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Usability Testing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42초

휴리스틱 평가와 발성사고법을 이용한 농식품 전자상거래 사이트 사용성 평가 (Improving the Usability of a Fresh Food E-commerce Sit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Heuristic Evaluation and Think Aloud Method)

  • 이동원;김경민;오상현;문정훈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608-613
    • /
    • 2008
  • 온라인 전자상거래가 활발해 짐에 따라 온라인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있어서 사용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농식품과 같은 이질적인 상품의 경우 온라인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사용자들은 가격보다 전자상거래의 거래단계 중 정보단계의 정보의 질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Wine.com, Tesco 와 같은 성공적인 농식품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는 웹사이트의 지속적인 테스팅이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식품 온라인 전자상거래과정에 있어 분석되어야 할 프로세스를 알아보고, 구매 프로세스에 준한 사용자의 이용행태에 따른 인터페이스 분석, 평가를 통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농식품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사용성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휴리스틱평가를 통한 객관적 평가로써 전자상거래의 정보단계를 보다 세분화 하여 평가 할 수 있으며, 발성사고법을 통한 사용자 과업 수행 관찰을 통하여 기존의 만족도 조사보다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사용성 평가를 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문화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웹 브라우저의 활용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Design Methodology for Cultural user-Interface Design: with the Emphasis on the Application of web-browser)

  • 이건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73-80
    • /
    • 1998
  •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기 시작한 문화적 디자인은 주로 형태나 색채 등의 현상적 연구에만 머물고 있는 형편이다. 보다 본질적인 문화적 디자인을 이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현상적 연구와 함께 제품과의 상호작용의 특성과 같은 문화적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화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방법론 개발이 일환으로 웹 브라우저를 통한 사용 성 연구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우선 문화의 정의, 깊이, 문화 변수 등을 살펴봄으로써 문화의 본질적 성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 문화권 사용자들이 제품을 사용할 때 나타나는 행위 특성을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의 구조를 설정하였다. 이어서 이 구조를 근거로 하여 타 문화권의 사용자들이 직접 WWW 상에서 접근하여 제품을 사용하게 한 후 이를 분석할 수 있는 사용 성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사용자의 인구 통계적 사항을 조사하는 모듈, 사용자의 문화변수별 특성을 파악하는 모듈, 사용자의 스테리오타잎을 조사하는 모듈, 제품을 직접 사용하여 사용 성을 평가하는 모듈, 마지막으로 모든 인터랙션 데이터를 기록하고 문자로 저장하여 다양한 통계를 이룰 수 있는 분석 모듈 등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이 한계를 지적하고 이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daptable Web Search User Interface Model for the Elderly

  • Khalid Krayz allah;Nor Azman Ismail;Layla Hasan;Wad Ghaban;Nadhmi A. Gazem;Maged Nasse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9호
    • /
    • pp.2436-2457
    • /
    • 2023
  •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but many face challenges in using digital tools like the Internet due to health and incapacity issues. Existing online search user interfaces (UIs) often overlook the specific usability needs of the elderly. This study proposes an adaptable web search UI model for the elderly, based on their perspectives, to enhance search performance and usability. The proposed UI model is evaluated through comparative usability testing with 20 participants, comparing it to the Google search UI.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are measured using task completion time, error rate, and subjective preference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between the proposed web search UI model and the Google search UI. The proposed UI model achieves higher subjective satisfaction levels, indicating better alignment with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elderly users. It also reduces task completion time, indicating improved efficiency, and decreases the error rate, suggesting enhanced effectivenes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unique usability needs of the elderly when designing search UIs. The proposed adaptable web search UI model offers a promising approach to enhance the digital experiences of elderly users. This study lays the groundwork for further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adaptable web search UI models that cater to the specific needs of elderly users, enabling designers to create more inclusive and user-friendly search interfaces for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설계를 위한 웹 기반 원격 카드소팅 도구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wed-based remote card sorting tool for information architecture design)

  • 정상훈;오기태;이건표;서종환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1-230
    • /
    • 2004
  • 많은 사용성 평가 방법들, 특히 실험실 기반의 사용성 평가방법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성 평가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 노력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부자연스러운 실험 환경으로 인한 부작용과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참여의 부족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카드소팅 기법을 기본으로 하는 웹 기반의 참여적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참여적 도구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컴퓨터 운용 환경에서 웹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카드소팅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사용자들은 인터페이스 요소들로 구성된 카드들을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드래깅하고 그룹핑 함으로써 자신만의 인터페이스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웹사이트의 구조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멘탈모델을 자연스럽게 표현해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테스트에 참여하는 과정 중에 생성된 모든 데이터들은 자료 수집을 위한 원격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의 활용을 통해 웹 디자이너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보다 효과적인 카드소팅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포메이션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실제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젓이다.

  • PDF

농산물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사용성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Strategies to Improve Usability of Electronic Commerce Sites of Agricultural Products)

  • 이동원;조수란;문정훈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1권1호
    • /
    • pp.37-62
    • /
    • 2009
  • Web usability for e-commerce sites becomes a more important issue as e-commerce gains its popularity. As for agricultural products, consumers are especially sensitive to the quality of information during transaction process. Successful e-commerce sites of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Wine.com and Tesco, identified regular usability testing as part of key success factor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processes for evaluating usability for e-commerce sites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vide strategies to improve usability. The study aims to evaluate e-commerce usability of selected e-commerce sites using heuristic evaluation to provide objective e-commerce sites usability analysis for each transaction process.

  • PDF

비즈니스용 웹 사이트 개발에서의 실시간 발성사고법 사용성 테스트 사례 연구 (Research on Usability Test for Business Web Site Development using Concurrent Think Aloud Protocol)

  • 김재훈;신재민;김정환;임석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10
    • /
    • 2018
  • 본 연구는 비즈니스용 웹 사이트 개발에 있어 비용효과적인 사용성 테스트 모델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발성사고법(Concurrent Think Aloud), 성능 측정, 코칭 방법, 원격 테스트 방법을 혼합한 사용성 테스트 모델을 제시하였다. 테스트 대상은 연구진이 운영하는 전자정보 공동구매 컨소시엄 웹 사이트로 하였다. 테스트 참가자는 실제 사용자로 하였으며 업무 역할과 숙련도별로 차이를 두어 구성하였다. 사용성 테스트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시스템을 개선하였고, 동일한 태스크를 수행하여 소요시간과 마우스 궤적 복잡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참가자의 사용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용성 테스트 모델을 활용하여 비즈니스용 웹 사이트를 비용 효과적으로 평가하여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웹 사이트들은 목적별, 분야별로 특성이 있으므로 향후에는 특성화된 사용성 테스트 모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Analysis of Library Website Users' Behavior to Optimize Virtual Information and Library Services

  • Shevchenko, Lyudmil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1호
    • /
    • pp.45-5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study library website users' actions by tracking their behavior, determining popular content, and identifying browsing patterns and subsequent improvement of access to popular content. The study of behavior models and the use of web analytic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solutions that improve the usability and functionality of the State Public Scientific-Technological Library of the Siberian Branch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SPSTL SB RAS) website. These are: identifying user tasks as they are developed, conducting user testing to better understand the event. tracking data and collecting additional dat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hanges made. Examining data on the duration of the session and the number of visits will help determine the goals of user visits and develop new recommendations. Usability analysis and testing will make it possible to compare the data obtained using web analytics and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site by the users themselves. Recommendations are offered to libraries on the use of data on the real behavior of the target audience of the library website to improve access to library resources and services, increase their relevance and improve information services.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User Services in CNU Digital Library Website)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1-32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최신의 정보기술을 적용한 XML 기반 충남대학교 전자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로그파일 분석, 온라인 설문조사 그리고 발견평가의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입장에서의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서비스의 문제점을 분석$\cdot$평가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제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문화권별 웹 사이트 구조의 선호에 관한 연구 - 프로토타입의 사용성 평가를 통한 검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the Website Structure Related the Culture -with Emphasis on the Usability Testing of the Prototype of Each Country.)

  • 김정하;이건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61-170
    • /
    • 2003
  • 20세기 말부터 급격한 발달을 통하여 웹사이트는 사용자의 대상 범주를 단일 문화권에서 벗어나 전세계의 타 문화권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이르기까지 넓혀왔다. 이는 다시 말하면 웹사이트가 태생적으로 문화와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국적 문화 수용체로서의 웹의 역할을 생각하여 볼 때,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웹사이트가 어떠한 형태로 변환되어 적용되어야 하는가를 보다 심층적으로 밝혀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구조가 각기 다른 문화권의 영향에 따라서 변화한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그 진위여부를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여러 가지 문화이론을 기반으로, 현재 IT산업의 활발한 발달 모습을 보이고 있는 한국과 미국의 웹사이트가 그 문화적인 차이로 인하여 어떻게 다른 양상을 띄고 있는지를 웹사이트의 구조(Structure & Navigation)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각 국가별 20여 개의 종합쇼핑몰(I-commerce) 사이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종합쇼핑몰 평가가이드라인 (I-commerce Site Evaluation Guideline)을 사이트 정보의 흐름과 페이지 별 분석으로 나누어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권에 따른 국가별 선호 프로토타입(prototype)을 디자인하였으며, 이렇게 제안된 국가별 선호 프로토타입을 이용하여 원격 사용성 평가와 문화적 가치에 관한 설문을 통하여 국가별 웹사이트의 구조 선호도에 관한 가설의 진위 여부를 밝혀 내었다. 또한 이에 문화와 웹 인터페이스와의 연관성 및 국가별 사이트 네비게이션의 선호도에 대한 결과를 다양한 문화 이론을 바탕으로 해석해 내었다. 조직의 강도(

  • PDF

AHP기법을 이용한 최적의 웹사이트 선정 및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Web Site Selection and Quality Evaluation Using AHP)

  • 오기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2호
    • /
    • pp.381-386
    • /
    • 2004
  •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로 여러 종류의 인기 웹사이트들이 생겨나고 있으나, 웹사이트의 품질을 사용자 관점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비교 및 평가하는 선정기법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품질을 평가하는 관점은 블랙박스, 화이트박스, 그레이박스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의 웹사이트를 선정하기 위해 사용자 입장에서 블랙박스 관점으로 AHP(Analysis Hierarchy Process)기법을 사용하였고, 웹사이트의 품질은 국제표준 IS0/1EC 9126에서 규정하고 있는 6가지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중에서 효율성, 사용성, 호환성을 고려하였다. 현재 인터넷상에서 운영하고 있는 웹사이트들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웹사이트 선정기법 및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가 최적의 웹사이트를 선택하는데 적용 가능한 것임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