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Family Balance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초

가족공유 가사노동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Time Use of Family Housework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It)

  • 이기영;이현아;김외숙;이연숙;조희금;이승미;김주희;한영선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2호
    • /
    • pp.103-12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mily sharing time of housework and to examine the sharing time with family is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Time Use Survey data collected by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9 is used. Among the total sample of 21,000 individuals, 9,179 samples who are married, aged from 20 to 59 years old and non-farmers are selected for analysis. The statistical methods are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ulation,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First, comparison of men and women shows women spend more time on housework than men do. But sharing housework time with family for men increase on Sunday. Performer average is almost same in men and women. Secondly, the family sharing time on housework is longer on Sunday. It is due to increase of men's family sharing time. It means that men's time substitute for women's housework. Thirdly, the influencing factors on family sharing housework are gender, age, education, presence of spouses, monthly income, dual earner status, weekly working hours, gender role atittude and presence of preschoolers. Family sharing housework is not only household labor but also family pleasure time. It means family policy should focus on making family time for workers fundamentally. And family policy needs to make a system of educational program for work-family balance.

  • PDF

간호사를 위한 맞춤보육어린이집의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Development of a Customized Nursery School for Nurses)

  • 강기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07-416
    • /
    • 2019
  • 본 연구는 취업모인 간호사의 일 가족사이의 균형을 지지하고 사직 이직을 예방할 수 있는 맞춤보육어린이집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맞춤보육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고, 가임기 간호사의 맞춤보육어린이집의 운영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국민의 건강 및 안전을 위하여 숙련된 간호사를 확보하고, 이직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맞춤보육 어린이집은 취업모인 간호사가 365일 3교대로 연속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자녀 보육을 도와주어서, 간호사의 일 가정 양립의 실현을 지지하여 이직 사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반드시 개설되어야한다. 간호사의 역할 중에서 돌봄 제공자의 역할은 간호사의 최우선 역할이고 24시간 교대로 연속 근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퇴직한 간호사를 맞춤보육어린이집의 간호사 자녀 돌봄인력으로 활용한다면 간호사들이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그리고 맞춤보육어린이집이 취업모인 간호사의 근무상황 및 인식 요구에 맞춰서 운영이 된다면 간호사들의 사직 이직률이 낮아지고, 결혼 및 출산 계획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어 저 출산율 개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맞춤보육어린이집이 활성화 되려면 안전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고, 교사의 자질을 높이는데 큰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은 영유아의 기본생활과 습관형성을 돕는 것을 중점으로 시행하고, 교사의 자질향상을 위한 보수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정적인 관리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의 초단시간 노동시장 분석 (The Short-Hours Part-Time Jobs in Korea)

  • 문지선;김영미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9-164
    • /
    • 2017
  • 이 글은 근로시간이 주당 15시간 미만에 불과한 초단시간 노동시장의 성장에 주목하여, 어떤 집단에서 초단시간 근로가 증가하고 있고 이들의 노동 상황은 어떠한지 분석한 탐색적인 연구이다. 초단시간 근로는 저학력 고령층 여성, 특히 사별 또는 이혼한 여성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는 여성의 일-가정 양립이나 경력단절에 초점을 둔 정부의 시간제 근로 장려 정책의 결과가 아니었다. 오히려 배우자가 있는 여성도 육아나 가사의 이유보다 원하는 일자리가 없거나 생활비가 필요해서 초단시간 근로를 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초단시간 근로란 일-가정 양립을 원하는 여성이 노동시간의 이점을 보고 선택하는 고용형태가 아닌 것이다. 초단시간 노동시장은 사회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저임금에 사회보험과 부가급여도 기대할 수 없는 열악한 특성을 띠고 있었다. 노동 수요와 공급, 정부와 제도 측면에서 볼 때,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 현상은 급증하는 사회서비스의 수요를 민간에 넘긴 정부, 30인 미만 영세 사회서비스업 중심의 초단시간 고용, 주당 15시간 미만 근로에 대한 법적 보호를 배제한 미비한 법제도, 그리고 생계가 급급한 노동공급자라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였다. 사별 또는 이혼 상태인 저학력 고령층 여성은 경제적 동기는 강한 반면 시장에는 가장 취약한 집단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저임금 노동으로 초단시간 노동시장이 존재 할 수 있었지만, 고용의 질이 낮은 만큼 이들은 근로빈곤의 함정에 빠져있을 가능성이 높다. 노인빈곤율이 높은 현실과 호출근로같이 열악한 근로조건의 초단시간 노동시장을 감안할 때, 정부의 규제와 초단시간 근로자를 온전하게 보호하는 법 제도 등의 대책이 매우 시급하다.

영유아 무상보육정책 담론에 대한 분석 -일가족 양립 지원 관점을 중심으로- (Discourse Analysis of Free Child Care Policy for Infants-Focus on the Perspectives of Work-Family Balance)

  • 장수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33-59
    • /
    • 2013
  • 무상보육 시행 이후에도 무상보육은 담론의 각축장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영유아 무상보육 담론분석을 위해 주요 4대 일간지(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의 '무상보육' 기사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한국 언론진흥재단의 카인즈(Korea Integrated News Database System)와 조선일보 아카이브를 통해 검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는 무상보육 실시 후 자료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무상보육담론은 양육수당, 맞벌이 주부 대 전업주부, 보편복지 대 선별복지 등 다양한 대립구도를 형성하면서 경합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론분석 결과 보수적 또는 진보적 이데올로기가 실천되고 재편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상보육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지를 일가족 양립 지원 관점에서 성찰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PDF

발전주의 복지국가에서 사회투자국가로: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From a Developmentalist Welfare State to a Social Investment State: A Case Study of Japan)

  • 권순미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231-257
    • /
    • 2018
  • 일본은 동아시아 발전주의 복지모델을 대표하는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러나 이 논문은 일본이 최근 사회투자국가로 전환했다고 주장한다. 제도적 경로 의존성에 따라 발전주의적 성격이 여전히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고령화등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한 발전주의 복지국가의 제도적 비조응성이 증대하면서 민주당정권의 '제3의 길'에서 시작된 사회투자국가 노선은 '일본 1억 총활약 플랜'으로 상징되는 아베노믹스 제2단계로 계승되었다. 이 연구는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을 강조하는 새로운 복지국가 패러다임이 정책 아이디어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여성의 고용 활성화, 아동에 대한 투자, 돌봄 지원정책 등 일-가족 양립과 관련한 공공정책 영역에서 포괄적으로 추진되고 있음을 밝힌다.

미혼여성의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View on Marriage of Unmarried Women)

  • 이윤정;강석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61-767
    • /
    • 2023
  • 본 연구는 미혼여성의 결혼관, 자녀관, 성역할관, 일·가정양립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결혼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결혼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을 심어주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충북지역 미혼여성 50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22년 5월부터 8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미혼여성의 결혼관은 2.92점(5점), 자녀관은 3.32점(5점), 성역할관 1.70점(5점), 일·가정양립 인식 정도는 2.85점(5점)으로 나타났다. 미혼여성의 결혼관은 자녀관, 일·가정양립 인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여성의 결혼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녀관과 성역할관이었다. 이들 변인이 결혼관을 설명하는데 48%의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미혼여성들에게 결혼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재가노인 돌봄 요양보호사의 우울 및 스트레스 관련 요인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Stress among Korean Women Care-workers for Older Adults Dwelling in Community)

  • 전경숙;유선주;김묘경;김유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8
    • /
    • 2017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explore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women care-workers caring older adults living in community. Methods: A total of 465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Depressive symptoms was measured by the CES-D10 and distress was assessed using a single question given 5 Likert scale.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distress among care-workers were 32.5% and 32.0% respectively. Work environment safet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ork-family conflict, weekly care work time, and poor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Onl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nd poor health status were associated with distres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more attention on mental health of care-workers and their risky work condition such as violence.

Assessing Social and Work Environmental Factors Towards Women Upward Career Development: An Empirical Study from Pakistan

  • KHURSHID, Nabila;NASEER, Aleena;KHURSHID, Jamila;KHOKHAR, Arif Masih;IRFAN, Muhamma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호
    • /
    • pp.53-61
    • /
    • 2022
  •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environment and societal issues that impede women's advancement to senior management positions. The study included 500 women professionals from diverse firms in Pakistan's business sector, of whom 100 were chosen as the sample size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Experts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study tool, which was a questionnaire,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its reliability (0.704-0.982). The model's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suggested that social factors (0.298)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women's empowerment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and that they were further influenced by factors related to the work environment (0.411). It was concluded that organizational rules for female employees assist them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resulting in a less stressful working environment. The role of the social factor as a mediator is also thought to be important in maintaining a healthier work environment in companies. It was also determined that much more work needs to be done on promotional regulations, as well as gender-blind legislation so that women's professional advancement is not limited to middle management.

1인 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The Leisure behaviors of single households in Korea : A generational analysis)

  • 정영금;윤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4호
    • /
    • pp.1-15
    • /
    • 201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isure behaviors of single households in Korea on the basis of generation, and identify leisure characteristics or factors that influence levels of happiness in these households. The sample comprised 1,144 single householders, among whom 74 belong to the teenage generation, 288 are of the eco generation, 154 belong to generation X, 104 are baby boomers, and 524 are of the older generation. Various leisur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cross the generations, namely, conditions for leisure, degree of leisure participation, level of work-leisure balance, persistence of participation, and type of activity.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leisure characteristics and leisure factors that influence levels of happiness among the generations.

유연근무가 조직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 (M사 시차출퇴근 제도 도입 사례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positive impact of flexible work on organization and job performance (The case of introduction of M company time difference commuting system))

  • 이희;이만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3-260
    • /
    • 2017
  • Due to dramatic changes in the trend of corporate management in economics, labor and government, companies are being asked to adapt creative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order to keep sustainability. Under the circumstances, flexible working hour becomes one of very effective method for organization culture improvement. Recently, M company has introduced the new policy of working hours that employees can choose a couple of different time options depending on their personal situations. And it turns out to be very effective to work & life balance, increasing organizational vitality, improving efficiency of business and productivity, recruitment of core human resources, and prevention of deviation; both team and personal performance levels has significantly improved.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to adapt flexible working policies for companies seeking for a long term, sustainable corporate 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