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ioration and Preservation Technique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Part 2) -Biodeterioration of Square Post to Support Wooden Printing Blocks Shelves, Janggeongpanjeon-

목조문화재 열화 및 보존기술에 관한 연구(제2보) -장경각 구조부재중 실내 판가 기둥의 생물적 열화 특성-

  • Received : 2006.09.11
  • Accepted : 2006.12.28
  • Published : 2007.01.25

Abstract

The biodeterioration behaviors of square post to support the wooden printing blocks Shelves in the Janggeongpanjeon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and parts of square pos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a high differences of deterioration in the progressing levels of wood decay, according to the positions and parts of square post,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decay levels were very high and still progressing in the contacted areas with stone foundation which are about up to 50 cm above it. In the decay type, white rot fungi was mainly affected in the inside of building which mainly made of softwood. The decay in the square posts to support the wooden printing block shelves inside of building was worse in the rear side, compared to front side. The insects was not found in most of square posts excluding the post which was neighboring at the infected round column by insect.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 내부의 판가 기둥에 대하여 생물적 열화 특성을 조사 연구하였다. 장경판전의 법보전과 수다라장의 판가기둥을 대상으로 연구 검토한 결과, 서가의 위치 및 부위 그리고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열화 현상이 있음이 밝혀졌다. 부재의 주요 열화는 미생물에 의한 부후현상으로 밝혀졌으나, 부후가 나타난 부분들은 초석에 접촉된 부위였으며 부후 정도가 매우 극심한 상태를 보였다. 법보전 판가기둥 부후가 더 심했다. 부후형은 백색부후형이 많았다. 그리고 일부판가기둥에서는 곰팡이류의 표면오염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북, 서북, 북향에 위치한 부재에 더 심한 열화가 나타났으며 건물내부의 전면보다는 후면에 위치한 판가 부재의 부후가 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해충에 의한 피해는 거의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숙, 윤정희, 강호양, 박상진. 2006. 목조문화재 열화 및 보존기술에 관한 연구(제1보) -장경각 구조부재 중 큰 기둥의 생물적 열화 특성, 목재공학 35(1): 51-63
  2. 박상진. 1998 팔만대장경판의 수종과 보존현황, 숲과 문화, 제7권 1호,8-13
  3. 박상진, 정기호, 김재우. 1999. 고려대장경 경판전 기둥의 재질, 목재공학 27(1): 1-8
  4. 이재창, 장경호, 장충식. 1993. 해인사 대원사
  5. 박상진, 안희균. 1982. 화암사 고목재의 구조와 수종. 전남대 연습림 보고, 5:87-102
  6. 박상진. 1983. 범어사 및 무량사고건축재의 구조와 수종. 보존과학연구, 4:59-69
  7. 박상진, 강애경, 김유정. 1993. 출토 고목재의 수종과 조직구조에 관한 연구(1)- 출토목관재의 수종 보존과학회지, 2:3-14
  8. 鈴木憲太郎、松岡昭四郎,壓司要作,井上衡。1981. 各種防腐處理小丸たの野外における被害經過と耐用年 数,日本林試年報, Bull. For. Prod. Res. No. 315, 105-112
  9. http://www.ocpgo.kr/1_treasure/dom _ hae.html
  10. Wang, Song-Yung, Far-Ching Lin & Min-Yi Lin. 2001. THermal properties of interior decorating material and the sensation of cold/warm by contact II: the relations among heat flux, temperature change of material, and sensation of cold/warm by contact, J. Wood Sci., 47:109-114 https://doi.org/10.1007/BF00780558
  11. Wilcox, W Wayne. 2000. The influence of building design on wood decay, IRG/WP 00-10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