생활의 변화-독일 폴크그바겐사의 '주 28.8시간 근무제'를 보기로. 독일어문학, 30, 387-407.
  41. 최종후. 이동희. 소선하(2006). 생활시간소비 소비형태에 따른 피로도에 대한 연관성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2. 통계청(2015). 2014년 생활시간자료.
  43. 한영선. 윤소영(2009). 미취학 자녀를 둔 도시 맞벌이 부부의 여가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2), 81-95.
  44. OECD(2015). How's Life?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