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family conflict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5초

성인의 직장-가정에서의 갈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flicts and satisfaction at the adults' places of work - family)

  • 김흥규;가영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1호
    • /
    • pp.85-9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it clear that the influence the adults' work-family conflicts affect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the work life satisfaction of theirs,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s (sex, age, monthly income and whether the person works S days a week or not). The target group of this study is the selected 754 adults who are married with children that are in the employ of the various companies in Seoul and Incheon. The picked data are analyzed to factor analysis, frequencies, mean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using Spss 11.5 version statistical program.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s have been shown to be different as the result of verification by sex, age, monthly income and the type of duty(whether working 5days a week or not) out of the personal variables. The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s is different by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work-family conflicts as the results of male and female comparison. And the older the age,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conflicts.'rho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the places of work conflicts is the highest in the 30s. The smaller monthly income, the higher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s. The study shows that the level of family conflicts is high in working 6days a week and the level of work conflicts is high in working 5days a week. Second, such factors for conflicts at home as family support, family expectations and financial difficulties affect the level of satisfaction at work, while such personal backgrounds as monthly pay, kinds of work and age level also play a role. At the same time, satisfaction in family life is influenced by such factors for conflicts at the places of work as support, involvement, expectations and work-overload at the places of work, with such personal backgrounds as monthly pay, age and sex compounding the impact. On the point how much conflicts at work and home affect the satisfaction at home, work and leisure, the study shows that family life does not have noticeable influ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at the places of work, whereas situations at the place of work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family lives. In other words, the lesser conflicts the work situations cause to family lives, the greater the level of satisfaction at work, home and at leisure.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it, Goal Perception, Academic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Adjustment among Female Adult Learners in a Distance University)

  • 임효진;하혜숙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1호
    • /
    • pp.59-81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인 끈기(Grit)와 목표인식, 학업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적응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나 학업-가정갈등이 이러한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추가적으로 알아보았다. 끈기는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열정과 인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학업성취를 포함한 적응적인 지표들을 예측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여성 성인학습자 642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형은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끈기의 두 요소인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은 학업적응에 직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경로들의 특정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흥미유지는 학업적응에 직접적인 효과를, 노력지속은 목표인식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나 끈기 요소의 차별적 예측력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업-가정갈등은 학업적응에 부적 영향을, 사회적 지지는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지지가 목표인식을 통한 간접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스마트워크 유용성 지각과 일-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경계유연추구의도의 매개효과 및 과업상호의존성과 과정통제의 조절효과 검증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work and Work-family Conflict)

  • 박원철 ;정현선 ;박동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2호
    • /
    • pp.109-131
    • /
    • 2013
  • 스마트폰의 확산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워크가 가져올 개인과 기업 측면의 변화에 대한 기대가 높다. 특히 스마트워크를 통해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은 채 일과 가정 두 영역에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워크에 대한 근로자의 수용 의도가 낮고 실제 활용률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주목하면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기대성과가 나타나는데 있어 중요한 변인으로 근로자의 유연경계추구의도를 설정하고 심리적 기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의 목적에 맞춰 기술수용모델 관점에서 스마트워크 유용성 지각과 일-가정 갈등 사이에서 유연경계추구의도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연구를 진행했다. 한 편 근로자의 스마트워크에 대한 활용 의도가 있더라도 일-가정 갈등이 높아지는 현상에 있어서 현재의 조직 상황에서의 역할 방해 요인이 있을 것으로 보고 과업상호의존성과 과정통제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도 함께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연경계추구의도의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고, 과업상호의존성과 과정통제의 조절효과의 경우, 과업상호의존성만이 조절효과의 경향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맞벌이가족의 일-가정 양립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Work-Family Compatibility of Dual-Earner Families)

  • 김승희;김선미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3호
    • /
    • pp.355-37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work-family compatibility in the everyday experiences of dual-earner families. By comprehensively describing how dual-earner families manage daily life, this study shows their current situ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Previous studies partially dealt with the problems of dual-earner couples, such as the role conflict of wives and husbands. However, this study broadly demonstrates how wives and husbands as independent individuals manage their lives by working together for a living. Participants were 6 males and 6 females, who liv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Stevick-Colaizzi-Keen in Moustakas (1994).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play that dual-earner couples work for a living, but work is the driving force in their life. Family provides dual-earner couples with a stable life, but their stable life is possible by social support like the assistance of a mother-in-law. Dual-earner couples consider work and family as the essential axis of life, thus they give the same value on work and family. Even though dual-earner couples have a difficult time educating their children because of long working hours and coming home late, they positively combine work and family meeting the needs of self-improv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working environment that provides enough time for housework and childcare.

Work-Family Conflict, Depression, and Burnout Among Jail Correctional Officers: A 1-Year Prospective Study

  • Jaegers, Lisa A.;Vaughn, Michael G.;Werth, Paul;Matthieu, Monica M.;Ahmad, Syed Omar;Barnidge, Elle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2호
    • /
    • pp.167-173
    • /
    • 2021
  • Background: Correctional officers (COs) experience elevated rates of mental and physical ill-health as compared with other general industry and public safety occup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mographic, mental health, job tenure, and work-family characteristics and their prospective association to burnout within and between jail officers during one year of new employment. Methods: In 2016, newly hired jail officers (N = 144) completed self-reported surveys across four time points in a one-year prospective study at a Midwestern United States urban jail. Linear mixed-effects and growth modeling examined how work-family conflict (W-FC) and depressive symptoms relate to perceptions of burnout over time. Results: Jail officer burnout increased and was related to rises in W-FC and depression symptoms. Within-person variance for W-FC (Bpooled = .52, p < .001) and depression symptoms (Bpooled = .06, p < .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urnout. Less time on the job remained a significant predictor of burnout across all analyses (Bpooled = .03, p < .001). Conclusions: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burnout increased during the first year of new employment; and increased W-FC, higher depression, and brief tenure were associated with burnout among jail COs. Future study of correctional workplace health is needed to identify tailored, multilevel interventions that address burnout and W-FC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among COs.

Improving the Workplace Experience of Caregiver-Employees: A Time-Series Analysis of a Workplace Intervention

  • Ding, Regina;Dardas, Anastassios;Wang, Li;Williams, Alliso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3호
    • /
    • pp.296-303
    • /
    • 2021
  • Background: Rapid population aging in developed countries has resulted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increasingly being tasked with the provision of informal care. Methods: An educational intervention was delivered to 21 carer-employees employed at a Canadian University. Work role function, job security, schedule control,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and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were measured as part of an aggregated workplace experience score. This score was used to measure changes pre/post intervention and at a follow-up period approximately 12 months post intervention. Three random intercept models were created via linear mixed modeling to illustrate changes in participants' workplace experience across time. Results: All three models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andom and fixed effects intercepts, with a positive coefficient of change.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demonstrated an improvement of the workplace experience score for participants over time, with the association particularly strong immediately after intervention.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의 일-가정양립갈등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직무디스트레스의 역할 (Effects of Work-family Role Conflicts on Life Satisfaction for Female Workers using Child Daycare Center in Workplace: Role of Work Distress)

  • 최수찬;고수연;이지연;이희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93-303
    • /
    • 2015
  • 직장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일-가정양립갈등, 생활만족, 직무디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이다. 직장보육시설 여성근로자 1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정직장갈등(FWC)은 직무디스트레스(WDIS)에, 직무디스트레스(WDIS)는 직장가정갈등(WFC)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직장가정갈등(WFC)이 높아지면 생활만족(LS)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가정직장갈등(FWC)은 직무디스트레스(WDIS)를 통한 완전매개경로를 통해 생활만족(LS)에 영향을 미쳤고, 직장가정갈등(WFC)은 직무디스트레스(WIDS)가 생활만족(LS)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갈등이 갖는 양방향성(bi-direction)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생활만족(LS)과의 관계가 단순히 부정적이라고만 밝힌 기존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직장가정갈등(WFC), 가정직장갈등(FWC), 직무디스트레스(WDIS) 간의 관계를 구분하여 살펴 봄으로써, 각 갈등의 방향성에 따른 결과를 보다 명확히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연구대상이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여성근로자들로 한정되어 있어서 일반 여성 근로자들과의 비교를 통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일가족 양립 정도에 대한 인식: 집단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Group Differences o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 장수정;송다영;김은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2호
    • /
    • pp.349-370
    • /
    • 2009
  • 본 연구는 일가족 양립 인식정도에 대한 집단간 차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 배우자와 함께 살고 있으며 일을 하고 있는 25세 이상 성인 1,490명을 대상으로 일가족양립 정도 및 수준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기 위해 확률표본에 기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 특히, 여성홀벌이들이 가족-일 양립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였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자녀수별로는 자녀가 한명인 경우 가족-일 양립에 가장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고용형태별로는 정규직이, 기업규모별로는 300-900인 규모 사업장에서 일을 하고 있는 근로자들이 일-가족 양립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교육 및 보건 등과 같은 서비스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가족-일 양립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과 가족 양립 관련 가치관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work-family balance values in Korea, Japan and U.K.: Focused on married working women)

  • 손영미 ;박정열;전은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2호
    • /
    • pp.253-277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영국의 기혼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 관련 가치관(일-가족지향성, 맞벌이태도-경력단절태도, 결혼 및 자녀필요성, 일의 가치 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이들 가치관에 대한 세대 간 차이를 발견하고,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주된 가치관 유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311명, 일본 324명, 영국 322명의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이 일본과 영국에 비해 일지향적이며, 일에 있어서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가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여성이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성이 높으나, 일과 가정의 갈등상황에서 여성이 일을 그만두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성도 높은 것으로 드러나, 여성의 일-가정에 대한 이중적 가치관을 보여주었다. 둘째, 영국은 삶의 중심을 가족에 두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여성이 반드시 일을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다. 군집분석결과, 영국은 여성이 가정의 주책임을 맡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 '여성-가족돌봄가치지향'집단과 가족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가족가치지향'집단에 많이 분포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일본은 한국과 영국 중 가족지향성이 가장 낮고, 일지향성도 낮으며, 일에 대해서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를 지향하는 정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군집분석결과, 일본 조사대상자의 경우 가장 높은 비율이 '가치관약화집단'에 포함되고 있어, 가족의 영역에서도 일의 영역에서도 동기와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소진된 경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본은 맞벌이 태도와 경력단절태도, 결혼 및 자녀필요성이 일관되게 진보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어 한국과는 구별된다. 이 같은 결과를 한국, 일본, 영국의 사회경제정책 및 심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 PDF

사무직 직급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 (Comparison of Job Stressors between Managers and Employees in White-Collar Workers of an Electric Company)

  • 탁진국;홍현숙;이강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2호
    • /
    • pp.160-168
    • /
    • 200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job stressors between managers and low level employees among white-collar workers. Anothe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mental health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 Data was obtained from 204 managers and 258 low level employees who were employed in white-collar jobs. Fourteen job stressors and seven job stress variables were measured. Results : Among the 14 job stressors, role overload, job insecurity, and work-family conflict were higher job stressors for the manager group whereas role conflict, work-aptitude incongruity,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promotion problems were higher job stressors for the low level of employe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job stress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job stres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manager group, job insecurity, work-aptitude incongruity, and work-family conflict significantly affected in explanation of job stress whereas for the low level employees, role underload, peer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significantly explaining the job stress variables. Conclusion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ors between managers and low level employees among white-collar workers. Addition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job stress between the two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