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supply priorit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9초

우리나라 먹는물의 크립토스포리디움에 의한 건강위해도 평가 연구 (Health Risk Assessment of Cryptosporidium in Tap Water in Korea)

  • 이목영;박상정;조은주;박수정;한선희;권오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2-42
    • /
    • 2013
  • Objectives: Cryptosporidium, a protozoan parasite, has been recognized as a frequent cause of waterborne disease due to its extremely strong resistance against chlorine disinfection. Although there has as yet been no report of a Cryptosporidium outbreak through drinking water in Korea,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health risk of Cryptosporidium in water supply systems because of the various infection cases in human and domestic animals and frequent detection reports on their oocysts in water environments.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the annual infection risk of Cryptosporidium in tap water using the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technique. Exposure assessment was performed upon the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on Cryptosporidium on the water sources of 97 large-scale water purification plants in Korea, water treatment efficacy, and daily unboiled tap water consumption. The estimates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n the mean likelihood of infection from ingesting one oocyst were applied for effect assessment. Results: Using probabilistic methods, mean annual infection risk of Cryptosporidiosis by the intake of tap water was estimated to fall within the range of $2.3{\times}10^{-4}$ to $1.0{\times}10^{-3}$ (median $5.7{\times}10^{-4}$). The risk in using river sources was predicted to be four times higher than with lake sources. With 0.5-log higher removal efficacy, the risk was estimated to be $1.8{\times}10^{-4}$, and could then be lowered by one-third. Conclusions: These estimations can be compared with acceptable risk and then used to determine the adequacy and priority of various drinking water quality strategi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new treatment technology.

Reduc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Livestock Waste A Major Priority for Intensive Animal Production - Review -

  • Yano, F.;Nakajima, T.;Matsud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651-656
    • /
    • 1999
  • In current animal production in Japan, a large surplu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s given to animals as their feed which are mostly imported from outside of our own country. Today, an exces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animal manure has been spread out of the area of animal production and the surroundings. These components have become the major reason for eutrophication of ground, surface and inland water. Nutritional studies for the reduc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animal waste has been done by many researchers. The reduction of excess protein in animal feed and the supplementation of deficient essential amino acids to feed have a possibility to increase the biological value of feed and to reduce nitrogen excretion, especially, via urine. The use of phytase activity to degrade phytate and to release utilizable inorganic phosphorus make it possible to cut an excess supply of feed additive inorganic phosphorus and to reduce phosphorus excretion from animal waste.

표본 추계학적 동적계획법을 사용한 한강수계 저수지 운영시스템 개발 (Reservoir Operating System Using Sampling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 for the Han River Basin)

  • 음형일;박명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호
    • /
    • pp.67-79
    • /
    • 2010
  • 한국수자원공사는 낙동강 및 금강수계에 대해 실시간 물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수계 내 다목적 댐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최적화 기법인 표본 추계학적 동적계획법을 사용하여 한강수계 다목적댐의 효율적인 월말 목표저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물관리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수행되었다. 수계 내 댐중 저수용량과 용수공급 측면에서 중요도가 높은 소양강댐, 충주댐, 화천댐 등 3개 댐만을 대상으로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저수량 상태변수의 민감도 분석 결과를 통해 저수량 상태변수 개수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최적화모형을 통한 운영률과 한국수자원공사의 운영목표수위에 의한 저수지 운영방식과 비교를 실시한 결과 연평균 37.22 MCM의 수계 내 요구용수 부족량 감소효과와 더불어 발전량 측면에서도 연간 171 GWh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수기 저수지 운영계획 시스템을 실제 적용한 결과 2007년~2008년 이수기 동안 전력생산, 수질개선 등을 위한 추가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제 적용사례를 통해 SSDP 모형과 이수기 저수지운영 시스템의 그 유용성을 타진할 수 있었으며 다른 수계로 확장을 실시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저수지 운영계획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상수관 파괴에 의한 피해 경감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a Method to Reduce Damages by Pipe Failures)

  • 전환돈;;박무종;김중훈;이환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31-36
    • /
    • 2008
  • 배수시설은 합리적인 계획으로 배치하여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수요량에 대하여 적정한 수질의 물을 적정한 압력으로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공급해야 한다. 또한 상수관 파괴 같은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용수 수요자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안정성이 높은 시설을 목표로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 파괴에 의한 피해를 합리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기존의 상수관 파괴에 의한 피해영역 산정기법과 신뢰도 산정기법을 통해서 상수관망을 분석하고 상수관 파괴에 의한 피해 경감기법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minimum cutset에 속하는 상수관의 내구성을 중요우선순위에 따라 향상시킴으로써 상수관 파괴에 의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었으며 제안된 방법을 Cherry Hill 상수관망에 적용하여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수리시설물 및 농경지 가뭄대응능력 중심의 농업가뭄 취약성 평가 - 태안 지역을 중심으로 -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Focus on Drought Response Capability in Irrigation Facilities and Paddy Fields)

  • 문영식;남원호;하태현;조영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5권5호
    • /
    • pp.13-24
    • /
    • 2023
  •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the amount of rainfall during the summer season in South Korea has been decreasing, leading to an increase in areas affected by frequent droughts. Droughts have the characteristic of occurring over a wide area and being unpredictable in terms of their onset and end, necessitating proactive research to cope with them.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assessment of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in Taean-gun, Chungcheongnam-do, focusing on irrigation facilities and paddy fields. The assessment criteria were meteorological impact, drought occurrence status, supplementary water supply capacity, and drought response capability, with nine specific indicators selected. The drought response capability was analyzed by applying a scoring system as a key component of the agricultural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while the other indicators were quantified using an entropy weighting technique.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showed that Anmyeon-eup and Taean-eup were the safest areas, while Wonbuk-myeon, Nam-myeon, and Gonam-myeon were the most vulnerable.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proactive measures for coping with agricultural drought, an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drought response in different regions.

전라남도 농촌지역의 생활환경시설 격차 분석 - 도로 및 상하수도 정비수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asic Infra-Structure Disparities in Jeollanam-do Rural Areas - With Special Reference in Rural Roads, Public Water and Sewage Disposal Services -)

  • 윤치욱;최수명;김영택;박용진
    • 농촌계획
    • /
    • 제18권2호
    • /
    • pp.69-79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sparities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 between Guns(rural counties), and between Eups/Myuns(rural districts) in Jeollanam-do provi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imensions of regional disparity in basic living structure were measured by 3 components ; road, public water service and sewage disposal. By utilizing the published statistics, this study has examined 8 Guns(counties) containing Eup and Myon in Jeollanam-do province which can represent 4 different rural areal types, respectively, i,e. mountainous, semi-mountainous, flat and seashore areas. The data acquisition time of this study is fixed on end of 2009 year in order for possible collections of the most recent published statistics. It presents evidence on the magnitude and evolution of discussion of regional disparities between Guns(counties), and between Eup & Myon, and between Myons in Jeollanam-do province even though infrastructure provision level of Jeollanam-do rural areas are much more improved than the past. Concludingly, the existing disparities in this area is meaningful and so, it should be seriously reconsidered when deciding local government's budget allocation priority.

습지형 구하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능 평가: 만경강 대상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Mangyoung River)

  • 홍일;강준구;강수진;여홍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B호
    • /
    • pp.213-220
    • /
    • 2012
  • 국내 구하도의 경우 많은 부분 하도 직강화에 의해 자연하천에서의 사행을 제한함으로써 절단된 형태로 남아있으며, 현재는 매립되어 타용도로 이용되는 육화형과 습지형 구하도로 구분할 수 있다. 습지형 구하도는 일부 농업용수 공급에 활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수질악화, 수위저하, 육역화, 생태계 교란 등 관리 미흡으로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구하도의 보전 또는 복원을 통한 하천관리는 유역관리 차원에서도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습지형 구하도의 기능적 가치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역관리 차원에서 습지형 구하도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만경강 습지형 구하도를 대상으로 기능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자연성, 서식처, 친수성, 수질 등 4개 속성의 21개 평가지표를 토대로 이뤄졌으며 각 속성별 가중치에 따라 계량화하여 수행하였다. 만경강의 습지형 구하도는 자연성과 서식처 속성의 평가결과가 양호한 반면 친수성과 수질 속성의 평가결과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량이 풍부하지 않고 부영양화가 진행된 지점의 경우 주변환경의 관리가 더욱 미흡한 관계로 타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지역으로 설정되었다. 평가결과는 향후 하천공간 확보라는 하천의 유역관리 차원에서 습지형 구하도를 활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표토유실 보전을 통한 온실가스배출 저감과 수자원 보전 기능의 산출 및 정책제안 (Estimating of the Greenhouse Gas Mitigation and Function of Water Resources Conservation through Conservation of Surface Soils Erosion and Policy Suggestion)

  • 오승민;김혁수;이상필;이종건;정석순;임경재;김성철;박윤식;이기하;황상일;양재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2권6호
    • /
    • pp.74-84
    • /
    • 2017
  • Soil erosion is often extreme in Korea due to high rainfall intensities and steep slopes, and climate change has also increased the risk of erosion. Despite its significane, erosion-induced soil organic carbon (SOC) emission and water resource loss are not well understood, along with the lack of an integrated surface soil erosion protection policy. Therefore, to design adequate protection policies, land users, scientists, engineers and decision makers need proper information about surface soil and watershed properties related to greenhouse gas emission potential and water conservation capability, respectively. Assuming the total soil erosion of $346Tg\;yr^{-1}$, soil organic matter (SOM) content of 2% (58% of SOM is SOC), and mineralization rate of 20% of the displaced carbon, erosion-induced carbon emission could reach $800Gg\;C\;yr^{-1}$. Also the available water capacity of the soil was estimated to be 15.8 billion tons, which was 14 times higher than the yearly water supply demand in Seoul, Korea.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of soil erosion, this study proposes a three-stage plan for surface soil erosion prevention: 1) classification of soil erosion risk and scoring of surface soil quality, 2) selection of priority areas for conservation and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 and 3) application of BMP and post management.

RPSMDSM: Residential Power Scheduling and Modelling for Demand Side Management

  • Ahmed, Sheeraz;Raza, Ali;Shafique, Shahryar;Ahmad, Mukhtar;Khan, Muhammad Yousaf Ali;Nawaz, Asif;Tariq, Roh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6호
    • /
    • pp.2398-2421
    • /
    • 2020
  • In third world countries like Pakistan, the production of electricity has been quickly reduced in past years due to rely on the fossil fuel.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in 2017, the overall electrical energy capacity was 22,797MW, since the electrical grids have gone too old, therefore the efficiency of grids, goes down to nearly 17000MW. Significant addition of fossil fuel, hydro and nuclear is 64.2%, 29% and 5.8% respectively in the total electricity production in Pakistan. In 2018, the demand crossed 20,223MW, compared to peak generation of 15,400 to 15,700MW as by the Ministry of Water and Power. Country faces a deficit of almost 4000MW to 5000MW for the duration of 2019 hot summer term. Focus on one aspect considering Demand Side Management (DSM) cannot oversea the reduction of gap between power demand and customer supply,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issue of load shedding. Hence, a scheduling scheme is proposed in this paper called RPSMDSM that is based on selection of those appliances that need to be only Turned-On, on priority during peak hours consuming minimum energy. The Home Energy Management (HEM) system is integrated between consumer and utility and bidirectional flow is presented in the scheme. During peak hours of electricity, the RPSMDSM is capable to persuade less power consumption and accomplish productivity in load management. Simulations show that RPSMDSM scheme helps in scheduling the electricity loads from peak price to off-peak price hours. As a result, minimization in electricity cost as well as (Peak-to-Average Ratio) PAR are accomplished with sensible waiting time.

기후변화의 적응과 연계한 영산강 수질개선대책 개발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Improve Water Quality of the Yeongsan River in Connection with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이용운;양원모;송광덕;류용욱;이학영
    • 생태와환경
    • /
    • 제56권3호
    • /
    • pp.187-195
    • /
    • 2023
  • 영산강의 상류에는 4개의 농업용 댐들이 축조되어 있으며 각 댐의 물은 경작지 관개용수로 거의 모두 공급되고 영산강 본류로 방류되지 않고 있다. 또한, 관개용수의 대부분도 사용 후에 영산강으로 회귀하지 않고 격리된 상태의 별도 용수간선을 통하여 영산강 하류까지 흘러가기 때문에 영산강 본류의 유량 부족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영산강 유량의 71%가 하수처리수로 채워지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에 따라 수질뿐 아니라 수생태 건강성도 우리나라 4대강 중 가장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수질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시나리오들을 오염삭감과 유량증대를 함께 고려하여 개발하였고 QUAL-MEV를 이용하여 각 시나리오의 장래수질을 예측·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영산강의 수질개선은 오염삭감을 통해 그동안 꾸준히 시행되어 왔으나 이제 한계에 다다르고 있어 앞으로는 오염삭감만이 아니라 유량증대(해수담수화 포함) 방법이 함께 중점 추진되어야 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영산강 수질목표의 달성도 가능하다. 2. BOD는 오염삭감 그리고 T-P는 유량증대의 방법을 통해 크게 개선될 수 있다고 예측되었으므로 수질목표의 달성을 위해 오염삭감과 더불어 유량증대가 함께 도입된다면 이들 상호 간에는 시너지 효과가 크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3. 그러나 유량증대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투자비용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겠으나 기존의 용수 이해관계자들간에 형성되어 있는 갈등 문제를 협의·해소키 위한 꾸준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4. 댐의 건설, 용수배분 조정 등 강우 유관형 유량증대 방법은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가 오랜 기간 발생하지 않으면서 대가뭄이 지속될 경우에 적용의 효용성이 떨어지거나 상실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 비슷한 조건이라면 강우 무관형인 해수담수화시설을 유량증대사업 중 우선 설치대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이러한 시설이 우리나라에서 새로 건설하기 어려운 댐의 용수확보 기능을 대체할 수 있고 대가뭄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에 물관련 재해방지도 가능하여 기후변화의 적응시설로서 유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