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d ratio

검색결과 626건 처리시간 0.025초

시멘트의 종류별 콘크리트외 강도 및 공극률과 염화물 확산계수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Void Ratio and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of Concrete Using Various Kinds of Cement)

  • 윤의식;이택우;박승범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735-74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의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의 내해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통해 총 5종류의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 공극률 및 염화물 확산 특성을 평가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장기재령에서 V종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공극률은 I종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염화물 확산계수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I종 시멘트의 일부를 플라이애쉬로 치환해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공극률 및 염화물침투 저항성은 재령 경과와 함께 I종 시멘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공극률과 염화물 확산계수는 시멘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높은 상관계수 및 결정계수를 나타내어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포스트텐션 중공슬래브의 동적 특성 (Dynamic Characteristic of Post-tensioned Void Slab)

  • 윤성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89-95
    • /
    • 2012
  • 바닥슬래브의 처짐과 차음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포스트텐션 중공슬래브가 최근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동일한 8m 스팬 1층구조물을, 한 구조물은 일반슬래브(solid slab)로, 다른 구조물은 중공슬래브(void slab)로 2개를 제작하여 각 구조물의 바닥슬래브에 포스트텐션을 도입하였다. 중공슬래브의 고유진동수와 감쇠율의 진동특성을 일반슬래브와 비교하였으며, 포스트텐션 도입 후에 일반슬래브와 중공슬래브 각각에 있어서 고유진동수와 감쇠율의 진동특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210mm의 일반슬래브 보다는 250mm 중공슬래브의 1차 고유진동수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포스트텐션 도입 후에도 중공슬래브의 1차 고유진동수는 일반슬래브 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슬래브와 보이드슬래브의 감쇠율은 포스트텐션 도입 전과 도입 후에 거의 동일한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합요인에 따른 바텀애시 미분말을 사용한 흡음형 기포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Engineering Properties of Sound Absorbing Foamed Concrete Using Bottom Ash Depending on Mix Factors)

  • 김진만;강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63-70
    • /
    • 2009
  • 본 연구는 실리카와 칼슘의 수열합성 반응에 의해 제조하는 흡음형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연구이다. 원료는 석탄화력발전소의 부산물로 발생되는 바텀애시를 미분화한 것을 실리카원으로 사용하였고, 1종보통포틀랜드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소석회를 칼슘원으로 사용하였다. 경화체 내에서 연속기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포제를 이용하여 발포한 기포를 슬러리와 혼합한 후 몰드에 타설하는 선발포 방식으로 시험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인자는 물분체비, 기포제 희석비, 기포 혼입비로 설정하였고 이들 요인이 흡음형 기포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절건밀도, 전공극률, 연속공극률, 흡음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기포콘크리트의 흡음성능은 거의 모든 실험 수준에서 흡음재료를 위한 NRC의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포비는 가장 지배적인 인자이고 이 연구에서 기포콘크리트의 모든 특성에 현저하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분체비는 압축강도와 절건밀도 뿐만 아니라 전공극률과 연속공극률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기포제 희석비는 거의 모든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흡음성능과 흡수시간 및 연속공극률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흡수시간은 연속공극률과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 적용을 위한 왕겨재와 순환골재를 활용한 포러스 콘크리트의 공극률 및 강도 특성 (Void ratio and Strength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Utilizing Rice Husk Ash and Recycled Aggregate for Planting)

  • 김영익;성찬용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2호
    • /
    • pp.167-177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void ratio,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and pH properties according to the admixture ratio of rice husk ash, aggregate size, and neutral treatment time of porous concrete with an admixture of rice husk ash produced as an agricultural by-product. The SEM results for cement mortar with a 5% rice husk ash admixture for the weight of cement formed more C-S-H hydrates due to the $SiO_2$ present in the applied rice husk as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EM test, the $SiO_2$ that was a major chemical element of rice husk ash generated a large amount of calcium hydroxide in the early stage of the hydration process of cement leading to the formation of ettringite. The void ratio of porous concrete with an admixture of rice husk ash decreased with increasing admixture ratio of rice husk ash. In addition, the void ratio of porous concrete with an admixture of rice husk ash decreased compared to porous concrete with no admixture of rice husk ash.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of porous concrete with a 5% and 10% admixture ratio of rice husk ash slightly increased compared to concrete with no admixture of rice husk ash. The pH value of porous concrete rapidly decreased immediately after neutral treatment. Then, it gradually increased and decreased again after 14 days. Also, for neutral treatment, the pH value of porous concrete showed appropriate pH levels(less than 9.5) in all mixtures for planting at 28 curing days.

  • PDF

모래의 입도가 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adation on Dynamic properties of Sands)

  • 송정락;김수일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3권2호
    • /
    • pp.7-16
    • /
    • 1987
  • 흙의 동적 특성은 공극비, 구속압력, 입도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의 입도가 그 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속압력과 공극비의 영향과 함께 실험적으로 살펴 보았다. 실험 결과, 전단탄성계수(Shear Modulus)와 감쇠비 (Damping Ratio)는 공극비가 감소 함에 따라, 그리고 구속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각카 증가 및 감소하였다. 한펀, 실트 크기의 석영분말을 섞어 입도를 변화시켰을 때, 시료의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비는 석영 분말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감소 및 증가하였다. 여기서는 이 현상을 "유효 접촉수"와 "사공간"의 개념을 써서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 개념을 써서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

  • PDF

불포화의 흙-수분 특성곡선 방정식의 개발 (Development of Equation of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for an Unsaturated Soil)

  • 송창섭;임성윤;김명환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91-19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riv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equation for unsaturated soil. To this end, a series of suction measured test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4 kinds of soil which is located in Korea, used the modified pressure plate apparatus.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proved that characteristic curve changes according to grain size distribution, size of void and fine grained soil contents. Residual degree of saturation(Sr) was decreased with void ratio and changed with fine grained soil contents, parameter ${\lambda}$ and hr was increased with void ratio.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equation based on the test result was suggested by void ratio or grain size distribution.

  • PDF

사각 빌렛 자유단조시 내부기공폐쇄거동 유한요소해석 (FEM Analysis of Void Closure Behavior during Open Die Forging of Rectangular Billets)

  • 천명식;류종수;문영훈
    • 소성∙가공
    • /
    • 제13권2호
    • /
    • pp.148-153
    • /
    • 2004
  • Finite element analysis of open die forging process to make rectangular billet has been performed in this study. Three dimensional rigid-plastic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cess variables, forging pass design and die configurations on the void closure phenomena to maximize the internal deformation for better structural homogeneity and center-line consolidation of the rectangular billet. The effect of anvil width ratio, anvil pitch, anvil shape and number of pass has been estimated by the degree of void closure ratio. Although it is difficult to optimize process parameters in the operational environments, favourable process conditions are suggested for better product quality.

입상체시료의 공극비의 빈도분포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Void Ratio of Granular Materials)

  • 도덕현;고재만;오규태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4권3호
    • /
    • pp.5-18
    • /
    • 1988
  • 3종의 입상체시료를 대상으로 공극비의 빈도분포, 상대밀도 전단강도 등에 대한 시험연구결과 (1) 유리알의 경우 공극비의 빈도분포는 Shahinpoorl가 제안한 음의 지수분포에 접근하며 입자의 모양은 구형에서 각형의 순으로 변화되는 반면에 조밀한 공극의 빈도는 감소하며 Beta분포로서 잘 나타냈다. (2) 전 시료에서 공극비의 표준편차는 시료의 상대밀도와 입자의 구형성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3) 전단강도는 평균공극비와 표준편차의 함수일 뿐만 아니라 공극비 분포의 확율밀도함수이다. (4) 공극비는 정도분포가 조밀한 공극쪽으로 기울수록 시료의 전단강도는 더 크며 이의 역도 또한 같다.

  • PDF

탄성계수 및 간극비 평가를 위한 현장 관입형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 프로브 (Field Elastic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Penetrometer for Evaluation of Elastic Moduli and Void Ratio)

  • 윤형구;김동휘;이우진;이종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C호
    • /
    • pp.85-93
    • /
    • 2010
  • 전단 강성은 지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탄성계수 및 간극비는 구조물의 기본적인 설계 정수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단파와 압축파 같은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이 가능한 현장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 장비(FVRP)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상지반의 탄성계수 및 간극비를 산정하는 것이다. 압축파 및 전단파는 각각 피에조 디스크 엘리먼트와 벤더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전기비저항은 소형 전기비저항 측정 프로브를 제작하여FVRP 선단에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개발된 장비는 실내의 대형토조와 현장에 적용되었다. 대형 토조실험의 경우, 모래와 점토를 슬러리 상태에서 혼합하여 지반을 조성한 후 상재하중을 가하여 조성된 지반을 압밀 시킨 후 진행되었으며,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의 측정은 매 심도 1cm 간격으로 수행되었다. 현장 실험은 남해안 지역에서 수행되었으며, 탄성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은 관입심도 6m부터 20m까지 10cm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토조 및 현장 실험을 통해 측정된 탄성파와 전기비저항은 이론적인 관계식을 이용하여 탄성계수 및 간극비로 환산되었다. 탄성파와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간극비는 부피를 이용하여 산정한 간극비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탄성파와 전기비저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FVRP는 연약지반의 탄성계수 및 간극비 산정에 유용한 장비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정적 및 동적 하중에서 모래의 액상화 발생 (Occurrence of Sand Liquefaction on Static and Cyclic Loading)

  • 양재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235-244
    • /
    • 2001
  • 액상화는 비배수조건에서 흙 강도의 갑작스러운 감소에 기인한다. 이러한 흙 강도의 손실은 과잉간극수압의 발현과 관련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및 최소간극비에 영향을 미치는 세립분 함유량이 조사되었다. 또한 포화된 실트질 모래에 대한 정적 및 동적 삼축시험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들 시험은 액상화강도와 정적 및 동적 거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료는 새만금 유역에서 채취되었으며 공기건조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최대 및 최소간극비선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2) 최대 및 최소간극비는 20~30%의 세립분 함유량에서 얻어졌다. 3) 구속압력과 과압밀비가 증가할수록 액상화에 대한 저항은 증가하였다. 4) 불안정마찰각은 초기상대밀도의 증가와 함께 커졌다. 5) 유효응력비가 증가함에 따라 액상화에 대한 저항은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