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Mangyoung River

습지형 구하도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능 평가: 만경강 대상

  • Received : 2012.04.04
  • Accepted : 2012.05.25
  • Published : 2012.07.15

Abstract

Old river channels have been formed by engineering a straight channel in Korea. This can be classified as wetland-type or land-type. The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uses parts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However, the channels have been neglected since there are problems associated with poor water quality, reduced water level, ecosystem disturbance, etc. Thus, river maintenance through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old river channel can be very effective in watershed management. To achieve this, functional assessment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is a priority need. This study applied the wetland-type channel in Mangyoung river for functional assessment. It was formed these channels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four major criteria (Natureless, Habitat, Water-friendliness and Water quality) and 21 indices. The indices managed by measuring depending in weights. Consequently, wetland-type channel in Mangyoung river was in good condition both natureless and habitat, while it was a fragile environment in water-friendliness and water quality. In particular, the areas where it has insufficiency water and water suffering from eutrophication needs urgent improvement. This results will be used to utilize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as watershed management.

국내 구하도의 경우 많은 부분 하도 직강화에 의해 자연하천에서의 사행을 제한함으로써 절단된 형태로 남아있으며, 현재는 매립되어 타용도로 이용되는 육화형과 습지형 구하도로 구분할 수 있다. 습지형 구하도는 일부 농업용수 공급에 활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수질악화, 수위저하, 육역화, 생태계 교란 등 관리 미흡으로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구하도의 보전 또는 복원을 통한 하천관리는 유역관리 차원에서도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습지형 구하도의 기능적 가치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역관리 차원에서 습지형 구하도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만경강 습지형 구하도를 대상으로 기능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자연성, 서식처, 친수성, 수질 등 4개 속성의 21개 평가지표를 토대로 이뤄졌으며 각 속성별 가중치에 따라 계량화하여 수행하였다. 만경강의 습지형 구하도는 자연성과 서식처 속성의 평가결과가 양호한 반면 친수성과 수질 속성의 평가결과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량이 풍부하지 않고 부영양화가 진행된 지점의 경우 주변환경의 관리가 더욱 미흡한 관계로 타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지역으로 설정되었다. 평가결과는 향후 하천공간 확보라는 하천의 유역관리 차원에서 습지형 구하도를 활용하기 위한 근거자료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11) 홍수터 보전/복원 기술 최종보고서, 건설기술혁신사업, pp. 475-495.
  2.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09) 홍수터 보전/복원 기술 연차보고서, 건설기술혁신사업, pp. 239-287.
  3. 김은진, 홍일, 여홍구, 조강현(2009) 만경강 폐천 유형별 식생구조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023-2027.
  4. 환경부(2001) 내륙습지의 유형별 평가기법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pp. 31-36.
  5.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관리사업단(2008) 제3차 전국내륙습지조사 지침.
  6. 홍 일, 강준구, 여홍구(2012) 영상자료를 이용한 만경강 하도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5권 제2호, pp. 127-136. https://doi.org/10.3741/JKWRA.2012.45.2.127
  7. Paul R. Adamus, Lauren T. Stockwell, Ellis J. Clairain, Jr., Michael E. Morrow, Lawrence P. Rozas, R. Daniel Smith (1991) Wetland Evaluation Technique(WET). US Army Corps of Engineers, pp. 181-182.

Cited by

  1. Fish Community Structure of the Former Channel Isolated by Channelization in the Mangyeong River, Korea: Implications for Connectivity Restoration vol.2, pp.1, 2015, https://doi.org/10.17820/eri.2015.2.1.022
  2. Evaluation of Habitat Improvement Using Two-Dimensional Fish Habitat Modeling after the Connectivity Restoration in an Isolated Former Channel vol.2, pp.2, 2015, https://doi.org/10.17820/eri.2015.2.2.137
  3. Delineation and Land Use Analysis of the Isolated Former Floodplain in the Nakdong River, Korea vol.2, pp.4, 2015, https://doi.org/10.17820/eri.2015.2.4.324
  4. An Improvement and Applicability of Physical Disturbance Evaluation Technique by Quantification in River System vol.17, pp.3, 2015, https://doi.org/10.17663/JWR.2015.17.3.209
  5. A Study on Evaluation of Ecological Function before and after River Improvement vol.47, pp.4, 201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4.397
  6.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Transit Ridership Through a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Model vol.32, pp.2, 2014, https://doi.org/10.7470/jkst.2014.32.2.083
  7. Spatial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for Ensuring Stream Space vol.35, pp.2, 2015, https://doi.org/10.12652/Ksce.2015.35.2.0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