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coxon signed rank test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35초

방조제 건설 중인 2001-2002년 새만금 하구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the Estuary of Saemangeum Waters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Dike in 2001-2002)

  • 이태원;문형태;김광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8-305
    • /
    • 2003
  •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the estuary of Saemangeum water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was determined using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from April 2001 to February 2002. Species composit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4 stations (p>0.05,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cumulative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H') approached asymptote after four 30-min trawl hauls. Therefore 30-min trawl samples from each of the four stations were pooled to represent each season. A total of 45 species 2758 individuals and 30,346.8 g of fish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Of the fish collected Leiognathus nuchalis, Synechogobius hasta, Neosalanx jordani, Konosirus punctatus and Chaeturichthys stigmatias predominated in abundance accounting for $68\%$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Seasonal variation of fish abundance showed a similar trend to those of the other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The resident species were collected only in spring and autumn.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were highest in summer due to the catch of many migrating species. In winter catch amount was low, and only 7 species were collected.. Brackish water fishes were more abundant in the study area, and Johnius grypotus and Cynoglossus joyneri were not premominated compared to the other coastal waters. This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s may be related to the lower salinity in this estuarine habitat than in the other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모형과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하악 전치 발치 치료의 안정성 평가 - 미국교정학회에서 제시한 방법 (Postretention stability after mandibular incisor extractions assessed by cast and radiograph - The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cast and radiographic evaluation)

  • 이진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3호
    • /
    • pp.223-230
    • /
    • 2014
  • 목적: 하악 절치 발치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치료로 인한 향상과 유지기간 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절치를 발치한 환자 총 20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 치료 직후, 2년의 유지기간 후의 모형 및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Irregularity index, overjet, overbite, 치아 크기와 악궁 길이의 차이, 견치간 폭경, 제1 대구치간 폭경 및 미국교정학회에서 제시한 방법(ABO-CRE)을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은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치료 전후 irregularity index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 = 0.000), 치아 크기와 악궁 길이의 차이는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 = 0.028). 유지기간 동안에 irregularity index는 유의하게 악화 되었다(P = 0.001). ABO-CRE 전체값의 변화는 치료 전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이고(P = 0.000), 유지 전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3). 결론: 모형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치료의 안정성 평가 결과, 하악 절치 발치 치료는 2년간의 유지기간 동안 치료 결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비교사들의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 및 교사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일본어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On the Effect of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 of Title of Making UCC Materials on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Creativity: an Empirical Study with Japanese Majors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한미희;정욱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35-242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과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A대학교의 교직과정 이수중인 일본어전공 예비교사들이며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그리고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예비교사의 UCC 제작 경험은 교과전문성과 교수창의성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교사의 교수법이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새로운 혁신적 교수법을 도입해야 하는 필요성과 함께 그에 대한 활동이 구체화되고 확대되기를 시사하고자 한다.

The Effect of Phosphatidylcholine and Deoxycholate Compound Injections to the Localized Adipose Tissue: An Experimental Study with a Murine Model

  • Noh, Yongjoon;Heo, Chan-Yeo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452-456
    • /
    • 2012
  • Background Phosphatidylcholine (PPC) and deoxycholate (DCA) compound has been recently used for the purpose of partial lipolysis and is valued for its efficacy and lower invasiveness compared to liposuction and dermolipectomy used previously. In this article, the authors discuss the efficacy of the PPC dissolved in DCA via an experimental rat study model, along with suggesting a useful animal experimental model for the study of adipose tissue and lipolysis. Methods Bilateral inguinal fat pads of an experimental rat were elevated with the deep inferior epigastric vessel as the sole vascular pedicle. Normal saline was injected on one side as a control group and a PPC and DCA compound was injected on the other side. After 4 days, the rats were euthanized for microscopic tissue examination. The pathology was scored by a sem-iquantitative system in 4 categories: normal fat amount, fat necrosis, inflammatory activity, and stage of fibrosis. A Wilcoxon signed-rank test powered by SPSS packet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o determine significance. Results Microscopic examination was performed on the obtained samples, and the experimental data of all four categories showed significant histologic differenc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l of the data also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y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P<0.01). Conclusions In the inguinal fat pad rat model,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amount of normal fat tissue, inflammation, necrosis, and fibrosis. We recommend the rat inguinal fat pad model used in this study, as it is likely to be useful in related research.

사지의 방사선치료에 사용되는 쌀 볼루스의 품종에 따른 방사선량분포의 민감도 연구 (A Study on Dose Sensitivity according to Rice Cultivar in Extremities Radiation Therapy with Rice Bolus)

  • 서정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741-746
    • /
    • 2020
  • 사지부위에 많이 발생하는 연부조직육종의 방사선치료에 사용하는 쌀을 이용한 볼루스의 적용에서 쌀의 품종에 따른 형태적 차이에 따라 달라지는 방사선량분포의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일반적인 국산 쌀과 낱알의 크기가 작은 태국산 쌀을 각각 적용한 쌀 볼루스의 선량분포 민감도를 비교하였다. 쌀 볼루스를 적용하지 않는 팬텀, 국산 쌀을 사용한 쌀 볼루스를 적용한 팬텀, 태국산 쌀을 사용한 쌀 볼루스를 적용한 팬텀에 동일한 방사선치료계획을 수립하고 동일한 지점 12곳에 대한 선량을 비교하였다. 등중심점에 대하여 100 cGy를 처방하였으며, 낱알의 크기가 작고 긴 태국산 쌀을 이용한 쌀볼루스에서 평균 103.57±1.98 cGy, 국산 쌀 볼루스에서 평균 104.27±2.12 cGy, 볼루스가 없는 팬텀에서 104.99±6.40 cGy의 선량분포를 보였다. Wilcoxon's Signed Rank test에서 태국산 쌀 볼루스와 국산 쌀 볼루스의 선량분포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1). 낱알의 크기가 작고 긴 태국산 쌀을 이용한 볼루스에서 더 균등한 선량분포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임상에서 이를 고려하면 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치매노인의 다감각(Multisensory)과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을 병합한 그룹 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Outcomes of a Multisensory and Motor-Based Group Activity Program)

  • 정해인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53-62
    • /
    • 2015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에게 다감각과 신체활동을 병합한 그룹 활동 프로그램이 이상행동과 보호자 고통정도의 감소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치매전문요양원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5명의 중증 이상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4주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신경정신행동검사(Neuropsychiatric Inventory)였고, 12가지 이상행동빈도와 이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고통정도를 프로그램 전과 후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비모수 통계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결과 : 치매노인의 이상행동증상 빈도의 평균이 70점에서 48점으로 감소하였고, 보호자의 고통정도는 평균이 47점에서 29점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요양원 거주인의 다감각과 신체활동을 적용한 그룹 활동 프로그램이 중증 이상의 치매 노인에게 이상행동과 요양보호사 고통정도가 감소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바이오피드백 시스템을 활용한 하지근력 강화운동이 지역사회기반 노인의 하지기능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Biofeedback System on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Gait in Community-based Elderly)

  • 박태성;이인숙;장명훈;신명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95-202
    • /
    • 2020
  • 본 연구는 바이오피드백 시스템을 활용한 하지 근력 강화 운동이 지역사회기반 노인에게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본 연구이다. 지역사회기반 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주 3회, 6주 동안 바이오피드백 시스템(기능적 전기 자극 동반)을 활용하여 운동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신체 기능은 유의하게 좋아졌으나 근력 및 근육량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인들도 지역사회기반 ICT 활용 가정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가능하며, 하지 기능 개선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대상자수 확대, 성별 구분, 개인 맞춤형 훈련 방식 제공 등으로 보다 명확한 효과를 입증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비만 중년여성의 복합운동이 대사증후군 지표와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metabolic syndrome indices and physical fitness in the obese middle-aged women)

  • 반성민;이경준;양정옥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4호
    • /
    • pp.703-715
    • /
    • 2012
  • 본 연구는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중년여성들의 대사증후군 지표와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최근 6개월 이내에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비만 중년여성 22명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모든 종속변인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12주 전 후 집단 내 변인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의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고, 각 분석에서의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은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지표와 건강체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비만 중년여성의 건강관리와 체력향상을 위하여 신체적 여건, 체력수준, 사회 경제적 상황을 충분히 고려한 다양한 수준의 운동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병리학 교과목에 부분 적용한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udent-Generated Questions Partially Applied in a Pathology Course on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of Nursing Students)

  • 유영미;오세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31-34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병리학 교과목에 부분 적용한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일개 대학 간호학과 2학년 106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Wilcoxon-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기 초에 비하여 학기 말에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학습동기의 하위 항목인 주의력과 만족도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습자질문중심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이와 같은 간호대학생의 핵심 역량을 계발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이 융합된 교수학습방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Impact of Coping and Communication Skills Program on Physician Burnout,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Flooding

  • Penberthy, Jennifer K.;Chhabra, Dinesh;Ducar, Dallas M.;Avitabile, Nina;Lynch, Morgan;Khanna, Surbhi;Xu, Yiqin;Ait-Daoud, Nassima;Schorling, Joh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4호
    • /
    • pp.381-387
    • /
    • 2018
  • Background: Physician behaviors that undermine a culture of safety have gained increasing attention as health-care organizations strive to create a culture of safety and reduce medical errors. We developed, implemented, and assessed a course to teach physicians skills regarding effective coping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and present our results regarding outcomes. Methods: We examin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specifically designed to address unprofessional or distressed behaviors of physicians, and we evaluated the impact on burnout,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flooding scores of the physicians. Assessments of burnout, quality of life, and emotional flooding were assessed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over time in physicians' emotional flooding and emotional exhaustion (EE). Specifically, using a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revealed that flooding scores at follow-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at baseline, V = 590, p < 0.05, and EE and personal accomplishment distribution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deviate from normal as indicated by Shapiroe-Wilks tests (p < 0.05). A Wilcoxon signed-rank test indicated that EE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baseline compared to follow-up 1, V = 285, p < 0.05.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physician participants who enrolled in the educational skills training program improved scores on emotional flooding and EE and that this may be indicative of improved skills related to their experiences and learning in the program. These improved skills in physicians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overall culture of safety in the health system set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