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Guidanc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19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중등진로전담교사들의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Secondary Career Teacher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이형국;조동헌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55-78
    • /
    • 2018
  • 이 연구는 도래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해 요구되는 중등 진로전담교사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해 요구되는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는 어떠한지를 탐색하고 구체적인 필요 교육내용을 추출해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선행연구들을 통해, 중등 진로전담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요구역할(8개), 요구역량(20개), 그리고 요구역량별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내용(23개)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217명으로부터 유효응답을 회수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역할별, 교육내용 항목별 현재수준과 중요수준 간의 통계적 유의미한 평균 간 차이를 확인하는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역할별에서는 '행정운영자' 역할을 제외한 전 역할에서, 세부 교육내용에서는 전 항목에서 t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높은 t 값 분포를 확인하였다. 둘째, Borich 요구도 산출공식을 활용한 요구도 값 산출 및 우선순위를 파악한 결과, 전체적으로 t 값과 Borich 요구도 간에는 방향성은 일치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도출 결과, 전체 5개(중학교 7개, 고등학교 2개)의 교육내용이 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넷째, 차순위로 중학교 3개, 고등학교 5개를 도출하여 포함하였다. 끝으로 교육내용들과 실제적 교육 필요성과의 관련성은 어떠한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기존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제와 진로지도 관련 주제의 분절 현상으로 인해 선행자료가 거의 없어 여러 한계와 제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중등 진로전담교사의 시대 요구 적응을 위한 교육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몇 가지 제언을 하고 있다.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o the Career Decision Level.)

  • 강승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91-30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공학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진로 관련 변인, 즉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그리고 진로태도성숙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대학교 공학계열 남녀학생 총 43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수준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다. 둘째,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 중에서 진로결정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진로태도 성숙으로 나타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학전공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결정 효능감 역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진로태도성숙과 함께 진로결정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대학생 대상의 진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 탐색 (A Search of Relationship of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Related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 남광석;문은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79-10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타협이 진로관련 변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진로타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직업희망, 진로동기, 진로관여행동의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초 통계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및 직업희망이 높을수록 진로타협 수준은 낮아졌으며, 그 상대적 영향력은 직업희망이 가장 컸다. 또한 진로타협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동기와 진로관여행동이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타협은 진로관련 요인들과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자는 진로지도 및 상담 시 대학생들이 진로타협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진로교육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plan of course education and the recognition about the course&voca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

  • 임병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1-19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과 직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효율적인 진로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미래에 대한 대화상대로는 친구가 가장 선택했고, 학교 선생님과 상담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39.84%로 높게 나타났다. 진로 선택 시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는 학업성적을 가장 크게 보고 있었다. 둘째, 많은 학생들이 진로교육의 시작 시기는 '중학교'가 적절하다고 응답했고, 학교가 제공하는 진로교육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76.56%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 진로에 대해 많이 배우는 과목은 사회, 영어, 국어, 과학, 수학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직업을 선택할 때에는 적성과 능력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직업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주요 경로는 매스컴이 52.34%로 가장 높았고, 교사는 20.31%로 나타났다. '좋지 않은' 가정환경의 학생들의 경우 '교사로부터 직업에 대한 정보를 받는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고등학교 진학에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사람으로는 부모님이 46.09%로 높게 나타났다. 진학하고 싶은 상급학교 수준으로는 대학교까지가 65.6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형편과 성적이 좋을수록 대학원이상의 진학을 희망하고 있었다. 일반계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이유는 '희망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70.31%로 가장 많았다.

교육만족도 관점에서 학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대한 연구 (Investigating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Dropout based on Education Satisfaction)

  • 한동욱;강민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63-71
    • /
    • 2016
  • 본 연구는 교육만족도가 대학생의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교육만족도 조사를 위해 지방 소재 J대학의 재학생 전체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중 설문 작성의 충실도가 높은 7,248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학년 별, 학점구간 별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년 별, 학점 구간 별로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학년의 만족도가 다른 학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업중단 의도와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학업지도, 취업지도, 교육환경, 학생자신에 대한 만족도가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학생자신의 대학 생활 만족도가 학업중단 의도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자기조절,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ysfunctional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on Job-Seeking Anxiety)

  • 김인숙;손민정;박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02-312
    • /
    • 2017
  • 우리나라 교육은 대학졸업이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하며, 이러한 사회현상으로 진로선택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나 청소년이나 청년들은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결정하거나 책임지기에는 매우 부족한 부분이 많다. 그로인해 타인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자기조절과 전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 대상자는 M전문대 1-3학년 대학생 300명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 .9 .30~10. 7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정체감이 진로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진로환경조성 18%, 진로몰입의지 27%, 계획 및 점검 18%, 진로피드백 12%, 긍정적사고 22%로 나타났으며 진로몰입의지가 진로정체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진로정체감은 전공만족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에 대한 결과는 인식만족, 관계만족, 일반만족이 진로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전공이나 직업선택에 갈등을 낮추고, 그들이 전공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지면 취업준비나 직업선택에 자신감과 인생목표를 세울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직업지도프로그램과 진로상담 등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학교환경과 진로성숙도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on the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 제성태;황석준;신한원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941-958
    • /
    • 2014
  • Today the educational authorities selected 38 Meister High Schools which are based on industry demand out of 691 high schools nationwide to make the vocational high schools do their original purposes and to innovate vocation educ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environment and career maturity and the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and, based on the result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to improve business environment for the maritime Meister High School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students' career maturity on their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the researcher used the teachers's professionalism, school facilities, students' entrance motivation, career guidanc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d the school meal quality as the school environment factors of the independent factors. As dependent factors, the researcher selected school environment, teachers, class preparation of the individual, level of school life such as an attitude level and school rule observance, and peer relation.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진로지도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areer Planning Program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한의령;정은경
    • 의학교육논단
    • /
    • 제26권1호
    • /
    • pp.36-40
    • /
    • 2024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has designed and implemented two career planning programs: a three-phase curriculum-based program and a longitudinal non-curricular program over the course of 6 academic years. The three phases of the curriculum-based career planning program are self-assessment, career exploration, and field experience. The non-curricular career counseling program operates through a faculty advisor system, with each faculty member guiding a group of students from each academic year, and students in each year forming a mentor-mentee relationship. The non-curricular career exploration program consists of a student research support program, an international practice program in basic and clinical medicine, and a specialty exploration fair. A survey conducted among 38 graduates (54.3%) working as intern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vealed that graduates preferred autonomous elective subjects within the curriculum-based program. They als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faculty advisor system, through which they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ree interns indicated that subjects providing direct experience in fields of interest and courses that students could choose freely were helpful in career decisions. Through follow-up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a systematic career planning program based on an analysis of the needs of graduates taking part in a residency training program after selecting a medical specialty.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Subject Manual Training and Home Economics of Middle School)

  • 이희순;김희진;윤성혜;천성문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47-26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3학년 기술 가정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하여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D여자중학교 3학년 2개 학급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한 회기에 45분씩 총 15회기의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SPSS/Window 12를 사용하여 진로성숙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각각 공변량 분석(ANCOVA)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진로성숙도 태도영역인 독립성과 계획성 요인의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 일에 대한 태도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진로성숙도 능력영역인 직업의 이해능력, 자신의 이해능력, 직업선택능력, 의사결정능력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집단 간 차이의 유의도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의 기술 가정 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이고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코칭 효과 검증을 위한 현장실험연구: 코칭과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A Field Experiments Study for Coaching Effects Verification: Relation between Coaching and Self-esteem,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조성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101-12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실험을 통해 코칭과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50명(남학생 30명, 여학생 20명)을 선정했고, 코칭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대상자를 25명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먼저, 실험군에 속한 대학생들에게 코칭 프로그램(진로 특강과 코칭)을 진행한 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정된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항목을 검사했다. 대조군에 속한 대학생들에게도 실험 전후에 같은 항목을 검사했다. 실험군과 대조군에 대한 코칭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코칭을 진행한 후에 실험군의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수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코칭이 직장인과 일반인의 경력개발 및 관리 등에 유용하다는 선행연구를 재차 확인한 것이고, 나아가 코칭은 대학생의 진로지도 및 직업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는 유효한 인적자원개발 수단임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