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me reconstruction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32초

차폐막 노출이 발치 후 치조제 보존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연구 (The influence of membrane exposure on post-extraction dimensional change following ridge preservation technique)

  • 남현욱;박윤정;구기태;김태일;설양조;이용무;구영;류인철;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3호
    • /
    • pp.367-373
    • /
    • 2009
  • Purpose: Following tooth extraction caused by severe periodontitis, alveolar ridge dimension lose their original volume. To reduce the alveolar ridge dimension, the ridge preservation technique has been introduced and tested in many clinical studies with membrane alone or membrane plus graft, achieving reduced ridge loss compared to extraction only. The aim of the present clinical study was to compare the post-extraction dimensional changes in the membrane exposure group to non-exposure group during healing period following ridge preservation technique. Methods: Ridge preservation was performed in 44 extraction sites. After extraction,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coated with synthetic oligopeptide (Ossgen-$X15^{(R)}$) or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Bio-$Oss^{(R)}$) was implanted into the socket. A collagen membrane (Bio-$Gide^{(R)}$) was trimmed to cover the socket completely and applied to the entrance of the socket. Four clinical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baseline and 6 months. Results: During healing period, membrane exposure was observed at 19 sites. At the re-entry, hard newly formed tissue were observed at the ridge preservation site. The grafted socket sites were well preserved in their volume dimension. In both groups, horizontal ridge width was reduced and vertical height was increased.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rizontal (-1.32 mm vs -1.00 mm) and vertical ridge change (2.24 mm vs 2.37 mm at buccal crest, 1.36 mm vs. 1.53 mm at lingual cres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he ridge preservation approach after tooth extraction effectively prevented resorption of hard tissue ridge in spite of membrane exposure during healing period.

호흡동조전산화단층촬영과 콘빔전산화단층촬영의 팬텀 영상 체적비교 (Comparison of Volumes between Four-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using Dynamic Phantom)

  • 김성은;원희수;홍주완;장남준;정우현;최병돈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3-130
    • /
    • 2016
  • 목 적 : Computerized imaging reference systems 동적팬텀을이용한 cone-beamcomputed tomography(CBCT) 영상과 four-dimensionalcomputed tomography(4DCT) 영상의 체적을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동적팬텀 내에 직경 1, 2, 3 cm 노드를 각각 삽입하고, CT simulator와 TruebeamSTx X-ray Imaging system을 이용하여 4DCT 영상과 CBCT 영상을 얻었다. 4DCT 영상은 maximum intensity projection(MIP), minimum intensity projection(MinIP), 그리고 average intensity projection(AVG)영상으로 재구성 하고 노드의 체적은 Eclipse system의 CT ranger tool로 CT number를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CBCT를 기준으로 노드1, 2, 3 cm의 체적을 비교하였을 때 4DCT의 MIP는 0.54~2.33, 5.16~8.06, 9.03~20.11 ml, MinIP는 0.00~1.48, 0.00~8.47, 1.42~24.85 ml, AVG는 0.00~1.17, 0.00~2.19, 0.04~3.35 ml의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노드의 체적을 비교한 결과 CBCT 영상은 4DCT의 AVG 영상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Image Viewer System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mage Viewer System)

  • 양오남;서인기;홍동기;권경태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7-73
    • /
    • 2006
  • 목 적: 암 환자의 증가와 함께 방사선 치료기술도 날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영상 및 데이터의 양들도 대폭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이들을 저장, 보관,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과에서 발생되는 모든 영상 및 data의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화를 목적으로 의료정보팀의 협조 하에 본 System을 개발, 적용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본과 방사선치료 관리 시스템(RO-radiation oncology)에서 PACS에 접근할 수 있는 code를 부여한 후 영상은 R&V (Record and Verify: Varis vision, Varian, USA) 시스템 및 planning system에서 export 한다. 이때 DICOM (digital image and communication system) head에 있는 많은 정보들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화 하였다. 결 과: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발생되는 모든 영상 및 자료 즉, 모의치료, CT, L-gram 영상, structure (normal organ & target volume), DRR (Digital Reconstruction Radiography), 선량 분포도, DVH (dose volume histogram) 등을 PACS에 구현 하였으며 과내 어느 컴퓨터에서도 선명히 영상을 볼 수 있고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 론: 본 시스템의 개발로 film less화가 가능하게 되어 현상 처리에 관련한 암실 공간과 유지비용이 소멸되었고 film 저장공간 및 film을 찾는데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포함한 유, 무형의 경제적 비용뿐만 아니라 영상 저장을 위한 별도의 저장장치의 구입도 불필요하게 되었다. 아울러 방사선 치료를 위해 복잡하게 행해졌던 일련의 과정들이 본 시스템을 통해서 현재는 전산 상에서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우리나라의 종양성형학적 유방암 수술에 대한 최신 동향 (Recent Perspectives on Oncoplastic Breast Surgery in Korea)

  • 강태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63-569
    • /
    • 2020
  • 유방암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종양성형학적 수술이란 종양학적 안정성과 성형적 만족도를 모두 충족시키는 수술을 일컫는 용어이다. 처음 시작한 서양에서는 적은 절개나 절제, 미세침습수술을 지향하기 보다 유방축소술을 기본으로 제거될 조직에 병변을 포함하도록 계획한다. 충분한 절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수술 전 검사, 절제연에 대한 고민, 수술 중 병리 검사의 필요성 등도 줄면서 종양학적 안전성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왔다. 개개인의 체형에 대한 병변의 종양학적 안정성을 충족시키는 최소 절제 비율에 따라 전위 또는 보충으로 나뉘게 된다. 환자의 기본 체형은 인종적인 영향을 받는 유방암의 특징으로, 유럽,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 평균 크기가 대개 36D(600 ㎤) 이상으로, 유방고정술이나 유방축소술이 주로 사용되고, 성형 측면의 최대 목표인 대칭을 위해서는 반대측 유방의 축소도 흔히 이루어지고 있다. 부산대학교병원 유방암 환자 671명의 평균 분포를 분석해 본 결과, 평균은 33A (75%, <35B)로, 대략 체적은 300 ㎤ (75%, <400 ㎤)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서양과는 다른 수술법이 선택될 수 밖에 없다. 수술 전 MRI를 이용한 범위의 확인을 통한 대상 선정과 함께 초음파와 피부 표식을 이용한 정확한 절제 범위의 계획도 중요하다. 병리적 판독 기준도 절제연 음성이면 종양학적 안정성에 충분하다는 것으로 관점이 바뀐 것은 보존 수술에 유리한 측면이 된다. 동결절편검사는 여전히 고급 전문 인력, 시간이 지나치게 소요되고 있어 편리하고 안전한 병변의 절제에 도움이 될 만한 새로운 방법들이 필요하여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최근 연구로는 무선주파수를 이용하는 margin probe, 형광 색소를 결합한 Aqueous Quantum-Dot-Molecular Probes 등을 들 수 있다. 합병증 측면에서 박리 면적이 늘어나는 종양성형학적 수술의 단점을 보강할 수 있는 최근 기술로 초음파 에너지 기구들이 유용하고, 수술 범위가 늘어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혈종이나 장액 저류의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INC법을 이용한 비혼합 혼상류의 경계면 추적 (Interface Capturing for Immiscible Two-phase Fluid Flows by THINC Method)

  • 이광호;김규한;김도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277-286
    • /
    • 2012
  • 기체와 액체의 유동 및 고체의 변형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혼상류모델을 이용하여 파동장을 해석하는 경우, 서로 다른 비혼합의 유체 경계면의 시간변형을 고정도로 추적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면의 추적에 있어서 VOF(Volume of Fluid)법으로 대표되는 경계면 형상의 재구축이 필요한 Geometrical-type의 경계추적법의 대신에 Algebraic-type의 경계추적법인 THINC(Tangent of Hyperbola for INterface-Capturing)법을 적용하였다. THINC법은 경계면에 대한 형상의 구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VOF법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알고리즘을 가지며, 기존의 Navier-Stokes solver에로 적용성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THINC법의 기본적인 이류특성을 고찰하고, 혼상류수치모델인 TWOPM(one-field Model for immiscible TWO-Phase flows)과 결합한 수치모델을 파동장에 적용하여 비혼합 혼상류에서 경계면의 추적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혼상류의 경계면 추적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간단한 알고리즘의 THINC법이 기존의 VOF법과 유사한 정도를 갖는 해석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따라서 향후 기포의 연행을 동반하는 쇄파 및 쇄파력의 해석 등에 그의 적용성이 기대된다.

Evalu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scle fat ratio of pork belly and pork shoulder butt using computed tomography scan

  • Sheena Kim;Jeongin Choi;Eun Sol Kim;Gi Beom Keum;Hyunok Doo;Jinok Kwak;Sumin Ryu;Yejin Choi;Sriniwas Pandey;Na Rae Lee;Juyoun Kang;Yujung Lee;Dongjun Kim;Kuk-Hwan Seol;Sun Moon Kang;In-Seon Bae;Soo-Hyun Cho;Hyo Jung Kwon;Samooel Jung;Youngwon Lee;Hyeun Bum Kim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809-815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meat quality and muscle fat ratio in pork part meat (pork belly and shoulder butt) using CT (computed tomography) imaging technique. After 24 hours from slaughter, pork loin and belly were individually prepared from the left semiconductors of 26 pigs for CT measurement. The image obtained from CT scans was checked through the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 The volume of muscle and fat in the pork belly and shoulder butt of cross-sectional images taken by CT was estimated using Vitrea workstation version 7. This assemblage was further processed through Vitrea post-processing software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volumes (Fig. 1). The volumes were measured in milliliters (mL). In addition to volume calculation, a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the organ under consideration was generat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y region (pork belly, pork shoulder butt), and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GraphPad Prism 8. The muscle-fat ratios of pork belly taken by CT was 1 : 0.86, while that of pork shoulder butt was 1 : 0.37. As a result of CT analysi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ork belly and shoulder butt compared to the muscle-fat rati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679 (R2 = 0.3295, p < 0.01). CT imaging provided very good estimates of muscle contents in cuts and in the whole carcass.

XML/RDF와 SMIL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교육 컨텐츠 검색 (Multimedia Learning Contents Retrieval Based on XML/RDF and SMIL)

  • 최병욱;류정우;조정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45-58
    • /
    • 2002
  • 대량의 멀티미디어 교육 컨텐츠의 재사용과 그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원하는 컨텐츠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량의 멀티미디어 교육 컨텐츠에 대한 새로운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교육 컨텐츠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XML을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 동기화 표준언어인 SMIL을 이용하여 교육 컨텐츠에 사용되는 멀티미디어 요소의 용합과 동기화를 표준화된 방법으로 구현하였다. 또한 SMIL 교육 컨텐츠에 교육용 메타데이터인 IEEE LOM을 XML 기반의 RDF 형태로 부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단계의 검색 방법을 통해 보다 정확한 검색 기법을 제시한다. 1단계에서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으로서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찾은 컨텐츠에 대해 SMIL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세부적인 내용을 검색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각각의 검색 결과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교육 컨텐츠로 재구성하고, 이를 학습에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치조열에서 재 시행한 골이식의 분석 (Analysis of Repeated Bone Graft after Secondary Bone Graft in Children with Alveolar Cleft)

  • 고경석;이성욱;최종우;이영규;권순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73-278
    • /
    • 2008
  • Purpose: The most widely accepted protocol for alveolar cleft reconstruction is to repair it during the mixed dentition stage. There were lower resorption rate (about 88%) at this stage. However we found some cases that need repeated bone grafting. Therefore we sought to analyze the cause of repeated alveolar bone grafting in connection with other factors.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January 2006, thirty-nine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s with iliac crest spongiosa were carried out. In 39 patients, 5 patients who had significant bone graft resorption received repeated alveolar bone graft. In all the cases, the causes of repeated bone grafts were dental root exposure(angulation), and the deficiency of the bony support for lateral incisor or canine eruption. In 3 cases, there was deficiency of the alveolar bone at the cleft side. There was the need of repeated bone grafts for orthodontic treatment in 2 cases and for application of dental implants in 1 case. Resul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 clinical and radiologic examinations showed that repeated alveolar bone grafts were maintained successfully without any complications. The volume of the repeated bone graft was sufficien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implantation. Conclusion: The essential conditions for successful alveolar bone grafting includes the status of cleft sided teeth, further treatment and planed schedule, as well as canine eruption. Alveolar bone grafting has to be performed with difference of each case in mind.

골유도 재생술과 임프란트 식립: 동시식립과 지연식립의 비교 (IMPLANT INSTALLATION AFTER GUIDED BONE REGENERATION: COMPARISON BETWEEN IMMEDIATE AND DELAYED GROUP)

  • 김영균;윤필영;임재형;황정원;이효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333-339
    • /
    • 2007
  • Adequate bone quantit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to obtain osseointegration after implantation.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has widely used in implant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y defects. Since introducing this procedure,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survival rate of implants, changing in surrounding bone volume after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mount of resorption according to placement timing and survival rate after function. The subjects were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with GBR from Jun 2003 to Jun 2004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They were divided into simultaneous and delayed placement group. The follow up had been performed at the time of just after GBR, 1, 3, 6, 12, 24-month later and standard periapical radiographs were taken to estimate the bone level at the time. The total average of bone level change in radiographs was 1.94mm(${\pm}0.25$), and 1.92mm(${\pm}0.72$) in simultaneous installation, 2.03mm(${\pm}0.25$) in delayed installation. In this report, the survival rates were 92.2% in simulataneous group and 92.3% in delayed group. Insufficient primary stability, early contamination of wound, overloading, poor oral hygiene, and infection were thought to be associated factors in the failed cases.

Overlapping method와 SPIHT Algorithm과 Lifting Steps을 이용한 3차원 손실 의료 영상 압축 방법 (3-D Lossy Volumetric Medical Image Compression with Overlapping method and SPIHT Algorithm and Lifting Steps)

  • 김영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63-269
    • /
    • 2003
  • 이 논문은 3차원 정수 웨이브릿 변환을 이용한 손실 의료 영상 압축에 대한 방법을 보여준다. 의료영상에 3차원 웨이브릿 분할법과 3차원 spatial dependence tree를 이용한 Set Partitioning in Hierarchical Trees(SPIHT) algorithm을 제공한다. 또한 3차원 웨이브릿 분할법에서 정수 웨이브릿 필터들을 이용한 lifting방법을 이용하고, unitary 변환을 만들기 위하여 정확한 scaling을 이용한다. 압축률이 증가하면 할수록 인접한 coding unit사이에선 boundary effect가 생긴다. Video와 같지 않아서 인접한 coding unit사이에서의 boundary artifact는 보여서는 안 된다. 이러한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인접한 coding unit사이에 axial domain으로 overlapping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코딩 할 때 여러 종류의 정수 필터들을 사용한다. 결과로 어떤 특정한 필터를 사용할 때 좋은 결과를 얻었고 overlapping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ringing artifacts는 거의 찾아 볼 수가 없게 되었다. 그리고 어두운 면을 코딩 할 때도 좋은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