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or Management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4초

딥러닝 얼굴인식 기술을 활용한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sitor Access Control System using Deep learning Face Recognition)

  • 허석렬;김강민;이완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245-251
    • /
    • 2021
  • 1,2인 가구가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비어 있는 시간대에 집을 방문하는 외부인이 누구인지 확인하고 싶은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얼굴인식 기술은 많은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모델이 제안되었는데 OpenCV의 Harr Cascade와 Dlib의 Hog가 대표적인 오픈소스 모델이다. 두 모델은 사용 환경에 따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둔 실내 현관 앞과 제한된 거리에서는 Dlib의 Hog가 강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오픈 소스인 Dlib에 기반을 둔 얼굴인식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전체 시스템은 프론트 모듈과 서버모듈, 모바일모듈로 구성되며 세부적으로는 얼굴등록, 얼굴인식, 실시간 방문자 확인 및 원격제어, 동영상 저장 기능을 포함한다. 인터넷에서 공개된 사진을 이용하여 거리임계 값의 변화에 따른 정밀도, 특이도, 정확도를 구하고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구현된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Dlib에서 보고한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 하였다.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관여도 조절효과 '2019 거제 바다로 세계로' 축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a Local Festival on Visitor Participation Behavior :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 Focusing on 'Festival to the World by Geoje Sea' -)

  • 최수용;한정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5-67
    • /
    • 2019
  • 본 연구는 대표적인 해양 축제 중 하나인 '2019 거제 바다로 세계로' 축제를 배경으로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또한 관여도가 지역축제 서비스품질과 방문객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정도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축제 기간인 2019년 08월 01일 부터 08월 04일까지 4일 동안 축제를 방문한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구조라해수욕장 등 4군데의 해수욕장에서 총 367부의 유효한 설문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 중 확신성, 공감성, 신뢰성 이상 3가지 항목 모두 참여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여도가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과 방문객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조절효과를 실시한 결과는 지역축제 서비스 품질과 방문객 참여행동의 개별적인 조절효과를 보면 확신성*관여도는 방문객 참여행동에 정(+)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고려될 수 있는 시사점은 지역축제를 방문한 관광객의 만족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지속가능한 성공적인 축제가 될 것이 자명함으로 축제 관계자들은 이점을 유념해서 축제를 기획해야 될 것이고, 진행요원을 잘 교육시켜 역할 비중을 높여 적극적인 서비스 제공을 보다 빠르게 함으로써 중요하게 인식하지 못했던 곳으로부터 의외의 긍정적 고객행동이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길찾기 능력이 이용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코엑스몰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Wayfinding Ability to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Recommendation: Focusing on COEX Mall)

  • 박경하;염동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109-117
    • /
    • 2013
  • 본 연구는 개인의 길찾기 능력이 방문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을 분석하여 길찾기와 길찾기 능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길찾기의 능력이 장소에 대한 방문자들의 태도와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용자들의 길찾기 능력은 이용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용자들의 길찾기 능력은 재방문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용자들의 길찾기 능력은 추천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용자들의 이용만족도는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는 지하상업시설물이 갖는 공간구조상의 특성을 감안한 지상과는 다른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이 필요하다는 것, 특히 복합상업시설물이 갖는 서비스 공간의 주요 사항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는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중국과 러시아 방한 관광객의 관광만족도 선행요인과 한국 이미지 변화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The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visitor satisfaction, it's antecedents and the modification of images of Korea perceived by Chinese and Russian Tourists after their visits to Korea)

  • 한수영;박성종;이홍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5-12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을 방문한 중국과 러시아 국적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관광에 대한 전반적 관광만족도와 이의 선행요인, 그리고 여행 후 한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간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제시하였다. T-test 결과, 모든 영역에서 러시아 국적 관광객들의 만족도가 중국 관광객들의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분석 결과, 중국 관광객의 경우 관광지 매력도, 치안, 쇼핑, 음식, 숙박이 전반적 관광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특히 한국의 치안과 쇼핑 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러시아 관광객의 경우 관광지 매력도, 치안, 음식 등만이 전반적 관광만족도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중국 관광객들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한국관광에 대한 전반적인 관광만족도와 여행후 한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중국과 러시아 관광객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휴양환경 이용수준에 대한 방문객의 적응 및 대응행동 - 북한산 국립공원 소귀천 탐방로를 대상으로 - (Visitor Adjustment and Coping Behavior for Use Level in a Recreational Setting - A Case Study of Bukhansan National park -)

  • 허학영;안동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8-46
    • /
    • 2003
  • Perceived crowding is known as a necessary method to evaluate social carrying capacity in recreational settings.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perceived crowding, use density, and satisfaction have shown weak and indirect correlations. The theory of visitors’ adjustment is one of several possible explanations for this poor relation. But the validity of the visitors’ adjustment theory has not been not inspected clearly.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visitors’ adjustment theory and to examine visitors’ adjustment to the overuse of recreational settings. Study hypotheses were formul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lated to visitors’ adjustment in recreation density. P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inspected with the case study, i.e., Rationalization : Visitors’ satisfaction isn't related to use density in recreation setting, 2) Product-shift : Preference norm is related to current use density, 3) Self-selection : Visitors’ satisfaction for the use level is generally high, and 4) Displacement : Norm interference is related to willingness to revisit.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during May and June,2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urvey, visitors adjust to overuse of recreation setting through rationalization and product shift (hypotheses l/2 acceptance). Current use density isn't related to visitor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visit (see table 3). And visitors’ preference norm is modified by situation (see table 4). Visitor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visit don't show a high correlation but moderately high (see table 5, hypothesis 3 acceptance). Differences between visitors’ preference norm and current use density is norm interference. Norm interference isn't related to willingness to revisit (see table 7). Therefore, the norm interference concept is not a useful method to explain visitors’ adjustment to the degree of overuse in a recreational setting (hypothesis 4 rejection). As for future directions, the following are proposed: 1) correctly understanding and reestablishing the visitor norm and norm interference concept, 2) introducing a composite research method to monitor visitors’ behavior and survey visitors’ attitudes and coping responses. These efforts would be helpful in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recreational settings to improve the quality of visitors’ experiences.

자연공원의 사회적 수용능력 분석 - 국립공원과 도립공원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Social Carrying Capacity in Natural Park)

  • 배민기;장병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9-9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causal model determining social carrying capacity(SCC) in natural park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mechanism for determining SCC in natural parks (NP)\ulcorner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on SCC and recreation activities in Korean natural parks, we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and formulate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e obtain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surveyed 487 visitors at 6 of the 73 NP in Korea during 2001, based on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W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the mean differenc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method. We found that 1) The direct effect of resources, activity space(AS), visitor's expectation(VE), encounter, crowding, damage of resources(DR), maintenance condition of resources and facility(MCRF) to SCC are 3.45, 3.62, 2.75, 2.72, 1.32, and 4.77 time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crowding, respectively, while the indirect effect of resources, AS, VE, encounter, and DR to SCC is 13.03, 11.19, 3.34, 1.3, 2.05, 1.10, 0.05 and 2.30 times more important then that of crowding, respectively, 2) Causal effects of resources, facility, AS, VE, number of visitors(NV), encounter, crowding, VM, DR, and MCRF to SCC turned out to have 0.3523, 0.3321, 0.1751, 0.1465, 0.0307, 0.0762, 0.0604, -0.0510, -0.1177 and 0.2165, respectively, and 3) The causal effect of activity base(AB) and activity atmosphere(AA) to SCC turned out to have 2.57 and 1.1 times higher than that of MCRF, respectively.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1) this conceptual framework is highly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substantive theory and methodology; 2) management issues of AA and MCRF turned out to have 0.81 times in SCC that of AB, i.e, SCC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from control of AA and MCRF; and 3) supply of excellent resources and convenient facilities is needed to increase social carrying capacity. It is recommended that more empirical studies be performed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season, visitor characteristics, and AS by NP.

미동산 산림환경 생태원 설계 (Design of Midongsan Ecological park)

  • 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9-97
    • /
    • 2002
  • This report describes the first prize design of Midongsan Eco-park, which is located in Chungcheongbuk-do (North Chungcheong) province. Criteria of the winning design are as follows: 1) The design should include a neighborhood park as well as a portion of a green zone, in order to harmonize the area ecosystem, gradually assimilate the surroundings, and serve as an education tool for the public. 2) According to an analysis of area maps and a site-inspection, a preserved area, a buffer area, a restored area, and a developed area should be developed. In the buffer and restored areas, major facilities and activity spaces should be set up. 3) Observation trails should be accessible to visitors, and a variety of adventure programs should be available. 4) The eco-park should be designed to provide a habitat for the Gorani (Chinese water deer) which used to live around Midongsan. 5) For sensuous and vivid visitor experiences, diverse programs are to be designed to accommodate different seasons, visitor ages, and required time. Environment and eco-education are to be emphasized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eco-programs. 6) Optimal activities for visitors of different ages, optimal time intervals and eco-programs by age are also suggested. 7) Facilities are zoned into three sections according to level of development. Each section has a main area and supplementary areas for better understanding. 8) Nature-friendly arrangement of facilities and construction should minimize earthwork and adverse effects on the local ecology. Throughout the planning, the following things were learned: longer-term analysis including all season's observation is essential; planning, designing, bui Iding and managing should be based on this careful, extended observation. The contest should have taken plate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in order enable more detailed planing of the eco-park For improved management and activities, a volunteer system in linked with schools eco-institutions and NGOs should be developed with eco-interpreters.

한라산국립공원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 태도 - 어리목 구간을 중심으로 - (Users' Attitudes for the Trail Structures in Hallasan National Park, Korea - In the Case Study of Eorimok -)

  • 유기준;권태호;조근식;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8-175
    • /
    • 2007
  • 탐방로의 효용 극대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탐방로 이용과 이용객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로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 탐방로를 이용한 탐방객을 대상으로 이용행태와 보행시설물에 대한 이용자 인식을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지를 방문하고 귀가하는 탐방객 138명을 대상으로 응답자 직접기 입방식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리목에 설치된 7개의 보행 시설의 양적 질적 상태에 대한 응답은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응답을 보여 시설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각 보행시설별 경관조화성, 자원보전성, 탐방편의성 평가에서는 목재데크 시설과 목재지주의 PP로프난간 시설과 같은 친자연적 소재를 사용한 시설물들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반면에 철재와 같은 인공적 시설의 자연환경 지역에의 도입은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향후 기존 철제 시설물에 대한 친자연적 소재로의 대체가 필요하다.

월출산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 탐방객 태도 (Visitors' Attitudes about Interpretive Media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 조우;유기준;김동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3-152
    • /
    • 2006
  • 본 연구는 월출산국립공원에서 자기안내식 환경해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각종 해설매체에 대한 탐방객 인식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탐방객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96매의 설문지가 유효표본으로 이용되었다. 조사결과 '공원 이용자원 안내판'이 가장 이용률이 높은 환경해설 매체로 나타났으며 탐방로변 수목해설판, 탐방로변 문화자원 해설판, 자기안내식 자연관찰로도 비교 적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그러나 공원안내지도, 정보게시판, 공원정보제공 LED사인, 간이탐방안내소내 전시물 등은 이용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매체로 평가되었다. 공원내 환경해설 매체에 대한중요도-성취도 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중요도와 이에 대한 긍정적인 성취 수준의 응답경향이 나타났다.

농가맛집 운영유형별 방문객의 기대 및 인식, 만족도 조사 (A Study on Visitor’s Expectation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hen Dining in a Farm Styled Restaurant)

  • 이진영;최정숙;박영희;김은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89-704
    • /
    • 2011
  • Farm themed restaurants is an initiation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order to perpetuate and develop Korean traditional food-culture. This food business model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local food consumption and non-farm income for rural communit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itor's expectation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farm restaurant management type in order to assist activation of farm restaurants. Farm restaur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restaurant style and experience style. The majority of subjects(67.9%) were experiencing their first time to dine at farm restaurants. Regardless of farm restaurant style, the subjects perceived that farm restaurants use high quality food ingredients. The degree of subjects expectations prior to visiting a farm restaurant was estimated by 7 Likert scales. The results show that most subjects had high expectations for using good-quality food ingredients such as ‘fresh food (restaurant style 6.25, dietary education style 6.02)’ and ‘environment-friendly food (restaurant style 6.07, dietary education style 5.91)’. Overall satisfaction of the farm restaurants was also high. The satisfaction of food scored 4.1 and the satisfaction of experience program scored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