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Differentials in Depress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중고령층 우울증 여부의 성별 격차에 관한 요인 분해 분석

  • Received : 2014.02.26
  • Accepted : 2014.05.05
  • Published : 2014.05.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gender differentials in depress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decomposit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s factors that predict depression of a full sample and separate male/female samples, respectively. Further, this study decomposes factors that affect gender differentials in depression into two components: the distributions of individual variables and the returns to risk. This study finds the variables that separately predict depression by gender. For male, having a smaller social network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however for female, the number of falls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is study also finds that being married, having greater satisfaction with current financial situation, and having good physical health increases the gap between males' and females'depression. Married male have greater returns from marriage than females. If females had the same returns as male, then the gap would have decreased by about 40%.

본 연구는 고령화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우울증 여부에 대해 성별간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성별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학적, 경제적, 건강 관련 변인들이 폭넓게 남녀 그룹 모두에서 우울증을 높이는 변인들로 나타났으며, 사회활동, 낙상여부 등의 변수들이 남녀간 우울증 여부에 상이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해분석 결과, 결혼 상태만족도, 경제 상태 만족도, 건강 관련 변수들이 남녀간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어 남녀간 우울증 격차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이 결혼상태로부터 보상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로부터의 보상이 여성과 남성이 같다면, 남녀간 우울증 격차의 약 40% 가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