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afety Policies Toward Aging Society

고령화사회를 대비한 소방방재정책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Korean society became an 'aging society' in 2000 years with a population of 65 years and over occupying $7.2\%$ of the whole population. And we expect that a population of 65 years and over will occupy $14.4\%$ in 2019 years, so Korean society will enter into an 'aged society' Older adults can't react correctly and rapidly to the disaster due to the decline of the physical function, therefore victims of older adults due to the disaster will increase as much as aging proceeds. For reducing sacrifices of older adults due to the disaster, 1 suggest that the propulsion of the disaster service policy for disaster week people like older adults, the policy of minimizing casualties due to fires, reinforcement of fire resources and enlargement of disaster services in rural communities, offering information about disaster services and reinforcement of functions of public relations, making new connection systems (e.g. educating welfare and post officials as volunteer fire officials), supplement of fire fighters, and the policy of lightening fire equipments.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7.2\%$를 차지하여 고령화사회가 되었고, 2019년에는 2배인 $14.4\%$에 달하여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고령자는 신체기능의 저하 등에 의해 재해발생 시에 정확하고 신속한 판단과 행동을 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고령화가 진전될수록 화재 등 각종 재해로 인한 고령자의 인명피해가 증가할 것이다. 고령자의 화재 등 재해로 인한 희생을 줄이기 위해서 고령자 등 재해약자관련 소방방재대책 추진,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최소화대책 추진, 농촌지역 소방력 보강 및 소방서비스확대, 소방방재 정보제공 및 홍보기능의 강화, 새로운 연계활동 발굴(우편집배원 및 사회복지사의 119요원화), 소방공무원 보강 및 장비의 경량화 등의 정책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001)
  2. 119SIREN, '선진안전한국 구현을 위한 21대 발전과제', 2004년 7월호, pp.34-33(2004)
  3. 119SIREN, '특집 소방방재청 국가재난관리 발전과제 보고 -선진안전한국 구현을 위한 21대 발전과제', 2004 년 7월호, pp.32-33(2004)
  4. 박동석, 김대환, 이연선, '고령화쇼크', 굿인포메인션, pp.20(2003)
  5. 통계청, '2003년 고령자 통계' (2003)
  6. 대통령비서설 고령사회대책 및 사회통합기획단 인구 . 고령사회대책팀, '제35회 국정과제회의(2004.1.15) 보고참고자료 저출산.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국가실천 전략' (2004)
  7. 최성재, 장인협, '채정판노인 복지학', pp.27-32,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8. 徳田哲男, '高齡者の行動特性, 平成6(1994)年度火災學會講演討論會 テキスト,災害弱者と避難安全',日本 火災學會, pp.7-14(1995)
  9. 消防廳, '災害弱者の防災對策推進に關する調査研究報告書', pp.17-19(1989)
  10. 矢代嘉郎,'災害弱者對策からみた防災計畵の現狀(施設計畵の實情と問題点', 平成6年度火災學會討論會テキスト,ー災害弱者と避難安全ア一, pp.15-26(1995)
  11. 内閣府, '平成16年版 高齡社會白書', pp.2-4(2004)
  12. 内閣府, '平成16年版 高齡社會白書', pp.123-125 (2004)
  13. 兵庫県 災害弱者支援指針策定委員會,'災害弱者支援 指針', pp.5-27(2002)
  14. 福岡県 健康福祉部健, '災害弱者支援ガイドライン', pp.925(2003)
  15. 愛知県, '市町村災害弱者支援體制マニュアル', pp.423(2001)
  16. 相模原市,'災害弱者支援對策指針', pp.11-23(1999)
  17. 神奈川県,'災害時における災害弱者支援マニュアル作成指針', pp.4-36(1998)
  18. 행정자치부(소방국), '2002화재통계년보' (2003)
  19. 消防廳, '火災年報', '消防白書',' 火災の實體について' (2003)
  20. NFPA,'THE U.S. FIRE PROBLEM OVERVIEW REPORT, LEADING CAUSES AND OTHER PATTERNS AND TRENDS', pp.6(2002)
  21. 消防廳, 平成12年版 消防白書 '特集 新たな住宅防火對策の推進-連携と實踐-', pp.1-36(2002)
  22. NFPA,'Review of Residential Sprinkler Systems Research and Standards', pp.2(2002)
  23. 関沢愛,'アメリカの 消防事情-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 について-', 火災, Vol. 39, No.4, pp.39-43, 日本火災學會(1990)
  24. NFPA, 'Fire in the U.S.A and Japan Through 1997', pp.5(1999)
  25. 消防廳 消防審議會, '消防防災分野における現下の諸 課題への對應方策に關する答申, pp.29(2003)
  26. 消防廳, '災害弱者の防災對策推進 に關する調査研究報告書', pp.12-14(1989)
  27. 행정자치부, '2003화재통계년보' (2004)
  28. 통계청, '국민여가활용방법 조사' (2002)
  29. 행정자치부, '2004 소방행정통계자료', pp.149(2004)
  30. 행정자치부, '2001, 2002, 2003, 2004 소방행정통계 자료'(2001-2004)
  31. 행정자치부, '2004 소방행정통계자료', pp.106-107 (2004)
  32. 통계청, '2002년 사망원인통계연보' (2003)
  33. 이의평 편저, 윤명오 감수, '일본소방-일본 소방과의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선진과학소방체제 구축을 위한 제언-', pp.356-359(2001)
  34. 消防廳, '平成15年版 消防白書', pp.282-283(2003)
  35. NFPA, 'U.S. EXPERIENCE WITH SPRINKLERS', pp. i(2003)
  36. 이의평, '한국.일본.미국의 화재발생실태에 대한 비교분석(1) 화재발생추이'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 18, No.3, pp.88-90(2004)
  37. 행정자치부, '2003 화재통계연보'(2004)
  38.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통계연보'(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