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flowers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6초

자생 숙근초화 및 바닥재의 종류가 뗏장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Korean Native Wild Perennial Flowers and Kinds of Basal Sheets on Sod Formation)

  • 정정학;한인송;이성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9-24
    • /
    • 2001
  • 숙근초화의 뗏장 생산에 적합한 초종과 바닥재를 선발하기 위해서 동자꽃, 톱풀, 큰꿩의비름, 섬기린초 등 자생식물 10종을 포함한 숙근초화류 14종의 뗏장 형성여부를 살펴보았다. 1. 재식장소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포트에 이식하여 노지에 정식하였을 경우보다 바크(bark)에 정식하였을 때 생육이 좋은 경향이었다. 2. 사용 바닥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부직포에서 지면을 완전 피복할 때까지 걸리는 소요일수가 짧아지며, 뗏장형성능력이 좋았다. 특히 황마를 바닥재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기판이 부패하여 바크와 뿌리의 결속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백리향, 좀씀바귀, 땅채송화, 바위채송화 등 포복성식물들은 꿩의비름, 애기개미취 섬쑥부쟁이 등의 직립성 초종에 비해 초고가 낮고 피복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비탈면 조기수림화를 위한 녹화용 식물의 활용에 관한 연구 (Seeding of the Woody Plants for the Quick-coverage of the Slopes)

  • 김남춘;윤중서;배선우;손원주;정성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72-85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rates and ground coverage rates of the 16 native wild flower, herbaceous, shrub and woody plants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seeding timing for the revegetation and rehabilitation of the roadside slopes.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design criteria to select revegetation plants and to decide proper seed mixture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disturbed manmade slopes as a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ost of the plants germinated after 10~14 days. Woody plants germinated more slowly than wild flowers and herbaceous plants because of the hard seed. 2. Most of the plant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germination rates under $15/25^{\circ}C$ temperature. The next was in order of under the $20/30^{\circ}C$ temperature, normal temperature(October) and $25/35^{\circ}C$ temperature. 3. At the chamber experiment, the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s. Most of the native wild flowers germinated well and showed high germination rates under the various temperature. 4. As the field germination experiments, the seeding at August shows higher germination rates than that of the seeding at September, but showed lower surviving percentage of the germinated seedlings and lower ground coverage percentage than those of the seeding at September. After one year, Chionanthus retusus, Acer palmatum, Albizzia julibrissin are germinated and showed 10% coverage rates. So, they can be used as revegetation plants for the restoration works. 5. As seed mixture experiment, it was not effective onl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ratio of the tree seeds, relatively high price, for making woody vegetation. It would be more successful to make vegetation structure by natural competition among wild flowers, shrubs and trees. 6. The excessive dominance of trees in revegetation works may destroy the lower layer of vegetation and it will be undesirable on the species diversity. It is more important to recover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plant community by seed mixture with the considering the germinati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effect among revegetation plants. 7. To recover the manmade slopes quickly, increasing the ratio of the wild flower was recommended.

한국의 야생화에서 분리한 효모의 종 다양성과 생리기능성 (Yeasts Diversity of Wild Flowers in Mountains of Korea and Their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 현세희;한상민;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37-141
    • /
    • 2015
  • 우리나라 야생화들의 효모 종 다양성을 확립하고 이들을 고부가가치의 건강산업에 응용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한국의 제주도, 울릉도, 욕지도와 선유도 등 4개의 섬지역 산들과 계족산, 오서산, 백암산과 덕유산 등 4개의 내륙지역 산에서 개화한 야생화들을 2012년에서 2014년 사이에 수집하여 효모 134종 289균주를 분리 동정하였다. 분리한 289균주 중에서 Cryptococcus속 균주들이 가장 많이 분리되었고 Cryptococcus aureus를 포함하는 23균주들이 섬과 내륙 산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분리 동정되었다. 또한 단일 균주로는 Metschnikowia reukaufii가 전체 균주 중 10.3%인 30균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분리한 균주들을 yeast peptone dextrose (YPD)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상등액과 무세포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주요 생리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Candida sp. 78-J-2의 배양상등액이 22.5%의 항산화활성, Metschnikowia reukaufii SY44-6의 배양상등액이 49.6%의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과 38.4%의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비탈면 침식방지를 위한 자생초본식물의 뗏장 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od Forming Effects of the Native Plants for the Erosion Control in Slopes)

  • 김남춘;이상주;정지준;김정훈;남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7-8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vegetation mat forming methods with native wildflowers, introduced wild flower, grasses and native herb plants which can be used for erosion control of the disturbed slope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forming the vegetation mat at early stage, foreign grasses, native wild plants show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seed mixture types. But, after 12 weeks, using native wild flowers shows more effective than foreign grasses. Also, the mixture of the native grasses and kentucky bluegrasses (seed mixture type F) are the best in ground coverage among the seed mixtures types. In order to restore slopes more naturally, more diverse plants should be used. The native grasses such as Marrubium incisum Bentham, Lutos comiculatus L. var. japonicus Regel, and Artemisia princeps Pampan seems to be useful to forming the vegetation mat, also it will be more easy if mixing with foreign grasses such as Kentucky bluegrass. The mixture of native grasses and introduced wild flowers are not proper in forming the vegetation mat. Also, pot planting of the native grasses are not proper in forming the vegetation mat.

경기도와 제주도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동정 및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의 생산 (Isol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Gyonggi-do Province and Jeju Island in Korea and the Production of Anti-gout Xanthine Oxidase Inhibitor)

  • 현세희;문혜연;이향범;김하근;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83-390
    • /
    • 2013
  • 국내 야생화들로부터 효모를 분리하여 이들을 고부가가치의 의약이나 건강 식품산업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경기도와 제주도 일부 지역의 야생화들을 채집하여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 가운데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 생산 균주를 선발한 후 생산 조건을 검토하였다. 서울 구로동과 일부 경기도 지역 야생화 31점에서 26종, 54균주의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Pseudozyma sp.가 13종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제주도 송악산과 성산 일출봉 지역의 야생화 21점에서 모두 14종, 32균주의 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균 중에서 Sporobolomyces ruberrimus가 6종으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86효모 균주들을 YEPD 배지에서 2일간 배양하여 각각의 배양 상등액과 무세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Pseudozyma hubeiensis 228-S-1의 무세포 추출물이 19.5%의 가장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Pseudozyma hubeiensis 228-S-1을 YEPD 배지에 접종하여 $30^{\circ}C$에서 36시간 배양하였을 때, 세포내 항통풍성 xanthine oxidase 저해물질을 가장 많이 생산하였다.

국내 야생화들로부터 국내 미기록 효모, Rhodosporidium fluviale, Rhodosporidium paludigenum과 Candida sp. 80-J-3, Kluyveromyces thermotolerans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Yeasts, Rhodosporidium fluviale, Rhodosporidium paludigenum, Candida sp. 80-J-3 and Kluyveromyces thermotolerans Isolated from Wild Flowers in Korea)

  • 현세희;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1-184
    • /
    • 2013
  • 충남 금산군과 전남 완도군, 제주도 송악산 등지에서 서식하고 있는 야생화들로부터 Rhodosporidium fluviale 201-C-1과 Kluyveromyces thermotolerans 150-JE-2(1), Rodosporidium paludigenum과 Candida sp. 80-J-3등의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분리, 선발하여 이들의 미생물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Rhodosporidium fluviale 201-C-1은 내염성의 무포자 효모로 의균사를 형성하였고 urease 활성을 갖고 있었다. Kluyveromyces thermotolerans 150-JE-2(1)는 내당성과 내염성을 가진 무포자효모로서 $30^{\circ}C$, pH 4.0~6.0에서 잘 생육하였다. Candida sp. 80-J-3과 Rhodosporidium paludigenum 86-J-1 균주들은 모두 무성생식을 하는 무포자 효모들이었고 YPD 배지, Vitamin-free 배지와 5% NaCl을 함유한 YPD 배지 등에서 잘 생육하였다. 또한 Candida sp. 80-J-3 균주의 urease 활성은 음성이었으나 Rhodosporidium paludigenum 86-J-1 균주는 urease 활성이 양성이면서 pH 7.0~8.0에서 잘 생육하였다.

대전지역 야생화에서 분리한 미기록 효모 균주들의 보고 (Note on Newly Isolated Yeasts from Wild Flowers in Daejeon City, Korea)

  • 강민구;현세희;류진주;민진홍;김하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4-1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한국 진균 학술지에 보고되어 있지 않은 6종의 새로운 효모들의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에 대하여 보고한다. 이들 효모들은 한국의 대전시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화들로부터 분리해서 ITS-2 또는 18S rDNA 염기서열의 분자생물학적 분석 방법을 이용 동정하였다. 이들 6종의 새로운 국내 미기록 효모들은 Kuraishia capsulate, Lodderomyces elongisporus, Pseudozyma antarctica, Starmerella bombicola으로 분리되었다.

Screening of γ-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Wild Yeasts and their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 Han, Sang-Min;Jeon, Sun-Jeong;Lee, Hyang-Burm;Lee, Jong-Soo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7-93
    • /
    • 2016
  • From 182 non-pathogenic wild yeast isolates from flowers, Pichia silvicola UL6-1 and Sporobolomyces carnicolor 402-JB-1 were selected for potent ${\gamma}$-aminobutyric acid production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Pichia silvicola UL6-1 formed ascospores and pseudomycelia. The strain was also halotolerant, growing well in 5% NaCl-containing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YPD) medium. Sporobolomyces carnicolor 402-JB-1 did not form ascospores or pseudomycelia and grew well on 10% glucose-yeast extract-peptone medium.

Absence of AVP1 transcripts in wild type watermelon scions grafted onto transgenic bottle gourd rootstocks

  • Kim, Byung Oh;Han, Jeung-Sul;Park, Kyung Il;Jeon, Su Min;Kim, Chang Ki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13-18
    • /
    • 2015
  •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stable integration of Arabidopsis AVP1 in the genomes of bottle gourd $T_3$ homozygous lines and its transcription, and additionally evaluated possibility of translocation of the AVP1 mRNA from transgenic bottle gourd rootstocks to wild type watermelon scions. Each AVP1 gene in two bottle gourd T3 lines is abundantly expressed under a field condition. Given the grafting between wild type watermelon scions and AVP1-expressing bottle gourd rootstocks, no translocation of the AVP1 mRNA was detected in leaves, both sexual flowers, and fruits of the scions.

전라북도 고군산열도의 선유도 일대 야생화들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생리기능성 (Isol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Yeasts from Wild Flowers in Seonyudo of Gogunsanyeoldo, Jeollabuk-do, Korea)

  • 현세희;한상민;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1-206
    • /
    • 2014
  • 전라북도 고군산열도 선유도 일대에서 2014년 4월에 개화한 야생화들로부터 효모들을 분리한 후 이들의 26S rDNA의 D1/D2 부위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다음 NCBI의 BLAST database에 등록되어 있는 효모들과의 상동성을 비교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야생화 51점에서 21종의 효모들을 61 균주 분리하였고, 이들 중 Cryptococcus aureus SY1-4 등의 Cryptococcus 속 균들이 가장 많았고, Metschnikowia reukaufii SY20-1등 Metschnikowia 속 균과 Rhodotorula ingeniosa SY1-1등 Rhodotorula 속 균들도 비교적 많이 분리되었다. 이들 61 균주들의 배양상등액과 무세포추출물을 제조한 후 생리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M. reukaufii SY44-6의 배양상등액이 각각 49.6%의 XOD 저해활성과 38.4%의 미백성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여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