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26초

직업훈련교사에 대한 단기교육의 만족도 결정요인 - 개도국의 국내초청 직업훈련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on Short-Term Training for Vocational School Teachers - Case of Overseas Training in ODA for Developing Countries)

  • 강봉준;이우진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3-21
    • /
    • 2012
  • 본 연구는 직업훈련교사에 대한 단기교육의 만족도를 결정짓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개발도상국 직업훈련교사에 대한 국내초청 단기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개발도상국 직업훈련교사들의 직업능력역량 강화를 위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ODA 국내초청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개발도상국 직업훈련교사 226명의 설문지에 대해서 실시되었다. 실증분석결과 훈련 전수요조사 정도가 높을수록, 훈련기간이 길수록, 훈련생의 전공과 일치되고 학습수준에 적합할수록 직업훈련 단기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ODA 국내초청연수와 직업훈련교사 단기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면, 교육생의 인적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고, 교육생의 초기 학습 수준과 적성을 반영할 수 있는 세분화된 교육과정개발이 필요하다고 요약될 수 있다.

  • PDF

전문계열교사 통합표시과목 자격연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fication Training of Combination Indication Subject for Vocational affiliation Teacher)

  • 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3-122
    • /
    • 2010
  • This research was to survey and analyze the recognition about combination indication subjec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certificate in the vocation high school. The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qualification training about combination indication subject was a general positive response(77.5%), but there was partly negative response(5.2%). Second, The efficiency of qualification training curriculum was positive response(62%), the high response(77.7%) was the fisheries affiliate. It was probably good because of simulation of ship sailing about practice curriculum. Third, The need of qualification training on combination indication subject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 was positive response(81%), but negative response(3.4%)

내일배움카드제 훈련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on Employment Outcome in Korea's Training Credit Program)

  • 김용성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1호
    • /
    • pp.1-34
    • /
    • 2020
  • 급속하게 변화하는 경제환경에 개개인이 얼마만큼 유연하게 적응하는가는 매우 중요하며, 그 핵심적인 수단은 교육과 훈련이다. 따라서 직업 교육·훈련이 그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고 있는지를 엄밀하게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직업 교육·훈련이 실업자의 취업확률을 높이는지 여부, 즉 훈련의 효과를 엄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훈련 변수가 가지는 내생성을 통제해야 한다. 본 연구는 내생성 문제에 관한 기존 연구의 접근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다양한 계량모형을 적용하여 훈련이 취업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내일배움카드제의 훈련이 취업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다만, 부정적인 효과가 유의미할 정도로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훈련의 한계효과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저연령층에 비해 고연령층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며, 연령에 따른 모습은 남성과 여성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자료의 업데이트와 훈련과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될 필요가 있다.

  • PDF

The Link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Quality Culture for Total Quality Management: A Case Study in Vocational Education

  • Lam Victor MY;Poon Gary KK;Chin KS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7권1호
    • /
    • pp.195-205
    • /
    • 2006
  • Both the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and learning organization (LO) appear to be promising approaches for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towards a more effective, efficient, and responsive organization in the past. The evolutionary development and theory supports for these two fields are distinct but they appear to have more in common than they have in distinctiveness. However, there is little synergy developed between these two fields both in academic research and industrial applications. It is possibly due to the fact that both the academia and industry are taking a limiting polarized view of TQM and LO and hence not getting the benefits of linking the two. This paper tries to establish a link betwee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the quality culture for TQM implementation based on a case study on the largest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the Vocational Training Council, of Hong Kong. The study reveals that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quality culture. The exploratory explanations for the links betwee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constructs and the quality culture constructs are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The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 other literatures that TQM should be embedded in LO and serves as an enabler for organizational learning (OL) in transforming and creating organizations which continuously expand their abilities to change and shape their future.

대학을 활용한 평생 직업능력 개발 일본 사례 연구 (Case of Japan on the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Utilizing the University)

  • 김재훈;조준희;이상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57-62
    • /
    • 2016
  •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여 대학의 평생직업 능력개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평생학습의 보편화를 위해 일과 학습을 구분 짓는 시각에서 벗어나 일과 학습이 순환되고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경제사회가 고도 성장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세계를 선도하는 기술력과 그 기술력을 지탱하는 인재에 의해서 발전을 이룩해 왔다. 세계화 속에서 지금까지 축적해 온 기술과 인재를 활용하면서 한층 더 경제성장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의 인재육성 경제 전체의 성장으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일본의 대학은 "생애학습 진흥을 위한 시책 추진체재 등의 정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후 본격적으로 직업능력개발에 참가하여 교육기본법에 생애학습의 이념을 새롭게 규정하여 평생 직업능력개발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재챌린지를 위한 학습지원 사업과 시즈오카대학의 위탁업무 코스에 대한 사례를 기반으로 대학을 활용한 평생 직업능력 개발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현장실습의 대한 실습능력을 강화시키고 현장실습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일제하의 수산학교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of the Fisheries School of Korea in Japanese Colony)

  • 신귀원;김삼곤;지호원;김재식;김태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69-87
    • /
    • 1999
  • This study had been analysed the establishment, the closing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isheries school according to the four times revision and promulgation of the law of education of korea which were devided by the early term (the first Chosun educational decree), the middle term (the second Chosun educational decree) and the last term (the third and fourth Chosun educational decree), and also been investigated how the fisheries education of the school had been acted to the mobocracy and the assimilation policy and together with it's back ground through this analys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fisheries school education, analysis of change of the fisheries 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hosun educational decree. The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term are as under. First, in the early term of the fisheries education under the first Chosun educational decree, Experts were despatched to the each province with donated money from emperor and opened seasonal the fishing training centre, a kind of social fisheries education, and trained directly fishing technic and were going to train fisheries trainees regularly under name of elementary fisheries school. Japanese imperialism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vocational education in order to snack economical products from colonized Korea but actually had a purpose to train low quality technician who follow blindly their colony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The fisheries schools in the circle of system in early time of Japanese imperialism, Kunsan public elementary fisheries school was established in April 1915, Yosu public elementary fisheries school was established ill May 1917 and Kyungnam Tongyoung training school was established in March 1917. Secondly, After 3.1 movement, the Japanese imperialism established an appeasement policy so called cultural politics and continued assimilation policy with skilful methods. After revision of the second Chosun educational decree, the Elementary vocational school was changed as the vocational training school. The school of fisheries education in middle of Japanese imperialism trained low quality technicians to snack fisheries resources from colonized Korea. After the midd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y paid attention on training fisheries technician through fisheries school rather than training school. With high interest and crowded volunteers, Kunsan public fisheries school was promoted in 1922, Tongyoung public fisheries school was promoted in 1923, Yongampo fisheries training school established in 1922 was promoted as Yongampo public fisheries school in 1926. Thirdly, in the time of the third and fourth Chosun educational decree,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 they met Pacific war after Japan vs China war. During the war time they considered the vocational school as the source of supply for materials and manpower and consequently had to expanded vocational education and systematically despatched students to war field and practiced military training. In 1938, Namhae public fisheries school was established and Chungjin fisheries school was permitted. But in order to supply manpower to Pacific war, the study period of Yosu public fisheries school was shorten from 5 years to 4 year in 1943 and also that of Tongyoung public fisheries school shorten in 1944.

  • PDF

한국 중·장년층의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및 직업역량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voca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 career movement path of middle-aged Koreans)

  • 이수정;김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91-49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직업이동의 경험이 있는 한국의 중·장년층(만 40세~64세)을 대상으로 하여 직업이동경로에 따른 직업교육훈련 및 직업역량의 차이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2020년 2월 한 달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1,224명의 자료 중, 최근 5년 이내에 직업이동을 한 중·장년 845명을 선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첫째, 직업이동을 한 경우는 69.0%였고, '고용→고용상태'로 직업이동을 한 경우가 48.2%로 가장 많았고, '실업→고용상태'로 직업이동은 28.4%로 2순위였다. 둘째, 모든 집단에서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비율이 높은 가운데, '가사(육아)→고용상태'의 경우에는 80.6%가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지 않았다. 셋째, '고용→고용상태' 집단의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능력 유용성에 대한 인식 및 구직기술이 다른 집단에 비해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 '실업 상태와 가사(육아)에서 고용상태'로 직업이동을 한 중·장년층의 직업역량이 다른 집단에 비해 직업역량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 집단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요구됨을 제안하였다.

Role of Headmasters, Teachers, and Supervisors in Knowledge Transfer about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to Pupils in Vocational Education

  • Andersson, Ing-Marie;Gunnarsson, Kristina;Rosen, Gunnar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4호
    • /
    • pp.317-323
    • /
    • 2015
  • Background: Young people are at an increased risk for illness in working life. The authorities stipulate certain goals for training in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OHS) in vocational schools. A previous study concluded that pupils in vocational education had limited knowledge in the prevention of health risks at work.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therefore, was to study how OHS training is organized in school and in workplace-based learning (WPL). Methods: The study design featured a qualitative approach, which included interviews with 12 headmasters, 20 teachers, and 20 supervisors at companies in which the pupils had their WPL. The study was conducted at 10 upper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Central Sweden, that were graduating pupils in four vocational programs. Results: The interviews with headmasters, teachers, and supervisors indicate a staggered picture of how pupils are prepared for safe work. The headmasters generally give teachers the responsibility for how goals should be reached. Teaching is very much based on risk factors that are present in the workshops and on teachers' own experiences and knowledge. The teaching during WPL also lacks the systematic training in OHS as well as in the traditional classroom environment. Conclusion: Teachers and supervisors did not plan the training in OHS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systematic work environment management. Instead, the teachers based the training on their own experiences. Most of the supervisors did not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schools as to what should be included when introducing OHS issues in WPL.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gramming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Process)

  • 이성옥;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94-30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훈련분야에서 프로그래밍을 가르치고 있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함에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래밍 교육훈련에 20여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A 교사를 내러티브 연구방식으로 인터뷰하였다. 연구문제인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입직전, 입직, 성장, 성숙의 시간적 흐름을 거치면서 총 12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고, A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교사교육경험이 직업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을 알아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나이, 근무한 기간, 소속된 기관 등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래밍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들을 대상으로 폭넓은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현장에서 경험하게 되는 정책과 이슈에 대하여 연구되어야 하겠다.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국외연수 참여에 대한 학교 및 기업관계자의 만족도 및 인식도 (The Study of School/Corporate Authoritie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by the Overseas Training of Apprenticeship School)

  • 이수정;김정민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9-37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학교 및 기업 관계자들이 독일 스위스의 도제교육 사례를 탐색할 수 있는 기관을 방문한 후, 참여자의 만족도와 인식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도제학교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내실 있는 연수 실시를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외연수에 참가한 학교 관계자와 기업관계자의 국외연수 프로그램 내용과 도제교육 운영에의 도움 등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제교육 관련 기관 유형별(직업학교, 기업, 상공회의소, 수공업협회, 연구기관) 만족도 간에는 참여자의 연령별로는 차이가 없었으나 근무지역, 직위 등에 따라 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방문 기관 선정 등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학교 및 기업 관계자의 국외연수 참여에 따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도 변화와 관련하여 학교 관계자의 경우는 연수 전보다 연수 후에 도제교육 이해, 계획, 실행, 평가 전 영역에 걸쳐 인식도가 높아졌으나 기업 관계자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관계자도 국외연수가 도제교육을 운영에 대해서는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이해하고 있으므로 향후 국외연수의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사전 연수 또는 정례협의회, 사업단별 협의회 등을 통해 도제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많은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독일, 스위스, 호주의 도제교육 실행을 위한 사회 문화적 여건의 차이가 매우 크므로 단순한 비교 분석보다는 우리나라 시스템 내에서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방향에서의 국외연수 운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