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en Cultural Propertie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7초

목조문화재 열화 및 보존기술에 관한 연구(제2보) -장경각 구조부재중 실내 판가 기둥의 생물적 열화 특성- (Deterioration and Preservation Technique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Part 2) -Biodeterioration of Square Post to Support Wooden Printing Blocks Shelves, Janggeongpanjeon-)

  • 김영숙;한상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64-72
    • /
    • 2007
  •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 내부의 판가 기둥에 대하여 생물적 열화 특성을 조사 연구하였다. 장경판전의 법보전과 수다라장의 판가기둥을 대상으로 연구 검토한 결과, 서가의 위치 및 부위 그리고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열화 현상이 있음이 밝혀졌다. 부재의 주요 열화는 미생물에 의한 부후현상으로 밝혀졌으나, 부후가 나타난 부분들은 초석에 접촉된 부위였으며 부후 정도가 매우 극심한 상태를 보였다. 법보전 판가기둥 부후가 더 심했다. 부후형은 백색부후형이 많았다. 그리고 일부판가기둥에서는 곰팡이류의 표면오염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북, 서북, 북향에 위치한 부재에 더 심한 열화가 나타났으며 건물내부의 전면보다는 후면에 위치한 판가 부재의 부후가 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해충에 의한 피해는 거의 없었다.

철도막에 사용된 안료 비교분석 (A Study for analysing pigments on the lacquer with wooden)

  • 홍종욱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6호
    • /
    • pp.129-138
    • /
    • 1995
  • For the study of the pigments on lacquer with wooden for comparing a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structures have been selected samples from tombs at Tanwol-dong, Ch′ungch′ong-do, Hwang-namtaech′ong, Anapchi Lake in Kyongju-shi and Miruksa Site. Analysis showed that red pigments on the lacquer with wooden from Anapchi Lake and Tomb at Tanwol-dong was found to Cinnabar, and those sample sexcavated from Hwang-namtaech′ong have been analyzed to calcite, maghematite and kornelite. In general, red pigments have two components like cinnabar and hematite. Hematite was found that red lacquer at Hwang-namtaech′ong was to beidentified Maghematite caused by their environment air pollution. Cinnabar was handled more valuable than hematite for unchanging characteristics for their colour under same condition since old times.

  • PDF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제유물의 용도별 선호수종 연구 (A Study on Preferred Wood Species Depending on the Use Of Wooden Objects Excavated from Haman Seongsansansung Mountain Fortress)

  • 조석민;손병화;정아름;권지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0-680
    • /
    • 2019
  • 본 연구는 다량의 목제유물이 출토된 삼국시대 함안 성산산성을 비롯하여 동시대로 생각되는 경상권 유적 목제유물의 수종분석 결과를 빗, 목간, 용기류 등의 용도별로 구분하여 비교함으써 용도에 따른 선호 수종이나 요구 특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목간과 빗의 경우는 뚜렷한 선호 수종이 나타났고, 용기류의 경우는 비교적 중간 정도의 강도 특성을 갖는 목재로써 일정 부분 수분이 동의 저항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수종들이었다.

목조 건축물의 비파괴 검사를 위한 표면하부 탐사 레이더의 적용 가능성 검토 : FDTD 모의계산과 실험 측정 (A Feasibility Study on a Subsurface-Penetrating Radar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Wooden Architectures : FDTD Simulation and Laboratory Measurement)

  • 현승엽;김세윤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790-796
    • /
    • 2002
  • 우리나라에는 역사적으로 아름답고 소중한 목조 건축물들이 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목조 건축물들은 오랜 세월동안 풍화작용, 병충해 등과 같은 거친 환경조건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건축물에 구조적 결함을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사전에 목조 건축물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목조 건축물의 비파괴 검사에 표면하부 탐사 레이더의 적용 가능성을 3차원 유한차분 시간영역 모의계산과 실제 측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과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무령왕릉 목관재의 옻칠 기법 연구 (Lacquer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Wooden Coffins of King Muryeong's Tomb based on the Scientific Analysis)

  • 김수철;이광희;강형태;신성필;한민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7-258
    • /
    • 2010
  • 무령왕릉 출토 목관재 6점의 칠도막 편에 대하여 광학 현미경 관찰, 적외선 분광분석 및 SEM-EDS 분석을 실시하였다. 목관재에 도장된 옻칠 기법은 크게 네 가지 방법으로 분류되었다. 목재 표면에 그을음(미립자의 흑색 안료)을 혼합한 흑색 안료층이 밑층으로 존재하면서 그 위로 칠이 1회(그룹 II) 도장된 것과 3회(그룹 I) 도장된 것, 흑색 안료층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칠 도장이 1회(그룹 IV)와 2회(그룹 III) 되어있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목관의 제작기법과 부재의 결구 방법을 밝히는데 좋은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적외선 분광분석을 통해 무령왕릉 칠도막은 자외선에 의한 열화 요인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동이 어려운 목관의 크기와 무덤이라는 매장 환경 등에 기인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SEM-EDS 분석결과 현재까지 고대 칠분석에서 보고된 바 없는 Ca, Fe, Cu의 성분이 확인되어 의미가 있다.

산불로부터 목조문화재 보호를 위한 수막노즐의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of Water Curtain Nozzles for Protec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from Forest Fire)

  • 김경진;송동우;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8-13
    • /
    • 2012
  • 중요 목조문화재를 산불이나 인접 건축물의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막노즐을 제시하였다. 바닥으로부터 일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물줄기로 수막을 형성하여 복사열을 차단함으로써 $200{\sim}250^{\circ}C$에서 발생하는 목재의 열분해를 막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강원도 낙산사와 전라남도 무위사의 수막노즐의 설치상태를 확인해 보았고 이를 보완 개량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상시 덮개에 덮인 노즐을 설치하여 경관을 손상시키지 않게 하였고 사용 시 수직상승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상하승강식 노즐봉과 이를 효과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되었다.

창녕 비봉리 출토 신석기시대 나무배 편의 조습건조 (Humidity Controlled Drying for the Fragments of an Wooden Boat in the Neolithic Age, Excavated from Bibong-ri, Changnyeong, Korea)

  • 김수철;이광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4권
    • /
    • pp.7-12
    • /
    • 2013
  • 창녕 비봉리에서 출토된 신석기 시대 나무배 편을 대상으로 PEG 함침처리 후 조습건조를 진행하였다. 칠기나 목기와 같은 소형 수침고목재 유물의 경우에는 진공동결건조법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소형 유물에만 적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선박과 같은 대형유물의 경우에는 대부분 PEG 처리 후 자연건조를 하고 있으나 장시간의 약제함침이 요구되며, 건조결함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처리에서는 비봉리 출토 나무배 편 4점을 대상으로 PEG 수용액으로 10%에서 80%까지 단계적으로 함침처리 후 조습건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조습건조 후 배편의 습도조건별 중량변화를 측정하여 유물의 치수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화재방제구역에 따른 목조문화재 생물손상 및 생물위험도 평가 (Biological Damage and Risk Assessment of The Wood Cultural Properties in Fire Prevention Area)

  • 김대운;정용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104-111
    • /
    • 2015
  • 목조건축물 주변 화재방제구역에서 벌채된 후 방치된 20기의 그루터기를 3년간 조사한 결과 흰개미 군체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송광사 경내 전체 31개 목조건축물 중 4개 동에서 흰개미에 의한 손상이 진행중인 것이 확인되어 서식지가 화재방제라인을 넘어 사찰 내부로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극초단파 탐지장비를 이용한 조사를 통해 현재까지도 내부 손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어 위험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정비되지 못한 화재방제구역은 오히려 목조문화재의 잠재적인 위해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방화선 구축사업으로 인해 발생된 목재 및 그루터기의 효율적인 제거 방안이 요구된다.

주심포식 공포의 표현원리 - 사찰건축과 그 지붕형태를 중심으로 - (The Expressional Principles of Wooden Brackets in Jusimpo Style - Focusing on Temple building -)

  • 최고은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3호
    • /
    • pp.103-118
    • /
    • 2005
  • This study is about the meaning of wooden brackets that are distinctive elements of wooden architecture in Korea, Japan, and China. Existing studies about wooden brackets have been limited to the boundary of formalism, so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make a breakthrough in the field of those studies. The Wooden brackets in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decorative elements, and the principles of their design are examined. The specific subject of the study is wooden architecture with Jusimpo-styled brackets that have brackets only on pillars. The definition of Jusimpo is reexamined first, and ChulMok-Ikkong which has not been regarded as a Jusimpo-styled wooden bracket is interpreted as Jusimpo-styled one in this stud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Jusimpo is examined how it is express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oof in a building. In view of the results, the wooden bracket system is an effective technique to express the formality, and two designing principles can be seen in Jusimpo; one that wooden brackets observed externally are standardized and regarded as the same ones, and the other that the style of wooden brackets used in the most formal building is Yi-ChulMok. These designing principles mean that the carpenter who was in charge of building the architecture had certain principles when expressing wooden brackets as well as the roofs according to the class of the architecture. In addition, although the styles of wooden brackets that were used in the most formal architecture during the Chosun period were mostly Dapo, Jusimpo in the form of Yi-ChulMok was also adopted in some temples depending on their scale, and that means Jusimpo-styled wooden brackets were never considered to be inferior to Dapo-styled ones. And this point leaves the argument that the reexamination of Jusimpo-styled wooden bracket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the style used in the attached building or small structures since the Choun dynasty should be conducted.

  • PDF

Patterns of Resistographs for Evaluating Deteriorated Structural Wood Members

  • ;;박문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45-54
    • /
    • 2003
  • The density and strength of wood is affected by degradations and defects, such as voids and knots. Old wooden structures such as traditional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deteriorated by these types of defects. They were evaluated by a visual observation tha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inner deterioration in structures. In this study, three nondestructive testing techniques were investigated to detect the wooden structural members. Ultrasonic stress wave tests, drilling resistance tests and visual inspections were used to examine the structural wood members. Patterns of Resistograph using by drilling resistance tests could indicate the features of internal wood such as voids, knots, decay, fungi, and so on. The technique just like as ultrasonic stress wave tests, however, difficult to detect exactly area where small amounts of internal deterioration in logs are. In spite of results of ultrasonic stress wave test, the internal deterioration of wooden structural members could be evalu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ultrasonic stress wave tests and drilling resistance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