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games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34초

MPEG VIdeo의 핸드오프 제어 기법 (Handoff Control Scheme of MPEG Video)

  • 구중두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326-329
    • /
    • 2010
  • 본 논문은 인터넷 및 모바일 통신에서 많이 사용되는 MPEG video을 모바일 통신망에서 전송 및 재생하고, 모바일 환경에서 발생되는 Handoff 상에서 부드러운 스트림(stream) 재생(presentation)을 위한 멀티미디어 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동기화 기법으로 핸드오프 시MPEG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한 핸드오프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기법보다 미디어 스트림의 끊김없는 재생(stream of continuous play out)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패킷의 높은 재생률(play?out rate)과 낮은 손실률(loss rate)을 보였다.

  • PDF

3D게임의 입체영상효과와 피로도에 대한 실험연구: 뇌생리학 측정의 결합 (An Experimental Study of Stereoscopic Image and Fatigue Effect for 3D Video Game: Linking Cerebral Physiologic Measure)

  • 장한진;노기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18
    • /
    • 2013
  • 본 연구는 3D 입체영상게임의 영상효과와 실재감, 피로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플레이테스트 실험처치 방법론을 통해 2D게임과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로 3D게임과 2D게임에 대해 사용자들의 영상경험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했던 가설은 영상선명도를 제외하고 실물감, 입체감, 실재감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둘째로 3D게임과 2D게임은 안구피로도와 신체피로도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그동안 3D 입체영상에서 발생하는 영상왜곡과 피로 유발요인으로 피로도가 발생한다고 하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른 것이다. 셋째로 3D게임과 2D게임 플레이과정에서 발생한 뇌파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EEG 알파파의 평균 진폭은 차이가 없었으나 EEG 베타파는 더 높은 진폭대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전통적인 실험연구 방법에 EEG 뇌파측정을 방법론적으로 보완하여 3D 입체영상게임의 사용경험과정에서의 뇌생리학적 변화와 차이를 검증하였다.

가상현실 게임 경험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관점연구 (Study of Korean College Students' Perspectives on Virtual Reality Game Experience)

  • 엄남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52-162
    • /
    • 2019
  • 한국에서는 아직 가상현실 게임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현실 게임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가상현실 게임의 동기 요인들 및 가상현실 게임의 주요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게임을 최근 경험한 대학생들 10명의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결과, 가상현실 게임을 즐긴 참여자들은 높은 가상 현실감, 몰입도 및 통제성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바일, PC, 비디오 게임에서는 쉽게 나타나지 않는 특징들로 가상현실 게임의 변별적 특징으로 규정될 수 있다. 게이머의 재방문 의사에 미치는 요인들로는 가상현실게임에서 4D 효과,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 게임에서의 자유, 독특한 경험, 실재감, 긴장감, 액션 기반 경험, 그리고 그룹 게임 가능성 등이 있다. 본 연구결과, 가상현실 게임에서 주요한 특징인 몰입, 참여, 및 가상 존재감이 가상현실 게임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상현실 게임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 게이머들의 몰입, 참여, 가상 존재감을 높일 수 있는 장치들을 사전에 고려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만족도 제고에 노력해야 한다.

스마트폰 재생환경을 고려한 동영상 편집 시스템 (Video Editing System Considering Smart Phone Playback Environment)

  • 오준솔;이현정;박천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5-80
    • /
    • 2017
  • Nowadays, smart phone is being popularly used for communication,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retrieval. While demands on video traffic over mobile networks increases sharply, the wireless link capacity is often limited to fully support the traffic demand. Therefore, the size of video data needs to be reduced to provide high quality video with limited capacity. To handle this issue, we propose a video editing system using the ffmpeg library. The proposed system can provide a high quality video with a relatively small data size, thereby facilitating the mobile streaming services and live-video games.

  • PDF

초·중학생의 생활양식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 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s and Inattention, Hyperactivity/Impulsivity, Internet Overus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양모현;강은진;이동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71-187
    • /
    • 2018
  • 연구는 초 중학생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 등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주는 생활양식 요인들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 889명과 중학생 676명의 자기-보고 자료와 학생의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 및 충동성 증상에 대한 담임교사의 보고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생활양식은 가족과의 상호작용 기회, 수면시간, TV 시청시간, 게임시간, 아침식사 횟수, 가공식품 섭취 횟수, 과외 횟수 및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에서 게임시간, 가공식품 섭취 횟수가 많을수록, 가족과의 상호작용 기회가 적을수록 주의력 결핍 증상이 높았다. 초등학생의 경우 게임시간 TV 시간, 가공식품 섭취횟수가 많을수록, 보호자와 함께 하는 시간이 적을수록 과잉행동 및 충동성이 높았지만, 중학생의 경우 생활양식 변인들은 과잉행동 및 충동성에 대한 설명량이 낮았다.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에서 게임 시간이 많을수록, 보호자와 함께 하는 시간이 적을수록 인터넷 과다사용 증상이 높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대한 게임 및 TV 사용, 가공식품 섭취의 영향력을 고려하고, 가족과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방향의 중재를 제안한다.

Relation between Game Motivation and Preference to Cutscenes

  • 완소음;조동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6호
    • /
    • pp.573-592
    • /
    • 2014
  • Following rapid development of software and hardware technologies and increasing enhancement in arithmetic capability, there are more and more content that can be accommodated and processed in video games, which is also increasingly complex and fine. Cutscene as a main narrative method have been developed, which have become necessary to express some key plots and important scenarios in games. Good cutscene can strengthen engagement of players with virtual world in games and make players share affection and sorrow with roles in games; while badly-designed cut-scene or overused cut-scene will impair immersion of players and affect players' gaming experience; for this reason, developers should not continue cut-scene design just from opinions of designers nor make players passive receivers, instead, they should reduce as much as possible interruption by cut-scene to players' immersion and grant players with better immersion. After all, only designs depending on demands and preferences of players by having some knowledge of impacts of cut-scene on players' immersion can be accepted by players.

모바일 캐주얼 게임 몰입이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mobile casual games and their effects on flow experie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loyalty)

  • 백영석;이호;이동현
    • 지식경영연구
    • /
    • 제16권4호
    • /
    • pp.17-34
    • /
    • 2015
  • 본 연구는 모바일 캐주얼 게임의 이용자가 모바일 캐주얼 게임에 몰입할 때 주로 어떠한 특성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고, 그 결과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미, 기술 숙련도, 이용 용이성, 즉시접속성, 도전감을 몰입의 중요 특성으로 선정하였으며, 몰입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미, 이용 용이성, 도전감이 몰입에 영향을 미쳤고, 몰입은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쳤으며, 만족도는 충성도에 영향을 미쳤다.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s Video Games Focused on the Connection of Japan's Traditional Play Culture

  • Oh, Dong-I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3호
    • /
    • pp.29-37
    • /
    • 2011
  • This research discuss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video game from the cultural viewpoint of Japan's traditional play. It starts with the possibility that Japanese video game can shar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apanese play. Accordingly, this research first considers the connection between play and video game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by comparing their theoretical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it shows the research direction from the viewpoint of Ludology that approaches video game from the aspect of play.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apanese play are examined in connection with Japan's inherent animism culture.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Japanese video game and traditional Japanese play are discussed from the 'spatial' aspect of game, from the 'identity' aspect of game characters, and from the 'motive' behind playing game.

일반적인 비디오 게임의 AI 에이전트 생성을 위한 개선된 MCTS 알고리즘 (Enhanced MCTS Algorithm for Generating AI Agents in General Video Games)

  • 오평;김지민;김선정;홍석민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4호
    • /
    • pp.23-36
    • /
    • 2016
  • Purpose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paid much attention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fields of GVGP, PCG. The paper suggests that the improved MCTS algorithm to apply for the framework can generate better AI ag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As noted, the MCTS generate magnificent performance without an advanced training and in turn, fit applying to the field of GVGP which does not need prior knowledge. The improved and modified MCTS shows that the survival rate is increased interestingly and the search can be done in a significant way. The study was done with 2 different sets.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10 training set which was not given any prior knowledge and the other training set which played a role as validation set generat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ed MCTS algorithm. Besed upon the results, the further study was suggested.

Polarization in the Gaming Industry: The dystopian model

  • 황진하;윤영두
    • 지능정보통신
    • /
    • 제17권1호
    • /
    • pp.57-63
    • /
    • 2016
  • What will the gaming industry look like in the future? Where is it heading? Most producers, developers, and gamers have been pondering such questions since the very beginning of video games. This paper asserts that the current trend in video games to emphasize rationalization will, in time, bring about an extreme polarization within the game industry. Each year the barriers to entry are becoming lower and the size of the game market is growing, which will bring about an emphasis on who has the power to be recognized in the industry. This paper argues that such trends will, in turn, lead to a power play in which the winner will always be the player with the most monetary power. In time, this prolonged power play is expected to bring about what this discussion refers to as a dystopian model within the game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