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Visual Attention of Popular Animation Characters Utilizing Eye Tracking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 황미경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 권만우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 박민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트렌드센터) ;
  • 은석함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Received : 2019.04.10
  • Accepted : 2019.05.21
  • Published : 2019.06.28

Abstract

Visual percep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human eyes contains much information on how to view visual stimuli using eye track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acquire and analyze consumer visual information as quantitative data. These measurements can be used to measure emotions that customers feel unconsciously, and they can be directly collected by numerically quantifying the character's search response through eye tracking. In this study, we traced the character's area of interest (AOI) and found that the average of fixation duration, count, average of visit duration, count, and finally the time to first fix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cognitive processing processes on the face than the character's body, and the visual attention was high. The visual attention of attraction factor has also been able to verify that attraction is being presented 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preferences for charac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of more characters will be conducted and quantitative interpretation method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haracter development and factors t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character design.

사람의 눈을 통해 획득된 시각정보는 시각적 자극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아이트래킹기술을 활용하면 소비자의 시각정보를 정량적 데이터로 획득하여 분석가능하다. 이러한 측정은 소비자가 무의식적으로 느끼게 되는 감성 측정이 가능하며, 시선추적을 통한 캐릭터의 탐색반응을 계량적으로 수치화하여 직접 수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의 관심영역(AOI)을 추적하여, 시선고정 도출 측정값 중 시선고정평균시간, 횟수, 시선방문평균시간, 횟수, 마지막으로 처음 시선고정이 일어난 평균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시선고정과 시선방문이 주로 이루어진 지점은 캐릭터의 몸매보다는 얼굴에서 많은 인지적 처리과정이 일어났으며 시각적 주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매력요소의 시각적 주의를 통해 매력요소가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더 많은 캐릭터의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 정량적 해석 방법이 제시된다면 캐릭터 개발의 기초자료로 그리고 캐릭터디자인 결정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CCTHCV_2019_v19n6_21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애니메이션 캐릭터 AOI 관심영역별 평균값 비교

표 1. 캐릭터 인지도 순위 통계표(한국콘텐츠진흥원)

CCTHCV_2019_v19n6_214_t0001.png 이미지

표 2. 검정을 위한 분석내용 및 분석틀

CCTHCV_2019_v19n6_214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전혜빈, 고혜영, "캐릭터 디자인 요소별 특징과 사용자 감성어휘 관련성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12권, pp.143-163, 2017.
  2. 이은희,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다중성 연구,"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9권, pp.47-69, 2015.
  3.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콘텐츠 시장조사: 캐릭터, 음악, p.3, 2010.
  4. 조용진, 한국시장에서의 캐릭터 개발과 비즈니스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0, 2001.
  5. 김지애, 조동민, 홍찬석, 정성환, "비례변형을 통한 효과적 캐릭터이미지 표현방안," 디자인학연구, 통권 제46호, pp.74-75, 2002.
  6. 황선길, 애니메이션의 이해, 디자인하우스, p.178, 1999.
  7. 이정희, 인지특성에 따른 캐릭터 디자인 가치평가 모형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55, 2002.
  8. 설종원, 한정완, "디지털 캐릭터 콘텐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캐릭터 신체비율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국제학술대회 논문집, pp.148-149, 2004.
  9. 홍동식, "오감과 영감을 활용한 편집디자인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21권, 제6호, pp.73-78, 2008.
  10. C. Janiszewski, "Preconscious processing effects: The independence of attitude formation and conscious though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5, pp.199-209, 1988. https://doi.org/10.1086/209157
  11. Robert L. Solso, Cognition and the Visual Arts, Bradford Book, p.149, 1996.
  12. 이수범, 이희복, 신명희, "아이트래킹을 이용한 가상광고 수용자 효과 연구," 광고학연구, 제22권, 제5호, pp.99-125, 2011.
  13. 임찬, 최규호, 김완석, 윤재선, 민병철, 백로라, "아이트랙킹을 통한 효과적 스토리텔링," 디자인학연구, 제23권, 제4호, p.246, 2010.
  14. C. Karatekin, "Eye tracking studies of normative and atypical development," Development Review, Vol.27, pp.283-348, 2007. https://doi.org/10.1016/j.dr.2007.06.006
  15. 박혜경, "아이트래킹 기법을 이용한 지하철 공공환경시설물의 '시지각 주목성' 평가연구," 디자인학연구, 제23권, 제1호, pp.237-246, 2010.
  16. 김남훈, 정한경, "아이트래킹에 의한 가상 캐릭터의 스크린 레이아웃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8권, 제4호, pp.69-77, 2008.
  17. 강승묵, "CATV 홈쇼핑 프로그램의 영상구성 방식에 대한 시선추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6호, pp.502- 526, 2013.
  18. 강미영, 강승묵, "케이블방송 예능프로그램 자막의 시각적 주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64-7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064
  19. K. Rayner, "Eye movements in read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20years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24, No.3, pp.372-422, 1998. https://doi.org/10.1037/0033-2909.124.3.372
  20. 권상희, 조은정,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의 캐릭터 에이전트를 통한 차원별 프레젠스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123-143, 2009.
  21. 송현희, "안데르센의 '눈의 여왕'과 디즈니의 '겨울왕국'의 상업적 영향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pp.161-179,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