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of Older Adults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32초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양상 분석: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ocio-demographic Factors Related to Older Adults'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Patterns)

  • 김영석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959-97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2017년 노인실태조사」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65세 이상 노인 10,073명의 성별, 연령, 학력, 연가구소득, 최장기 일자리 지위, 건강상태에 따라 평생교육 참여여부, 참여영역, 참여기관, 참여빈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성별), 70-74세, 75-79세(연령), 중학교 재학/졸업, 고등학교 재학/졸업, 전문대학 휴학 이상(학력), 상용근로자, 무급가족종사자(최장기 일자리 지위), 그리고 건강상태의 노인집단이 평생교육에 보다 많이 참여하였다.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집단과 고등학교 졸업이상 집단, 그리고 제1, 2분위 소득집단과 제3, 4, 5분위 소득집단 간에 유의미한 평생교육 참여영역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평생교육 참여기관과 관련해서는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은 70세 이상, 중학교 학력 이하, 3분위 소득 이하, 건강이 나쁜 집단이 참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평생교육 참여빈도와 관련해서는 무학에 비해 고등학교 재학/졸업 및 전문대학 휴학 이상 집단이, 무급가족종사자에 비해 상용근로자 집단이 자주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려되고 있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불평등 현상이 노인 집단 안에서도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다.

한국노인의 연구참여를 위한 동의능력평가척도의 타당성 연구 (The Validation of a Measurement for Assessing the Capacity of Korean Older Adults to Consent to Research)

  • 이민홍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3호
    • /
    • pp.55-7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노인복지연구 참여를 위한 고지된 동의과정에 동의능력평가가 활발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국형 동의능력척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노인복지시설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 404명의 노인을 조사하였다. 연구 1(n=202)에서는 동의능력검사척도의 신뢰도, 탐색적 요인분석, 수렴 및 기준 타당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2(n=202)는 연구 1을 통해 수정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내적 신뢰도, 확증적 요인분석, 수렴 및 기준 타당도 분석 등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본 척도의 내적신뢰도 계수가 .90로 높은 수준이었고, 모델 적합도 지수(RMSEA=.057, NNFI=.94, IFI=.96, CFI=.96)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관련변수와의 높은 상관관계 계수를 통해 수렴 및 기준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한국형 동의능력평가척도가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임상(clinical) 및 조사(survey)연구 참여를 위해 동의능력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적합함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척도는 노인을 대상으로 수행될 연구와 프로그램에서 고지된 동의과정을 위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노년기 사회자본의 차이가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Trajectories in Later Life)

  • 김진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3호
    • /
    • pp.181-201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자본 이론에 근거하여 노년기 사회자본의 차이가 우울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한국복지패널데이터 2006년(1차)에서 2012년(7차)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여 실시되었고, 만 65세 이상의 노인 40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적 신뢰의 증가는 초기의 낮은 우울감과는 관련이 있으나 우울감의 변화를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상호호혜성의 경우 높을수록 우울감의 변화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와 기부를 통한 사회참여의 경우 연구대상자의 참여율이 매우 저조하였고, 우울궤적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관계 만족도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긍정적으로 변할수록 우울의 변화속도는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우울을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의 만족도를 높이고 사회적 신뢰와 상호호혜성과 같은 긍정적 사회자본의 축적을 도와야 한다.

  • PDF

연령규범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계: 고용서비스 인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Employment Welfare Servi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Norms and Negative Perception on Older Workers)

  • 정순둘;이미우;정세미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8권3호
    • /
    • pp.47-76
    • /
    • 2017
  • 본 연구는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우리 사회에 만연한 연령규범이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고령근로자를 위한 고용서비스 인지가 활동적 그리고 분리적 연령규범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15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중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는 총 630명이며, SPSS Win 18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지역에 따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분리적 연령규범은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 결과 고용서비스 인지는 분리적 연령규범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고용서비스 인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유연하게 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성별, 가구유형별 집단 비교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 A Comparative Study Gender and Household Type)

  • 박순미;문수열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1-200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by comparing gender and household type.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7 Korean Elderly Survey and the participants were 7,406 people who are 65 years and abov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18.0) statistical package.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In the case of older adults who are men and live with couple, voluntary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while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arts & cultural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improving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among aged people.

독거노인의 빈곤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분석 (The Role of Poverty on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 원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20-526
    • /
    • 2020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이 경험하는 빈곤이 이들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빈곤과 우울,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2차자료 분석하였으며, 최종 모형에 포함된 연구대상은 60세 이상 독거노인 1,093명이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빈곤, 사회참여,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자 STATA 15.0을 이용하여 각 경로에 대해 표준화된 계수를 구하고, 효과분해를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빈곤은 독거노인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쳐, 빈곤독거노인이 비빈곤독거노인보다 우울감은 더 느끼고, 건강상태는 더 나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참여활동 중 종교모임, 친목모임, 여가문화스포츠모임에 활발히 참여하는 독거노인은 참여도가 낮은 독거노인에 비해 우울감이 낮았다. 종교모임, 친목모임, 동창회모임의 참여도가 높은 독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참여도가 낮은 독거노인에 비해 좋았다. 친목모임의 참여도는 빈곤과 우울,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동창회모임의 참여도는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우울을 감소하고 주관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참여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고령층 우울증 여부의 성별 격차에 관한 요인 분해 분석 (Gender Differentials in Depress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 남일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2호
    • /
    • pp.159-177
    • /
    • 2014
  • 본 연구는 고령화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우울증 여부에 대해 성별간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성별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학적, 경제적, 건강 관련 변인들이 폭넓게 남녀 그룹 모두에서 우울증을 높이는 변인들로 나타났으며, 사회활동, 낙상여부 등의 변수들이 남녀간 우울증 여부에 상이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해분석 결과, 결혼 상태만족도, 경제 상태 만족도, 건강 관련 변수들이 남녀간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어 남녀간 우울증 격차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이 결혼상태로부터 보상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로부터의 보상이 여성과 남성이 같다면, 남녀간 우울증 격차의 약 40% 가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령화사회를 대비한 소방방재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Policies Toward Aging Society)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9-45
    • /
    • 2005
  •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7.2\%$를 차지하여 고령화사회가 되었고, 2019년에는 2배인 $14.4\%$에 달하여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령자는 신체기능의 저하 등에 의해 재해발생 시에 정확하고 신속한 판단과 행동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고령화가 진전될수록 화재 등 각종 재해로 인한 고령자의 인명피해가 증가할 것이다. 고령자의 화재 등 재해로 인한 희생을 줄이기 위해서 고령자 등 재해약자관련 소방방재대책 추진,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최소화대책 추진, 농촌지역 소방력 보강 및 소방서비스확대, 소방방재 정보제공 및 홍보기능의 강화, 새로운 연계활동 발굴(우편집배원 및 사회복지사의 119요원화), 소방공무원 보강 및 장비의 경량화 등의 정책을 제언한다.

도시지역 일부 노인에서 지역사회 식품의 접근성 측면에서의 식품환경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mmunity Food-accessibility Environment among Urban Older Adults)

  • 양나래;김기랑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7-149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community f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food purchasing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elderly as well as the various food environments under their socioeconomic diversity. Methods: For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his study interviewed 20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more, who participated in a public health program or lunch services operated by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Five dimensions, such as availability, physical accessibility, affordability, acceptability, and accommodation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were used to identify the community food environmental factors. Results: The elderly participants showed overall similarities to the concepts derived from existing studies on the five dimensions of food accessibility environment. In addition, other important food accessibility environmental factors that were not present in previous studies, such as acceptability for a product of domestic origin, delivery service to home, and small-packaged food sales, were derived.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some subj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household income and specifically for the physical accessibility concept. This showed that the close distance factor from a grocery store at home might not apply to older adults in low-income households in Korea.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five dimensions of the food environment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could also be applied to vulnerable older adults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households would affect the perspectives of their local food environments differen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help in the development of tools for evaluating the community food environment.

주거 특성이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using related characteristics on Aging in place among Older adults)

  • 정찬우;한창근
    • 한국노년학
    • /
    • 제41권3호
    • /
    • pp.373-396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Aging in place 실현을 위해 노년기 주거 특성이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에 있어 노인의 건강상태가 중요하기에 건강할 경우와 건강하지 않을 경우를 같이 고려하였고, 주거특성을 경제적 측면인 자가 보유 여부, 주거비 부담, 환경적 측면인 주거 편리성, 주택만족도, 주거환경만족도로 구분하여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 9,79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건강할 경우와 건강하지 않을 경우를 같이 고려하였을 때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한 노인이 6,704명(68.4%), 건강할 경우에는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하지만, 건강상태가 악화될 경우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하지 않는 노인이 3,094명(31.6%)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별 평균 주거 특성을 비교한 결과,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한 노인집단이 그렇지 않은 노인집단보다 주거비 부담은 적었으며 주택만족도와 주거환경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항 로지스틱 분석결과 주거특성 중 경제적 요인인 자가를 보유할 경우, 주거비 부담이 적을수록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았고, 환경적 요인인 노인을 위한 설비를 갖춘 경우와 주택만족도, 주거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지속거주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의 실제 선호하는 Aging in place의 욕구를 파악하였고, 노인의 욕구를 존중하면서 진정한 Aging in place의 실현을 위해 실천적,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주거에 초점을 맞추어 경제적 측면에서 주거안정성을 높여줄 노후준비와 주거비용 경감의 필요성, 주거환경의 측면에서 고령친화적인 주택환경과 지역사회 인프라 구축의 필요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