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community analysis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마밭에 출현하는 잡초와 식생유형의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eeds and Vegetation Types in Dioscorea oppostifolia Thunb. Field)

  • 김덕환;박재만;강상모;이석민;이인용;이인중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69-275
    • /
    • 2014
  • 마밭에 출현하는 초종과 식생군락을 분석하여 마밭 잡초방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밭에는 총 11과 44종이 출현하였으며, 조사지역 내 출현한 귀화식물은 3과, 10속 10종으로 분류되었는데 주기적인 잡초방제로 인하여 잡초의 생물다양성이 높지는 않았다.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식생분류 결과, 큰도꼬마리, 논피, 미국가막사리, 한련초, 속속이풀, 중대가리풀, 쇠비름이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PCA plot 분석결과도 식생분류 결과와 동일하게 유형화되었다. 수량조사 결과, 잡초 방제구 대비 무처리에서 82%의 수량감소가 발생하였다.

경남북지역(慶南北地域) 수로변(水路邊)의 잡초식생(雜草植生)에 관(關)한 연구(硏究) (Weed Vegetation Analysis by Two 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Along the Waterway of Kyungnam and Kyungpook Provinces)

  • 김길웅;권순태;백경환;김학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82
    • /
    • 1990
  • 1989년(年) 9월(月) 경남 북(慶南.北) 수로변(水路邊)에서 조사(調査)된 초종(草種)은 각각(各各) 33과(科) 88종(種) 및 33과(科) 96종(種)이었으며, 2차원적(次元的) 분류방법(分類方法)에 의(依)하여 경남지역(慶南地域)에 3개(個) 군락형(群落型)과 경북지역(慶北地域)의 5개(個) 군락형(群落型)이 조사(調査)되었다. 경남지역(慶南地域)의 군락(群落)은 피(Echinochloa crusgalli)군락(群落), 여뀌(Persicaria hydropiper)군락(群落) 및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군락(群落) 등(等)이었고, 경북지역(慶北地域)은 환삼덩굴-미국가막사리(Humulus japonicus-Biden frondosa)군락(群落), 까마중(Solanum nigrum)군락(群落), 고마리-환삼덩굴(Persicaria thunbergii-Humulus japonicus)군락(群落),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군락(群落) 및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군락(群落) 등(等)이었다. 경남 북지역(慶南 北地域) 공(共)히 고마리, 여뀌 군락(群落)이 조사(調査)되었고 수생잡초(水生雜草)인 고마리, 여뀌가 수로변(水路邊)이 대표적(代表的)인 초종(草種)으로 조사(調査)되었다.

  • PDF

한국 중부지방의 환삼덩굴 군락구조와 서식지 특성 (Habitat Characteristic and Community Structures of Humulus japonicus in Korea's Middle region)

  • 오영주;류지혁;문병철;손수인;오세문;김석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2-79
    • /
    • 2008
  • 국내 분포하는 환삼덩굴군락의 식생구조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67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ddot{u}rich$-Montpellier 학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환삼덩굴군락의 상층 식생은 쑥-환삼덩굴군락, 흰명아주군락, 돌피-강아지풀군락,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하층 식생은 쇠별꽃-갈퀴덩굴군락, 쇠뜨기군락, 고마리군락, 바랭이-돌피군락,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식생과 서식환경과의 CCA분석 결과 상층의 돌피-강아지풀군락은 토양 경도와 상대광도 높은 지역에 서식하고 흰명아주군락은 토양 pH가 높은 지역에 분포한다. 하층의 쇠별꽃-갈퀴덩굴군락은 토양 pH가 높은 지역에 발생하고 고마리군락과 바랭이-돌피군락은 토양 수분이 높은 지역에 형성되었다.

대두포장(大豆圃場)에서의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에 의한 제초제(除草劑) 살초(殺草) Spectrum 분류(分類) (Classification of Herbicidal Spectrum by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in Soybean Field)

  • 강병화;김한수;김태완;용필순;안창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2-196
    • /
    • 1990
  • Two-dimensional 분석법(分析法)이 잡초(雜草)와 제초제(除草劑) 군락형(群落型)을 분류(分類), 제초제(除草劑)의 합리적(合理的)인 혼합처리(混合處理) 방법(方法) 모색(摸索) 및 대두포장(大豆圃場)에서 발생(發生)한 잡초군락(雜草群落)에 따른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을 예찰(豫察)하기 위한 방법(方法)으로 이용되었다.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되었다. 1. 11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피(56%) - 명아주(10%)-쇠비름(8%)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인 덕소의 대두포장(大豆圃場)에서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11개(個) 군(群)으로 분류(分類)되었고 쇠비름(58%) - 피(29%) - 참비름(5%) - 바랭이(3%)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인 연천의 대두포장(大豆圃場)에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9개군(個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2. Clomazone 처리구(處理區)에서는 Quzalofopmethyl, Haloxfop 및 Kusagard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쇠비름, Bentazon 처리구에서는 피의 우점(優占)이 뚜렷하였다. 3.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이 단순히 유하성계수(類似性係數)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效果的)으로 제초제(除草劑) 살초(殺草) spectrum 증대 및 혼합처리(混合處理) 또는 체계처리(體系處理)를 위한 제초제(除草劑) 선발(選拔)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資料) 제공(提供)이 더 용이하였다.

  • PDF

논 잡초 멸종위기식물인 물고사리의 낙동강유역 자생지 최초보고 및 군락분류 (Habitat 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of Ceratopteris thalictroides, Endangered Plant Species on Paddy Field, in Nakdong River)

  • 최병기;이창우;허만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50-55
    • /
    • 2014
  • 본 연구는 멸종위기 II급 식물인 물고사리의 낙동강 유역권 분포와 자생지에 발달하고 있는 식물군락의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이루어졌다. 식물사회학적 연구는 Z.-M. 학파의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전통적 분류방법과 수리통계적 분류방법이 동시에 고려되었다. 물고사리우점군락은 둔치도 일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종조성에 의해 물고사리-흰꽃여뀌군락, 물고사리-밭뚝외풀군락, 물고사리-민구와말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락을 결정짓는 주요환경요소는 수분환경, 입지안정도, 답압의 영향, 인위적 관리에 의한 이차적 에너지 투입, 범람의 빈도 등인 것으로 밝혀졌다. 군락 구성종 가운데 물고사리의 상대기여도가 지배적인 고유식생형으로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주기적인 간섭에 적응되어 일년생식물의 구성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와 같은 전통농법이 유지될 경우 자생지를 중심으로 점차적으로 분포를 넓혀갈 것으로 판단되며, 군락과 서식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요구된다.

율무밭에 발생하는 잡초 양상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oix lacryma-jobi var. mayuen Fields)

  • 이인용;김창석;이정란;한정아;김경훈;김미선;송희근;김덕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02-109
    • /
    • 2014
  • 율무밭에 발생하는 잡초발생양상과 잡초로 인한 피해정도를 파악하여 율무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3회 조사하였다. 율무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3과 98종으로 일년생잡초가 58종(59.2%), 월년생잡초 21종(21.4%)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19종(19.4%)이었다. 이 중 외래잡초는 31종이나 덩굴성 외래잡초인 둥근잎유홍초, 미국나팔꽃, 둥근잎나팔꽃 등의 발생이 많았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바랭이, 깨풀, 돌피, 쇠비름, 미국가막사리 등이었으며, PCA 분석한 결과, 3개 그룹(미국개기장 군락, 돌피-털진득찰 군락, 깨풀 군락)으로 나눌 수 있었다. 잡초방임구에서 율무의 수량감소는 잡초관리구에 비하여 60% 감소하였다.

곰취밭에 발생하는 잡초양상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ultivated Ligularia fischeri Fields)

  • 이인용;김창석;이정란;김종환;김경훈;김미선;송희근;김덕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95-101
    • /
    • 2014
  • 곰취밭에 발생하는 잡초발생 양상과 잡초로 인한 피해정도를 파악하여 곰취밭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3년 5월부터 10월까지 5회 조사하였다. 곰취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7과 104종으로 일년생잡초가 55종, 월년생잡초 25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24종이었다. 이 중에서 외래잡초는 26종이 발생하였다. 우점도가 높은 잡초로는 명아주, 쇠별꽃, 돌피, 망초, 쑥 등이었으며, Ordination PCA 분석한 결과, 고마리-미국가막사리 군락, 명아주 군락 그리고 냉이 군락으로 분석되었다. 잡초에 의한 곰취의 피해 정도를 곰취 뿌리 무게로 비교한 결과, 잡초관리구에 비교하여 잡초방임구가 56% 작아져서 이듬해 곰취 생육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변(洛東江邊)의 잡초식생(雜草植生)에 관(關)한 연구(硏究) (Floristic Composition and Community Dynamics Along the Nakdong River)

  • 김길웅;권순태;백경환;김진협;김학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7-74
    • /
    • 1990
  • 1989년(年)9월(月) 낙농강유역(洛東江流域) 38지점(地點)에서 총(總) 29과(科) 102종(種)의 잡초(雜草)가 조사(調査)되었다. 그 가운데 일년생(一年生) 광엽잡초(廣葉雜草)가 54%, 다년생(多年生) 광엽잡초(廣葉雜草)가 21%로 광엽잡초(廣葉雜草)가 전체(全體)의 72%를 점유(占有)하였다. 2차원적(次元的) 분류방법(分類方法)으로 환삼덩쿨(Humulus japonicum)군락(群落), 여뀌(Persicaria hydropiper)군락(群落),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군락(群落),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군락(群落), 개여뀌 - 강아지풀 - 바랭이(Persicaria blumei - Setaria viridis - Digitaria sanguinalis)군락(群落), 갈대(Phragmites communis)군락(群落)이 조사(調査)되었다. 가장 큰 군락(群落)은 갈대 군락(群落)이었고, 총(總) 38 조사지점중(調査地點中) 15지점(地點)에서 갈대가 발생(發生)되었고 고마리, 환삼덩쿨, 개여뀌 등(等)의 잡초(雜草)들이 우점발생(優點發生)하였다.

  • PDF

경기도 축령산 등산로 주변 잡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f Weed Vegetation around the Climbing Paths on Mt. Chungyeong)

  • 안영희;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2-241
    • /
    • 2003
  • 경기도의 축령산은 해발 879m로 광주산맥에 이어져 한국의 중부지역 북동부에 위치한다. 축령산 일대에는 한국의 특산식물 및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종이 흔히 분포하는 지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북방계 식물과 남방계 식물의 한계선이 교차하는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서울에서 거리가 가깝고 경관이 뛰어나 많은 관광객들의 탐방이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관광객들의 지속적인 탐방은 등산로를 중심으로 주변 식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훼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등산로 주변의 잡초 군락에 대해 2001년 8월에서 2002년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인 조사를 수행하여 등산로 주변에 형성된 군락을 유형화하고 그 환경조건을 분석하였다. 등산로 주변 잡초 군락은 6군락 4하위 단위로 구분되었다: A. 질경이 군락, A-a. 개망초 하위군락. A-b. 길뚝사초 하위군락. B. 큰개별꽃 군락, B-a. 대사초 군락. B-b. 가는네잎갈퀴 군락, C. 칡 군락, D. 조록싸리 군락, E. 산딸기 군락, F. 주름조개풀 군락. 이상의 군락을 구성하는 총 식물의 종류는 28과 83속 17변종 120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출현 식물은 질경이, 개망초, 주걱망초, 칡. 조록싸리, 산딸기, 쑥, 제비쑥. 큰까치수염 등 주로 호광성이며 답압에 강한 식물들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구를 Bray-Curtis 서열법에 의해 서열화한 결과는 대체로 식물사회학적 표 조작에서 얻어진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에 의한 제초제(除草劑) 살초(殺草) Spectrum 분류(分類)에 관한 연구(硏究) (Practical Classification of Herbicide by Two-dimensional Ordination Analysis in Transplanted Lowland Rice Field)

  • 김순철;박래경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29-140
    • /
    • 1982
  • 식물(植物) 생태학(生態學)에서 식생분석(植生分析)에 이용(利用)되는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을 사용(使用)하여 잡초군락형살초(雜草群落型殺草) spectrum을 분류(分類)하여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선발(除草制選拔), 체계처리(體系處理) 및 약제가격절감(藥劑價格節減)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2개년(個年)(1980, 1981)에 걸쳐 포장시험(圃場試驗) 및 pot시험(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26종(種)의 수도용(水稻用) 제초제(除草劑)를 pot 시험(試驗)으로 처리(處理)하여 제초제군(除草劑群)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마디꽃 (48%) - 올챙고랭이 (35%) - 알방동산이 (8%)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서는 6개군(個群), 마디꽃 (45%) - 물달개비 (35%) - 바람하늘직이 (9%)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서는 10 개군(個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2. 포장(圃場) 시험결과(試驗結果)에 있어 18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너도방동산이 (37%) - 올챙고랭이 (19%) - 물달개비 (14%) - 피 (7%) - 사마귀풀 (6%)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서 처리(處理)하였던 결과(結果) 7개(個) 제초제군(除草劑郡)으로 분류(分類)되었고, 물달개비 (40%) - 여뀌바늘 (27%) - 너도 방동산이 (17%) - 올챙고랭이 (12%) 잡초군락형(雜草群落型에)에서 19종(種)의 제초제(除草劑)를 처리(處理)하였던 결과(結果)는 14개(個) 제초제군(除草劑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3.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은 제초제살초(除草劑殺草) spectrum 분류(分類)뿐만 아니라 제초제처리방법(除草劑處理方法)에 따른 문제잡초(問題雜草)를 구명(究明)하는데도 이용(利用)이 가능(可能)하였다. 4. 본(本) 시험결과(試驗結果)를 미루어 보아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사용(除草劑使用)을 위(爲)해서는 단순(單純)히 제초제(除草劑) 상호간(相互間)의 유사성계수(類似性係數)(Similarity coefficient)를 이용(利用)하는 것 보다 two-dimensional ordination 분석법(分析法)을 이용(利用)하므로서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제선발(除草劑選拔), 살초(殺草) spectrum 증대(增大)를 위(爲)한 혼합처리(混合處理) 또는 체계처리(體系處理) 및 약제가격(藥劑價格)을 절감(節減)하기 위(爲)한 혼합처리(混合處理) 등(等)에 관(關)한 정보(情報)를 비교적(比較的) 쉽게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