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less Home network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29초

CMOS 0.18 μm 공정을 이용한 MB-OFDM UWB용 VGA 설계 (Design of VGA for MB-OFDM UWB)

  • 이승식;박봉혁;김재영;최상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44-148
    • /
    • 2005
  • 본 논문은 $CMOS\;0.18\;{\mu}m$ 고정을 이용한 MB-OFDM UWB용 VGA를 설계하였다. 제 안된 VGA는 $-6\~45dB$의 가변이득 조정이 가능하고 3 dB Bandwidth는 필요 성능인 264 MHz를 만족하였다. 2단 연속 구조인 증폭부와 DC 성분을 제거하는 DC offset canceller로 구성되어 있고 1.8 V 바이어스에 4 mA 소비 전류를 만족하였다.

A New Roaming Authentication Framework For Wireless Communication

  • Li, Xiaowei;Zhang, Yuqing;Liu, Xuefeng;Cao, Jin;Zhao, Qianqi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8호
    • /
    • pp.2061-2080
    • /
    • 2013
  • Roaming authentication protocol is widely used in wireless network which can enable a seamless service for the mobile users. However, the classical approach requires the home server's participation during the authentication between the mobile user and the foreign server. So the more the roaming requests are performed the heavier burden will be on the home serv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roaming authentication framework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the home server's participation. The new roaming authentication protocol in the new framework takes advantage of the ID-based cryptography and provides user anonymity. It has good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roaming authentication protocols whose authentication do not need the home server's participation in terms of security and computation costs. Moreover, a new User-to-User authentication protocol in the new framework is also present. All the authentication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a common construction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wireless networks such as Cellular Networks, Wireless Mesh Networks and Vehicle Networks.

무선 홈 IoT 서비스를 위한 적응형 트래픽 간섭제어 시스템 (An Adaptive Traffic Interference Control System for Wireless Home IoT services)

  • 이종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259-266
    • /
    • 2017
  • 무선 홈 IoT (Internet of Things)상에서 대용량 트래픽 간섭은 패킷 손실의 원인이 되며, 패킷 손실은 무선 홈 네트워크의 QoS와 처리율을 떨어뜨린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트래픽과 비실시간 트래픽을 탐지하여 무선 홈 IoT 서비스의 QoS 및 처리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적응형 트래픽 간섭 제어 시스템, ATICS(Adaptive Traffic Interference Control System)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트래픽 특성에 따라 단기(short term) 트래픽 혼잡 프로세스와 장기(long-term) 트래픽 혼잡 프로세스로 구분하여 트래픽 간섭을 제어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기법은 다른 비교 기법들에 비해서 트래픽 간섭 제어 성능 척도가 더 효율적임을 보인다.

저속 무선 홈 네트워크 임베디드 DSSS 시스템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Low Rate Wireless Home Network Embedded DSSS System)

  • 노재성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03-108
    • /
    • 2006
  • 모바일 응용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과 네트워킹 기술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그비 기술은 베터리의 수명이 수개월에서 수년에 이르는 기기 사이의 저 가격과 저 전력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지그비는 블루투스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성보다 큰 메쉬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지그비 규격의 주된 특징은 네트워크의 유연성, 저가격, 저전력 소모이며 고정, 휴대 및 모바일 기기사이의 Ad-hoc 네트워크에서 저속 데이터 전송이다. 홈 네트워크와 홈 자동화 분야는 간단한 네트워크의 예로써 지그비의 큰 시장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잡음과 간섭 그리고 라이시안 페이딩 환경에서 지그비 시스템과 DSSS-BPSK 신호의 성능을 분석하였고 근거리 무선 채널에서 간섭과 페이딩의 영향에 따른 성능 감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라이시안 페이딩과 간섭 레벨에 따른 오율 특성을 BER 성능 그림을 통하여 나타내었다.

  • PDF

초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 광대역 하향 주파수 변환기 개발에 관한 연구 (A Wideband Down-Converter for the Ultra-Wideband System)

  • 김창완;이승식;박봉혁;김재영;최상성;이상국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9-193
    • /
    • 2005
  • 본 논문은 MB-OFDM UWB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직접 변환 방식용 하향 주파수 변환기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주파수 변환기 구조는 $3\~5\;GHz$ 광대역 입력 매칭을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CMOS로 구성된 트랜스컨덕턴스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저항을 사용하였다. 하향 주파수 변환기는 $0.18\;{\mu}m$ CMOS 공정으로 구현하였으며, 측정 결과 3개의 UWB 채널에 대하여 최소 +3 dB의 주파수 변환 이득과 각각 3 dB 이하의 게인 평탄도를 보이며, 1.8 V dc Power supply에서 0.89 mA를 소비한다.

PDA를 이용한 원격 로봇 제어 시스템 (Control System of a Remote Robot using PDA)

  • 한종희;이기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06-208
    • /
    • 2004
  • A new method to control a remote robot with PDA and wireless network is presented. The needs of remote control systems using a home network environments are increased in these days. To solve the shortage of IP address in network, authorized TCP/IP and unauthorized TCP/IP address are used. The unauthorized TCP/IP is obtained by using MAC Address in the system and Network Layer. The model in the system is similar to Sever&Client in structure. Using this system, it is very easy to combine one network device with other network system. A robot system and PDA are us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ol system in home network environments.

  • PDF

지능형 홈을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구성 (Construc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for Intelligent Home)

  • 황세희;장인훈;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695-700
    • /
    • 2005
  • 센서 네트워크는 많은 센서 노드들을 산개시켜 놓은 다음 노드들끼리 통신망을 구성하고 주위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 각 노드들은 제한된 자원 내에서 지정된 일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극대화되어야 하고 하드웨어 자체의 성능도 뛰어나야 한다. 지금까지 기술적인 제약이 있었지만 최근 If 제조 기술과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저렴하면서 전력소비가 적고 다양한 기능을 하는 소형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기술 발전과 함께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새로운 연구 분야로서 자리매김하였고 현재 여러 연구실에서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제각기 다른 이름으로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Wireless Integrated Network Sensors (WINS), Mobile Ad hoc NETwork (MANET),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현재 센서 네트워크 분야에서 TinyOS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inyOS와 그 플랫폼을 이용해서 가정 내에서 컨텍스트 인식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자 한다.

댁내 무선망 비교분석과 무선 댁내망 활용에 대한 방안제시 (A comparative and analysis of wireless home networking and a proposal about application of wireless home networking)

  • 박승근;진성호;임재홍;김기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441-450
    • /
    • 2001
  • This dissertation deal with over-all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trodu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alytically that it use for Home-LAN communication technology (HomeRF, Bluetooth, IEEE 802.11, HIPERLAN, etc). Home-LAN communications issue by the terminal field of the latest high-speed network construction. This technologies possesse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s as the representative technology using in Home-LAN communication technology. Also, the method of application is conditional on individually. Wireless LAN put Home-LAN communications to practical use. Bluetooth have practical use for an individual mobile communications with internet. HomeRF have a vision that the construction of wireless system in house purely. Therefore,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merits and demerits between those technologies. And then leads the most compatible technology for application of Home-LAN. Finally, this thesis have a view of the development course hereafter.

  • PDF

Development of the Broadband PLC Home Controller using JINI Surrogate

  • Kim, Yong-Seok;Kim, Hee-Sun;Lee, Chang-Go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563-1567
    • /
    • 2005
  • The Home network system means that information appliances, Home PCs, etc., using wired or wireless network method enable to control and share with peripheral devices such as internet, shared data, a scanner and a printer, and it is networking solution, which intelligent communication will be possible as the system which can do a remote control such as TV Set,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DVD players, digital camcorders based on external network using an internet, a po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mobile phone whenever, wherever and freely. In this study, the home network interface solution is used one of the wired network standards, PLC (Power-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so we can construct of intelligent home network's home controller without re-build a network at home. On keeping with current waves of thought, we will focus on a home controller development with great interest which is enabled to do an effective managed control, applying intelligent home network technology which can be new paradigm like a cyber apartment.

  • PDF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정보가전 위기관리 서비스 모델 (Emergency Service Model for Networked Appliance in Home Network Environment)

  • 전병찬;김혁진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87-494
    • /
    • 2006
  • 초고속 통신망과 인터넷정보가전기기의 개발로 인해 사이버 아파트를 중심으로 홈네트워크 환경을 빠르게 갖추게 되었다. 홈 네트워크 환경은 가정내의 수많은 가전기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윤택한 가정 내의 환경을 제공해 준다. 그러므로, 최근 네트워크로 연결된 인터넷 정보가전의 등장으로 인하여 해킹, 오동작 및 고장과 홈 오토메이션에서의 방범, 화재, 침입 등을 통합 관리하는 서비스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정보가전기기 환경에서의 통합위기관리 서비스 모델을 설계 제안한다. 즉, 정보가전 위기관리 서비스를 분류하고 XML로 위기관리 메시지를 정의한다. 위기상황이 발생된 메시지는 무선단말기인 PDA나 휴대폰 또는 관련기관에 통보되어 처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