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Flow

검색결과 2,755건 처리시간 0.042초

Design of Optimized Ultrasound Clinical Work-Flow; Usability Perspective

  • Bag, ByungEun;Yoo, SunKook;Jang, WonSeuk
    • Journal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Simulation Surgery
    • /
    • 제2권1호
    • /
    • pp.40-42
    • /
    • 2015
  • Purpose Us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our life.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to design the clinical work-flow for ultrasound system. And, we tried to apply this work-flow in diagnosis ultrasound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For user learnability, we follow international standard IEC 60601-1-1 and IEC 62366 which describes usability of medical instrument. User requirement are applied by 10 clinicians who are well aware of usability. We considered user environment and designed clinical work-flow into two types: general use and emergency use. The designed clinical work-flow was evaluated by 10 clinicians and results derived from the evaluation were analyzed. Results We could successfully design optimized clinical workflow of ultrasound system.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usability testing for optimized ultrasound clinical workflow. Using this clinical work flow, users can enhance their clinical performance and reduce operation time.

두 대의 펌프가 병렬로 설치되는 계통에서의 유량 특성 (Flow Rate Characteristics of Two Parallel Pumping System)

  • 박용철;지대영;서경우;윤현기;박정근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1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79-586
    • /
    • 2011
  • During a reactor normal operation, a primary coolant was designed to remove the fission reaction heat of the reactor. When one pump is failure and the other pump shall supply the cooling water to cool the reduced power, it is necessary to estimate how much flow will be supplied to cool the reactor. We carried a flow net work analysis for two parallel pumping system as based on the piping net work of the primary cooling system in HANARO. As result, it is estimated that the flow of one pump increased than the rated flow of the pump below the cavitation critical flow.

  • PDF

차종별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편도 2차로 고속도로 공사구간 용량 산정 (Estimation of Capacity at Two-Lane Freeway Work Zone Using Traffic Flow Models of Each Vehicle-Type)

  • 박용진;김종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95-20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차종별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편도 2차로 고속도로 공사구간의 용량 값을 산정하는 것이다. 공사구간의 교통류 모형은 공사구간의 유입부 및 유출부를 대상으로 차종별 모형과 승용차 환산계수를 적용한 전체 차량에 대한 모형으로 도출하였다. 차종별 모형에서 산정된 최대교통류율은 승용차환산계수 및 중차량 비율을 적용하여 공사구간의 용량 값으로 전환하였다. 차종별 모형의 유입부 및 유출부 최대교통류율 값은 각각 1,845pcphpl과 1,884pcphpl로 산정되었으며 차량 전체를 대상으로 한 모형의 최대교통류율은 차종별 결과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모형의 비교 검증을 위하여 최대밀도에 따른 거리 차두간격을 적용하였다. 공사구간의 용량은 공사구간의 흐름이 안정된 유출부 용량보다 공사구간 진입을 위한 차선 변경 등으로 교통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유입부 용량에 좌우되므로 유입부 교통류 모형의 최대교통류율 값인 1,800pcphpl을 편도 2차로 고속도로 공사구간 용량 값으로 산정하였다.

어린이집교사의 역할갈등이 일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ole Conflicts on the Work-related Flow of Childcare Teachers)

  • 이경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1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Mihaly Csikszentmihalyi가 제시한 인지적, 정의적, 동기적 차원의 플로우 개념을 바탕으로, 어린이집 교사가 직업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일 플로우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일 플로우가 어린이집교사의 역할갈등의 다양한 요인들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4명의 어린이집 교사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일 플로우 변수군(몰입, 즐거움, 내재적 동기)과 역할갈등 변수군(교사개인, 유아, 조직구성원, 학부모, 행정 및 업무지원, 장학, 사회적 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각 개별변수들의 상호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집교사의 일 플로우와 역할갈등 변수군 간의 관계는 상호교호적인 한편, 일 플로우의 예측변수로서 역할갈등을 설정하는 인과관계모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어린이집교사의 일 플로우의 변수 중 몰입과 즐거움은 교사개인 및 장학관련 역할갈등과의 상호영향력이 높고, 즐거움은 행정 및 업무지원과 장학관련 역할갈등과의 상호영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국내 외 연구와의 비교 및 이론적 논의점을 기술하였고, 어린이집교사의 개인적, 조직적 맥락의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플로우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건설공사의 자원 효용성 증대를 위한 조달 및 양중 작업흐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ing Life-up and Procurement Work Flow for Effectiveness of Resources increase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 이형수;윤유상;서상욱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42-445
    • /
    • 2003
  • 최근 도심지 고층건축공사가 증가하면서 건설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시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 건설현장에서 건설자재의 공급에 대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공정과 연계되지 못한 자재의 조달 및 양중은 현장 내 재고 증가 및 작업지연을 유발하면, 복잡한 정보전달 체계는 관련 작업의 의사결정의 지연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공사기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공정진행을 고려한 조달 및 양중작업에서 각 공사담당자간의 효율적인 정좌전달 체계의 구축은 효과적인 공사수행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조사를 통해 건설자재의 조달 및 양중작업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가치흐름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낭비요소를 추출한 뒤, 공사참여자간의 의사소통 체계를 구축 및 양중계획 업무흐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은 web을 기반으로 한 조달 및 양중시스템의 전반적인 체계로서 활용될 것이다.

  • PDF

Effect of the yield criterion on the strain rate and plastic work rate intensity factors in axisymmetric flow

  • Lyamina, Elena A.;Nguyen, Thanh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8권4호
    • /
    • pp.719-729
    • /
    • 2016
  • 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paper is to study the effect of the yield criterion on the magnitude of the strain rate and plastic work rate intensity factors in axisymmetric flow of isotropic incompressible rigid perfectly plastic material by means of a problem permitting a closed-form solution. The boundary value problem consisting of the axisymmetric deformation of a plastic tube is solved.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contracts. The radius of the inner surface does not change. The material of the tube obeys quite a general yield criterion and its associated flow rule. The maximum friction law is assumed at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Therefore, the velocity field is singular near this surface. In particular, the strain rate and plastic work rate intensity factors are derived from the solution. It is shown that the strain rate intensity factor does not depend on the yield criterion but the plastic work rate intensity factor does.

다품종흐름생산 시스템의 물류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erial Flow Improvement of Multiproduct Flow Line Production System)

  • 이화기;성연호
    • 산업공학
    • /
    • 제6권1호
    • /
    • pp.99-112
    • /
    • 1993
  • This study deals with analysis of material from in Tube manufacturing line. This line is a multi product flow ship type production line, which consists of 5 steps of work station. Some work stations involve in unnecessary moving activities of workers and much work in-process storage due to the non-systematic material flow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lot size production of multi-items. To improve productivity for this line, one alternative is considered such as grouping two work stations by using GT and JIT concepts. Also, feasibility analysis for this alternative is performed using and simulation model built by SIMAN IV simulation language.

  • PDF

CIP 4 Work Flow의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ng Application of CIP 4 Work Flow)

  • 김세진;하영백;오성상;이의수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0
    • /
    • 2006
  • In the past few years, the printing industry has witness a trend that has become ever more defined: due to the adv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production of short print runs has continued to gain in importance. An important initiative for the support of digital work flow in the manufacturing of printed products is CIP4 consortium. CIP4 stand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Integration of Prepress, Press and Post-press, it is an association of around forty international companies, mostly manufacturers of prepress, press and post-press, as well as suppliers and users. In this paper, we studied on the acting application of CIP4 work flow.

  • PDF

유연생산라인의 부하평준화를 위한 작업흐름선택 전문가시스템 (Job Route Selection Expert System for Workload Balancing in Flexible Flow Line)

  • 함호상;한성배
    • 지능정보연구
    • /
    • 제2권1호
    • /
    • pp.93-107
    • /
    • 1996
  • A flexible flow line(FFL) consists of several groups of identical machines. All work-orders flow along the same path through successive machine groups. Thus, we emphasized the balancing of workloads between machine groups in order to maximize total productivity. On the other hand, many different types of work-orders, in varying batch or lot sizes, are produced simultaneously. The mix of work-orders, their lot sizes, and the sequence in which they are produced affect the amount of workload. However, the work-orders and their lot sizes are prefixed and cannot be changed. Because of these reasons, we have developed an optimal route selection model using heuristic search and Min-Max algorithm for balancing the workload between machine groups in the FFL.

  • PDF

건설공사의 자재관리 효율화를 위한 조달 및 양중시스템 기반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Framework of Lift-up and Procurement System for Effective Resource Management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 이형수;윤유상;서상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33-139
    • /
    • 2004
  • 최근 도심지 고층건축공사가 증가하면서 건설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중요시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 건설현장에서 건설자재의 공급에 대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공정과 연계되지 못한 자재의 조달 및 양중은 현장 내 재고 증가 및 작업지연을 유발하며, 복잡한 정보전달 체계는 관련 작업의 의사결정의 지연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공사기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공정진행을 고려한 조달 및 양중작업에서 각 공사담당자간의 효율적인 정보전달 체계의 구축은 효과적인 공사수행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조사를 통해 건설자재의 조달 및 양중작업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가치흐름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낭비요소를 추출한 뒤, 공사참여자간의 의사소통 체계를 구축 및 양중계획 업무흐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은 web을 기반으로 한 조달 및 양중시스템의 전반적인 체계로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