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Interpretation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36초

경관 가이드라인 설정을 위한 가로변 건축물 외관디자인의 물리적 복합성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Model of the Physical Complexity of Facade Design of Building on Street)

  • 유창균;이석주;조용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87-94
    • /
    • 2003
  • As important elements consisting of city streetscape, facade design on building is generally very significant. But without activ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that the building has a private objective as personal property, it is not easy to take an involvement into design as well as to establish reasonable and scientific standards of harmony. Therefore, for desirable streetscape planning, it is indispensable to know how to closely examine the visual harmony of already established buildings in each street and how to get the solutions for its realizat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to try to examine and verify the feasibility of our present streetscape situation by experimental application of acceptable Y. Elesheshtawy's model(1997), an interpretation of quantitative index of street buildings by Gestalt theory, for the preparation of the foundation of institute and standards of building design which has social value in contributing to visual and spacious harmony in our street space without giving any damage to private property. From the result, I can assure the validity that the physical complexity, whose schema is socially and culturally different from our reality, is applicable to our actual streetscape in some extent.

과학 교과서의 표를 해석하는 초등교사들의 안구 운동 추적 (Eye-Tracking on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terpreting of Science Textbook Tables)

  • 최현동;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3호
    • /
    • pp.358-371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visual attention that appears in science textbook tables. This paper proposed that teachers' cognitive effectiveness can be different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itle of tables. The eye fixation data of participants are collected by the eye tracker apparatu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table o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stimuli. Information about eye-fixations are recorded when subjects are given 4 tables by eye tracker. Eye-fixation time as well as the ratio and the number of fixation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eye tracker but also we can acquire a significant conclusion through these outcomes.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t took less time to interpret in the presence of the title than in the absence of it. However, this result is only effective only for the interpretation of simple stimulus; the presence of title does not influence on fixation time in the analysis of complicated stimulation.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better to insult the title in the tables because it helps teachers to recognize contents of the tables effectively.

보편 양화사 (Universal Quantifier)에 대한 아동들의 해석 양상 (Universal Quantification by Children)

  • 강혜경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5권2호
    • /
    • pp.39-55
    • /
    • 2001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diosyncratic understanding of universal quantifiers such as every, each or all by young children at the ages of 4 to 7, and argues that the phenomenon is explicable in terms of the maturation of both the cognitive system and the linguistic system. Evidence for this dual explanation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visual input, a picture, plays a key role in determining the children's conceptual representation, suggesting the need for the central integration of visual and linguistic elements; and from the fact that a quantifier in the linguistic input has an intrinsic property, i.e. a <+focus> feature. I have tried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cognitive factors in terms of the function of the central system, suggesting a modified form of Smith & Tsimpli's (1995) yersion of Fodor's (1983) modularity hypothesis. The categorial status of the quantifier in the children's interpretation is considered, focusing on the movement of that quantifier out of its own extended projection to FP. It is claimed that children initially treat quantifiers as modifiers, rather than functional heads, and that the phenomenon of quantifier spreading by children can be attributed to delay in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functional category, i.e., DP (or QP), in language acquisition.

  • PDF

vlda: An R package for statistical visualization of multidimensional longitudinal data

  • Lee, Bo-Hui;Ryu, Seongwon;Choi, Yong-Seo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8권4호
    • /
    • pp.369-391
    • /
    • 2021
  • The vlda is an R (R Development Core team et al., 2011) package which provides functions for visualization of multidimensional longitudinal data. In particular, the R package vlda was developed to assist in producing a plot that more effectively expresses changes over time for two different types (long format and wide format) and uses a consistent calling scheme for longitudinal data. The main features of this package allow u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and objects using an indicator matrix with object information, as well as to cluster objects. The R package vlda can be used to understand trends in observations over time in addition to identifying relative relationships at a simple visualization level. It also offers a new interactive implementation to perform additional interpretation, therefore it is useful for longitudinal data visual analysis. Due to the synerg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ing VLDA plot and interactive features, the user is empowered by a refined observe the visual aspects of the VLDA plot layout. Furthermore, it allows the projection of supplementary information (supplementary objects and variables) that often occurs in longitudinal data of graphs. In this study, practical examples are provided to highlight the implemented methods of real applications.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Attention of Popular Animation Characters Utilizing Eye Tracking)

  • 황미경;권만우;박민희;은석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14-221
    • /
    • 2019
  • 사람의 눈을 통해 획득된 시각정보는 시각적 자극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아이트래킹기술을 활용하면 소비자의 시각정보를 정량적 데이터로 획득하여 분석가능하다. 이러한 측정은 소비자가 무의식적으로 느끼게 되는 감성 측정이 가능하며, 시선추적을 통한 캐릭터의 탐색반응을 계량적으로 수치화하여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의 관심영역(AOI)을 추적하여, 시선고정 도출 측정값 중 시선고정평균시간, 횟수, 시선방문평균시간, 횟수, 마지막으로 처음 시선고정이 일어난 평균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시선고정과 시선방문이 주로 이루어진 지점은 캐릭터의 몸매보다는 얼굴에서 많은 인지적 처리과정이 일어났으며 시각적 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력요소의 시각적 주의를 통해 매력요소가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캐릭터의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 정량적 해석 방법이 제시된다면 캐릭터 개발의 기초자료로 그리고 캐릭터디자인 결정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기초수학 수업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시각적 의사소통이 수학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Visual Communication Utilizing Smartphones on Basic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Tertiary Level)

  • 홍예윤;임연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53-60
    • /
    • 2016
  • 본 연구는 G대학에서 214명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네 강좌로 나누어 일주일에 2시간씩 16주 동안 대학기초수학을 수업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주얼 교육이 수학의 기본 개념 이해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의 SNS를 통한 즉각적 피드백이 학습자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학도구의 활용에 관하여 수업 전 사전테스트와 수업 후 사후테스트를 통해 총 30문항의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결과를 분석하여 수업 중의 학습자의 수학개념에 대한 이해도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기존의 지필 풀이에만 의존했던 방식과 달리 공학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인 이해 방법으로 그래프와 수학의 개념적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학습자의 개념적인 전이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공학도구의 사용이 개념의 이해를 더 쉽도록 지원하였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수학에 대한 흥미유발과 긍정적 태도를 촉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성과를 얻게 되었다.

비쥬얼 이미지 정보의 점화효과에 따른 디자인 적용방안 - 상업용 웹사이트 배경화면 디자인을 중심으로 - (Design Applications Caused by Priming Effects of Visual Image Information - Based on Background Designs for Commercial Web Site)

  • 김은영;류시천;이진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3-280
    • /
    • 2003
  • 점화효과(Priming Effect)라 함은 상황효과(Contextual Effect)의 일부로서 "앞서 본 정보에 의해 뒤에 나오는 제품정보의 해석이 영향을 받게되어 제품평가가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점화효과가 다른 상황효과와 구별되는 점은 앞서나온 정보가 제품의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제품정보의 해석에 영향을 미침으로 인해 제품평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점화효과의 개념을 디자인 분야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온라인 쇼핑몰 디자인에 있어 시각적 이미지들이 제품의 선호도와 선택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파악하였다. 디지털카메라를 대상제품으로 '가격과 '크기'에 관한 속성을 점화시킨 웹 페이지를 각각 설계하여 제품에 대한 선호도 차이를 실증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점화된 속성에 따른 제품의 선호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상업용 웹 페이지의 배경화면이 제품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라는 점을 인지하고 이러한 점화효과를 디자인과 접목시켜 온라인상의 광고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있기를 기대해본다.

  • PDF

MBTI의 인식기능(S/N), 판단기능(T/F)에 대한 PR-VEP 특성연구 (Study about PR-VEP Characteristics on Perception Function and Judgement Function of MBTI)

  • 설지용;박병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485-549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MBTI의 인식기능(S/N)과 판단기능(T/F)에 대한 문양역전 시각유발전위(PR-VEP)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36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 동안 PR-VEP와 MBTI검사를 실시하였다. PR-VEP검사는 32채널 뇌파측정기를 이용하여 O1, O2에서 측정하였고, MBTI검사는 Form-M 온라인검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S지표 선호집단에서 PR-VEP의 N75와 P100 사이의 시간간격(Duration)이 5.49 ms 유의미하게 짧았고, F지표 선호집단에서 PR-VEP의 N75가 나타나기까지의 잠복기(Latency)가 O1에서 4.83 ms, O2에서 4.27 ms 유의미하게 짧았다. 이는 S유형과 F유형의 특징이 시각적 인지기능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MBTI의 인식기능/판단기능 각 지표에 대한 뇌과학적 해석을 더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가 갖는 의의이다.

페미니스트 잡지 표지 사진의 여성 이미지에 대한 시각 문법 분석 (Analysis on Visual Grammar of Female Images in Cover of Feminist Magazine Covers)

  • 주혜린;박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75-284
    • /
    • 2021
  •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잡지 표지 사진의 여성 이미지 특성을 분석한다. 페미니스트 잡지 표지 속 여성 이미지의 기초적 분석과 함께 사회기호학 연구의 방법론인 크레스와 리우웬(Kress & Leeuwen)의 시각 문법을 활용하여 여성 이미지를 조직한 기호의 구조와 구동 원리를 탐색한다. 분석 대상은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발행된 잡지 중, 200권의 표지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페미니스트 잡지 표지의 여성 이미지는 다양한 인종, 연령, 외모, 직업의 여성을 보여주며, 신체의 강조 정도가 낮고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연출되었다. 둘째, 재현적(Representational) 메타기능과 상호작용적(Interactive) 메타기능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감과 힘, 용기의 메시지가 주요하게 전달되었다. 셋째, 조직된 기호는 수신자가 이미지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여성 이미지에 대한 표현 방법을 숙고하게 하고, 입체적이며 다양한 여성의 군상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음악의 시각화에 의한 의상디자인 연구 - 리듬감의 표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ress Design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Music -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rhythmic sense -)

  • 유금화;남진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125
    • /
    • 2006
  •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musical sense objectively, and visualized it to express visual effects as if watching music with the eye. For the visualization of music, we examined the concept of synesthesi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earing and seeing, and reviewed theoretical grounds and a number of cases necessary in reproducing musical sense visually based on synesthetic expression. Furthermore, we studied the visual elements and associated colors of rhythm to prove that visual conception of music through various approaches enable a transitional approach to aesthetic exploration and interpretat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lassic music selected for visualization had musical characteristics highly correlated with dress design. Second, basic formative elements suggested as materials of visualization in this study were suitable in their form for expressing the rhythmic sense of music and, because they started from the most basic form, they were effective in extracting design elements. Third, when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focused on the visualization of the rhythmic sense of the five pieces of classic music, was analyzed from the aspect of sensibility ergonomics, design elements of each piece of music were obtained in an objective and scientific wa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common concepts could be derived from intangible elements such as forms and sounds observed in the rhythmic sense of music obtained from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Fifth, work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according to the result, musical images can express sense through dress design and obtain visual effects as if watching music with the eye. Dress desist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music in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suggest that the language of music can be expressed in dress design, a visual formative language, based on synesthetic expression. Through this attempt, we confirmed the infinity of music as motives of dress design and suggested a method of aesthetic expression demanded in contemporary society that is pursuing aesthetic valu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