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Education

검색결과 1,086건 처리시간 0.033초

가상대학시스템 전략계획수립을 위한 교수자 측면의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User Requirements Analysis for the Strategic Planning of Virtual University Systems : A Case Study on the Perspective of Instructors)

  • 정대율;전용기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89-110
    • /
    • 2002
  • 오늘날 대학은 지식 및 정보혁명에 대응하여 새로운 가상학습모델(가상대학, E-Learning)의 도입과 같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기에 놓여 있다. 이러한 변화기에 가상대학은 분명 대학에게 새로운 기회와 위협을 주고 있다. 만일 대학이 가상학습모델의 지원을 위한 가상대학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미래의 중요한 전략적 요소로 인식한다면 가상대학시스템은 대학의 입장에서 볼 때 중요한 전략적 정보시스템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대학시스템을 대학의 중요한 전략정보시스템으로 인지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전략계획수립을 위한 하나의 프레임웍을 제시하며, 가상대학시스템 전략수립에 있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집단인 교수자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이들의 요구가 가상대학 전략수립에 어떻게 반영되어야 할 것인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육군 대공무기 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iveness on Military Training of Army Anti-aircraft Weapon using Virtual Reality)

  • 김도헌;민승희;김익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99-507
    • /
    • 2021
  • 본 연구는 육군 교육훈련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장비, 가상현실,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효과를 비교하여 어떤 방식의 교육이 우수한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육군은 실전적 훈련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1) 도시화에 따른 훈련장 부지확보의 제한, 2) 민원제기에 따른 대민갈등 심화, 3) 국방예산 확보에 어려움으로 인해 실전적 훈련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가상현실을 활용하면 실제 전장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위험하거나 고가의 무기체계의 경우에는 가상현실을 적용한 훈련이 더욱 요구된다. 본 논문은 가상현실이 실제 무기체계에 비해 얼마나 효과적인지 연구한다. 연구결과, 가상현실 교육은 실장비 교육보다 효과가 다소 낮지만 동영상 교육보다는 효과가 높았다. 앞으로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반의 교육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가상현실 기반 안전교육 콘텐츠 유형 연구 (Types of Virtual Reality-based Safety Education Contents)

  • 장선희;장효진;김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34-445
    • /
    • 2021
  • 실감콘텐츠 기술 및 관련 인프라의 발전으로 가상현실 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교육 분야에서는 기존 강의식 교육의 단점을 보완하여 직접 재난 상황을 체험하는 것과 같은 현전감 및 몰입감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안전교육(이하 VR 안전교육)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안전교육과 비교하여 VR 안전교육의 특성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 현재까지 제작되어 공개된 VR 안전 교육 콘텐츠들을 104건 선별하여 내용, 형식에 기반한 9가지 항목으로 분석한 뒤, 항목 간 관련 정도 및 '상호 작용성'과 '환경의 생생함'의 두 축을 기반으로 하여 VR 안전교육 콘텐츠를 실감 강의형, 시뮬레이션형, 게임형의 세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안전교육의 목적과 기대하는 효과에 따른 유형별 특징을 고려하여 양질의 VR 안전교육 콘텐츠 기획 및 제작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evelopment of a Virtual Pitching System in Screen Baseball Game

  • Min, Meekyung;Kim, Kaps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3호
    • /
    • pp.66-72
    • /
    • 2018
  • In recent years, indoor simulated sports have become widely used, and screen baseball system has emerged that can play baseball in indoor spa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rtual pitch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realism of screen baseball game. This virtual pitching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uses a transmissive screen in the form of a pitching machine without a pitching hole and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screen. Therefore, unlike existing systems where pitching holes are formed on the screen, it enhances the immersion feeling of displayed images. Also, in this pitching system, the synchronization algorithm between the pitching machine and the virtual pitcher is used to form a sense of unity between the virtual pitcher and the ball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virtual pitchers, thereby enhancing the reality of baseball games.

가상현실 기반 토탈스테이션 훈련 콘텐츠 개발 (Virtual Reality based Total Station Training Content Development)

  • 임다미;김상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31-639
    • /
    • 2017
  • 기술공학 분야 직업훈련에서 체험, 실습 중심의 학습을 위한 가상훈련 콘텐츠 개발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가상훈련은 실제 장비, 작업 환경과 유사한 학습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안전하게 교육이 가능하고, 이는 학습자들이 실제 작업 현장에서 장비를 구동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이론 학습과 다양한 상황에서의 실습이 가능한 "토탈스테이션과 GNSS를 이용한 측량"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들은 본 콘텐츠에 높은 흥미와 몰입감, 인지된 학습 효과성, 만족도를 보였다.

천식 아동 간호에 대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과 블렌디드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nd a Blended Simulation of Care for Pediatric Patient with Asthma)

  • 김미강;김성희;이우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4호
    • /
    • pp.496-50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nd a blended simulation on nursing care for children with asthma through an evaluation of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clinical performance in both education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8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n=22) received a blended simulation, combining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nd a high-fidelity simul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n=26) received only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25 to 28, 2019 and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5 for Windows. Results: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f each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clinical performance. In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the two education group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critical thinking. Conclusion: Simulation-based education in child nursing has continued to involve high-fidelity simulations that are currently run in many programs. However, incorporating a new type of blended simulation, combining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nd a high-fidelity simulation, into the nursing curriculum may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가상현실 기법의 활용이 지식 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눈의 구조와 기능 내용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Biology Educational Material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ye-)

  • 심규철;류수정;김현섭;김희수;박영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03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based virtual reality technology(VRT),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it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of biology. Authoring tool of virtual reality(VR) was 3D Webmaster made in Superscape Ltd., United Kingdom. Educational materials was developed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ye of life field in the 10th science. It was learner-directed and interactive educational material using the Web-based and desktop VR. The result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on the achievement. Using 3D VR shows the potential of available education media in the next generation as science teaching-aided materials, which especially was efficient in the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abstract or difficult to direct experience learning contents.

가상교육 시스템에서 학습자-튜터간 상호작용 모형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earner-Tutor Interaction Model in a Virtual Education System)

  • 정은선;송희헌;강오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5호
    • /
    • pp.589-59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튜터간 상호작용 모델을 웹 기반 가상교육시스템에 구현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튜터 모델을 제안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튜터의 역할을 도출해내고, 이를 기준으로 웹에서 구현이 가능한 학습자-튜터간 상호작용 요소를 모형화하여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웹 기반 가상교육시스템을 기반으로 튜터 모델을 적용한 가상교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튜터 모델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상호작용성을 항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인터넷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학 실험실습교육을 위한 가상 실험실 개발 (Development of a Virtual Lab System using Internet for Efficient Engineering Experiment Education)

  • 김동식;이용순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31-3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기전자 기초실험을 웹상에서 수행할 수 있는 가상 실험실을 개발하였다. 전기전자분야의 기본적인 이론이나 법칙을 학습자가 웹상에 구현된 회로를 이용하여 간단한 마우스 조작을 통하여 가상적으로 실험함으로써 전기전자분야의 기본 이론이나 원리를 쉽게 습득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가상 실험실은 실제 실험과 거의 같은 상황을 묘사하도록 프로그램되어 학습자는 실제 실험과 거의 유사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개발된 가상 실험실은 웹상에서 구현되었기 때문에 학습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으며 실제 실험을 하거나 보조학습 매체로 사용함으로서 그 교육 효과가 클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반 해부학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실재감, 기술수용성, 학습동기 및 해부학 지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 on Learning Presence, Technology Acceptance, Learning Motivation, and Knowledge for Nursing Students)

  • 김민경;송영아;손동민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9권2호
    • /
    • pp.141-149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VR) 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presence, technology acceptance, learning motivation, and knowledge.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13 nursing students (5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7 in the control group) from Ansan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1 through 23. Data were analyzed using χ2-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 using SPSS 23.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learning presence, technology acceptance, and knowledg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Virtual reality based anatomy education is an effectiv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program.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VR anatomy education programs can improve anatomy knowledge by increasing students' acceptance of VR technology and increase their motivation to learn by increasing their sense of pres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