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brio spp.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41초

Evaluating the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in Livestock Using Metagenomics Approach

  • Kim, Hyeri;Cho, Jin Ho;Song, Minho;Cho, Jae Hyoung;Kim, Sheena;Kim, Eun Sol;Keum, Gi Beom;Kim, Hyeun Bum;Lee, Ju-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2호
    • /
    • pp.1701-1708
    • /
    • 2021
  • Food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global health issue due to foodborne pathogens after consumption of contaminated food. Foodborne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ca, Staphylococcus aureus, Campylobacter spp., Bacillus cereus, Vibrio spp., Yersinia enterocolitica and Clostridium perfringens are leading causes of the majority of foodborne illnesses and deaths. These foodborne pathogens often come from the livestock feces, thus, we analyzed fecal microbial communities of three different livestock specie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in livestock feces using metagenomics analysis. Our data showed that alpha diversities of microbial commun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livestock species. The microbial diversity of cattle feces was higher than that of chicken or pig feces. Moreover, microbial commun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se three livestock species (cattle, chicken, and pig). At the genus level, Staphylococcus and Clostridium were found in all livestock feces, with chicken feces having higher relative abundances of Staphylococcus and Clostridium than cattle and pig feces. Genera Bacillus, Campylobacter, and Vibrio were detected in cattle feces. Chicken samples contained Bacillus, Listeria, and Salmonella with low relative abundance. Other genera such as Corynebacterium, Streptococcus, Neisseria, Helicobacter, Enterobacter, Klebsiella, and Pseudomonas known to be opportunistic pathogens were also detected in cattle, chicken, and pig feces.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useful for controlling the spread of foodborne pathogens in farm environments known to provide natural sources of these microorganisms.

제주도 어류양식장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Survey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Fish Farms on the Jeju-Island)

  • 문영건;하진환;강창희;송춘복;오명철;허문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9-191
    • /
    • 2007
  •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제주도에서 성업 중인 육상 수조식 양식장 21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양어 용수, 양어 사료, 양식 넙치에서 조사하였다. 식품 병원성 미생물 중 일반세균과 총 대장균군, 그리고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Vibrio parahaemolyticus를 조사하였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특이할만한 점은 여름에 들어서면서 집중적이면서도 빈번하게 비가 내렸다. 양어용수를 검사한 결과 S. aureus, B. cereus and Salmonella spp.는 각각 $0-3.3{\times}10^2 CFU/ml,\;0-2.2{\times}10^2CFU/ml\;and\;0-5.1{\times}10^1 CFU/ml$ 검출이 되었다. 또한 사료 내 미생물을 조사하여 본 결과 조사한 MP사료 85%에서 S. aureus, B. cereus and total coliforms이 검출이 되었다 반면 양식 넙치를 조사한 결과 Escherichia coli O157:H7, total coliforms은 검출이 되지 않았다. 추후 이와 관련하여 좀더 체계적인 연구 시스템을 양식현장에 적용한다면 근래 들어 문제가 되고 있는 식품위생상 수산물이 야기하는 문제점들이 해결이 되어 안전한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 같다.

Lactobacillus spp. 이용 발효 붉나무의 기능성물질 검색에 대한 연구 (Functionality Analysis of Rhus javanica Fermented by Lactobacillus spp.)

  • 이동성;강민수;김윤철;임남경;김현수;정길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4-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를 Lactobacillus속 균주로 발효시켜 기능성물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별한 발효에 사용한 10가지 한약은 100% methanol로 추출하여 Lactobacillus속 균주와 MRS배지를 첨가하여 사용하였고 발효 후 ethyl acetate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10가지 중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고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마우스 해마 유래 세포주인 HT22 세포에서 glutamate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했으며, 이는 heme oxygenase-1 단백질 발현에 의한 것 임을 밝혔다. 또한, 뇌세포 보호에 heme oxygenase-1 발현의 주요 기전인 Nrf2 핵 내의 전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붉나무의 발효 전과 후의 항균, 항산화 효과 비교 실험에서는 붉나무를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b. fermentum KCTC 3112, Lb. brevis KCTC 3498 균주로 각각 발효한 한약재는 발효 전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아지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b. plantarum subsp. plantarum KCTC 3108, Lb. casei KCTC 3109로 발효한 붉나무 발효액과 ethyl acetate 여액층은 Bacillus subtilis PCI 219, Escherichia coli KCTC 1682, Shigella flexneri KCTC 2517, Vibrio parahaemolyticus KCTC 7471,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에 모두 항균활성을 보였다. 붉나무를 Lb. brevis KCTC 3498로 발효하여 ethyl acetate로 추출한 추출물은 B. subtilis PCI 219, E. coli KCTC 1682, S. flexneri KCTC 2517, V. parahaemolyticus KCTC 7471 균주에서 발효한 추출물이 단순 붉나무 추출물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수입산 관상어로부터 분리된 tetracycline 내성 Aeromonas spp.에 tet(M) 및 tet(G) 유전자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tet(M) and tet(G) Genes among Tetracycline-resistant Aeromonas spp. Isolated from Imported Ornamental Fishes)

  • 박신후;전려진;조기택;진지웅;정현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8-245
    • /
    • 2012
  • In this study, the molecular structures of tet(M) and tet(G) carried by tetracycline (Tc) resistant bacteria in intestinal microflora from the imported ornamental fish were characteriz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depend on the imported countries. Of the total isolates, approximately 8.9% of the Ent-lac+(lactose fermentative bacteria on coliform media) Tc resistant isolates in fish from three different countries, Singapore, Taiwan and Brazil, were appeared to contain tet(M). Three representative isolates of different countries, Aeromonas spp. JSM-1 (Singapore), JTM-1 (Taiwan) and JBM-1 (Brazil), were isolated and analyzed the molecular structures of tet(M) gene. Interestingly, partial sequence of tet(M) genes (1099 bp) in JBM-1 (Brazil) showed 99.5% homology with the tet(M) found in the Vibrio spp. RV16 isolate, obtained from marine fish in Korea and known to carry Tn1545 parent type of tet(M). In contrast, tet(M) gene in JSM-1 and JTM-1 showed mosaic structure of Tn1545 and Tn916, and 100% homology with each other. It may suggest the presence of variou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et(M) gene structure. The determined sequence of the tet(G) from Aeromonas spp. JSG-1 and JBG-1 isolated from Singapore and Indonesia ornamental fish respectively showed similar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but revealed a few nucleotide changes in comparison with the sequence of the prototype tet(G) gene (S52437 in GenBank).

비가열 섭취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 정승혜;허명제;주정화;김경애;오성숙;고종명;김용희;임정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0-257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잎채소의 미생물 오염을 평가하는 것이다. 신선한 채소에서 미생물 오염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호기성균수와 대장균군수 및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Eschey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Campylobacter jejuni와 같은 식중독균을 검사하였다. 또한 총호기성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일반 소비자들에 의해 행해지는 수돗물 세척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세척전후로 검사하였다. 깻잎, 미나리, 배추, 부추, 상추, 쑥갓, 참나물, 치커리의 8종류의 야채 124건을 인천 도매시장에서 채취하였다 야채 각각에 대해 총호기성균의 평균은 $2.2\times10^6\;CFU/g$부터 $6.0\times10^7\;CFU/g$이고, 총대장균군은 $4.1\times10^5\;CFU/g$부터 $9.8\times10^6\;CFU/g$으로 나타났다. 두가지 모두 3월부터 9월의 기간 중 여름철에 최고수치를 보였다. 수돗물로 세척한 후 감소율은 총호기성균은 81.0%이고 대장균군은 82.5%이었다. 식중독균은 Staphylococcus aureus 8.1%, Bacillus cereus 14.5%, Clostridium perfringens 5.6%, Escherichia coli 18.5%로 검출되었다. 이 중에서 11가지 검체에서는 두가지 균이 검출되었다. 각각의 야채에 대해서는 Staphylococcus aureus가 최고 검출율과 최저 검출율이 0.0% 에서 22.2%, Bacillus cereus가 0.0%에서 29.4%, Clostridium perfringens는 0.0%에서 23.1%, Escherichia coli는 0.0%에서 35.0%로 검출되었다.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Campylobacter jejuni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신선한 야채에서의 병원체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들에 대한 용량-반응 모델 연구 (A Study on Dose-Response Models for Foodborne Disease Pathogens)

  • 박명수;조준일;이순호;박경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9-304
    • /
    • 2014
  • 본 연구는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QMRA)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국내의 경우 관련 정보 및 자료가 부족한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에 대한 용량-반응모델(dose-response models) 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가장 적합한 용량-반응 모델을 분석 및 선정하였다. 1980년부터 2012년까지 식중독 발생과 관련이 있는 26종의 세균, 9종의 바이러스, 8종의 원생동물관련 용량-반응 모델 및 위해평가 자료들을 중심으로 국내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국외 PubMed, ScienceDirect database에서 총 193개의 논문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조사된 자료로부터 세균별, 바이러스별, 원생동물별 용량-반응 모델의 미생물 위해평가 활용여부를 확인하고, 위해평가에 활용된 모델들을 메타분석(meta-analysis)에서 사용되고 있는 Relative frequency (fi, 상대빈도 값)를 계산하여 가장 적정한 용량-반응 모델을 제시하였다. 주요 식중독 원인 미생물들인 Campylobacter jejuni, pathogenic E. coli O157:H7 (EHEC / EPEC / ETEC),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hig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cholera, Rota virus, Cryptosporidium pavum의 적정 용량-반응 모델은 beta-poisson (${\alpha}=0.15$, ${\beta}=7.59$, fi = 0.72), beta-poisson (${\alpha}=0.49$, ${\beta}=1.81{\times}10^5$, fi = 0.67) / beta-poisson (${\alpha}=0.22$, ${\beta}=8.70{\times}10^3$, fi = 0.40) / beta-poisson (${\alpha}=0.18$, ${\beta}=8.60{\times}10^7$, fi = 0.60), exponential ($r=1.18{\times}10^{-10}$, fi = 0.14), beta-poisson (${\alpha}=0.11$, ${\beta}=6,097$, fi = 0.09), beta-poisson (${\alpha}=0.21$, ${\beta}=1,120$, fi = 0.15), exponential ($r=7.64{\times}10^{-8}$, fi = 1.00), beta-poisson (${\alpha}=0.17$, ${\beta}=1.18{\times}10^5$, fi = 1.00), beta-poisson (${\alpha}=0.25$, ${\beta}=16.2$, fi = 0.57), exponential ($r=1.73{\times}10^{-2}$, fi = 1.00), and exponential ($r=1.73{\times}10^{-2}$, fi = 0.17)로 각각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용량-반응 모델들은 향후 국내 QMRA 관련 연구 및 진행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소아 급성 위장관염에서의 원인과 임상양상 (Etiology and Clinical Manifestation of Acute Gastroenteritis in Children)

  • 임익재;이미정;정은희;유지숙;장영표;박우성;박귀성;송낙수;백경아;차윤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3권2호
    • /
    • pp.147-155
    • /
    • 2006
  • 목 적 : 소아에서 흔한 감염성 질환인 급성 위장관염은 바이러스, 원충, 세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소아 위장관염의 다양한 원인에 대한 연구가 드물어 이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방문했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병원체의 원인과 임상양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2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설사, 구토 등의 위장관염 증상으로 단국대학교병원 외래를 내원하였거나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변검사는 총 17종의 원인 병원체에 대한 검사를 하였다. RT-PCR에 의한 norovirus, ELISA에 의한 rotavirus, astrovirus, adenovirus와 선택적 배지를 사용하여 Salmonella spp., Shigella spp., C. perfrigens, Campylobacter spp., E. coli, Vibrio spp., S. aureus, B. cereus, Yersinia spp., L. monocytogenes에 대한 배양검사, EIA에 의한 C. parvum, E. histolytica, G. lamblia에 대한 검사를 하였다. 원인별 임상양상에 대해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지를 검토하였다. 결 과 : 총 215례 환아에서 대변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이중 89례(41.4%)가 양성을 보였다. 89례의 남녀비는 1.3:1, 평균나이는 25개월(3일~14세), 평균 입원기간은 3.4일(1~10일)이었다. 연령별로 1개월 미만이 4례(4.5%), 1~2개월이 4례(4.5%), 3~12개월 24례(26.7%)였고 13~48개월이 47례(52.8%)로 가장 많았으며 4세 이상이 10례(11.2%)의 분포를 보였다. 원인별로 바이러스가 68례(77.5%), 세균이 26례(28.9%), 원충이 21례(23.6%)에서 검출되었고 바이러스류에서는 rotavirus(50례), 세균류에서는 salmonella(10례), 원충류에서는 C. parvum(11례)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양성 환아의 22례(24.4%)에서 2종 이상의 혼합감염을 보였고 바이러스와 원충의 혼합감염이 가장 많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병원체들이 검출되었다. 이는 소아 급성 위장관염의 치료에 많은 정보를 줄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소아 급성 위장관염의 다양한 원인에 대한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내산 양식 뱀장어에서 항생제 내성 비브리오 세균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Vibrio Strains from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ultured in Korea)

  • 박선영;김지형;전진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2호
    • /
    • pp.51-58
    • /
    • 2020
  • 2019년 11월, 국내의 뱀장어 양식장에서 양식 중이던 뱀장어가 피부궤양 및 피부의 점상출혈 소견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폐사하였다. 일련의 폐사는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지속되었다. Vibrio 속 균주 1E1-2는 첫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출혈성 복수에서 분리되었고 균주 2A3-1는 두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복수에서 분리되었으며 균주 3K1-2는 세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신장에서 분리되었다. 16S rRNA gene 시퀀스 분석으로, 분리균주 1E1-2와 3K1-2가 V. fluvialis NBRC 103150T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며 V. fluvialis로 동정되었으며, 균주 2A3-1는 V. plantisponsor NBRC103148T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며 V. plantisponsor로 확인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로, V. fluvialis 1E1-2는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보였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V. plantisponsor 2A3-1는 ciprofloxacin과 levofloxacin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V. fluvialis 3K1-2는 tetracycline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ampicillin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국내 양식 뱀장어에서의 항생제 내성 비브리오 감염증 사례로, 의미 깊은 보고라고 할 수 있다.

동물성 플랑크톤 Harpacticoid, Tigriopus japonicus MORI가 서식하는 Tide Pool 생태계의 조사 (Environmental Condition and Microbial Survey of the Tide Pools Densely Inhabited by Tigriopus japonicus MORI)

  • 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7-62
    • /
    • 1985
  • T. japonicus가 서식하고 있는 천연 tide pool의 실태를 알기 위하여, 신내천현 삼포시 유호주변에 있는 성상이 다른 tide pool 세곳(Fig.1. A, B, C)을 대상으로 $6{\sim}10$월까지 조사를 하였다. 이 tide pool 해수중의 환경요인인 염분농도는 장마철 강우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35\%0$였고, 수온은 $14{\sim}33^{\circ}C$, pH는 $7.4{\sim}8.9$, POC (현탁태유기탄소)는 $255{\sim}3980\;{\mu}g-c/l$, 전 인산염은 $1{\sim}27\;{\mu}g-at/l$의 심한 변동을 보였다. 해수중의 세균수 및 녹조유부착균수는 각각 $10^4{\sim}10^7/ml,\;10^6{\sim}10^8/g$의 범위로 시기적인 변동이 있었고, 해수중의 세균상은 Acinetobacter spp., Moraxella spp., Flabacterium spp., Pseudomonas spp.등의 세균주가 각각 $38\%,\;29\%,\;16\%$$14\%$의 비율로 나타났고, Vibrio spp. 균주나 효모의 출현비율은 낮았다. tide pool 내의 T. japonicus 최고개체수 및 포난개체수는, 8월과 9월 단세포 조류 및 원생동물의 대량발생이 관찰 되였던 B-pool이 높았고, 각각 해수 1l중 약 $2,200{\sim}7,000$$200{\sim}2,800$의 범위였다. 이상의 POC, 전 인산염 및 세균수, 세균상등의 조사결과, T. japonicus의 서식하는 천연환경이 상당히 부영양적인 것으로 추찰되었다.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from Soybean Sprouts

  • Kim, Hye-Jung;Koo, Kyoung-Mo;Kim, Gi-Nahm;Lee, Dong-Sun;Paik, Hyun-D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305-309
    • /
    • 2002
  • Raw soybean sprouts were tested for contamination with the following bacteria which have potential for pathogenesis or food spoilage :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Yersinia enterocolitica, Vibrio parahae-molyticus, Aeromonas hydrophila, Plesidomonas shigeloide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Campylobacter jejuni, Erwinia spp., and Fusarium spp. Three of the above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sprouts, and identified by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methods including an API kit and ATB 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 The isolate cultured in Cereus selective agar, a selective medium, was a Gram-positive, rod shaped, anaerobic spore former. The biochemical and culture tests reveal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catalase-positive, no growth on Simmon's citrate, NO₂ production and requirement of arginine for growth; the ATB automated identification system gave 99.8 % agree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Bacillus cereus to the species level. The isolate cultured in Macconkey agar selective medium was Gram-negative, rod shaped and a gas former; the ATB-system gave 99.9% agree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Aeromonas hydrophila to the species level. The isolate found in Pseudomonas isolation agar was Gram-negative, rod shaped, cytochrome oxidase-positive, a reducer of nitrates to nitrogen, and pyocyanin producer; the ATB-system gave 99.9 % agree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to the species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hree bacteria species present in the soybean sprouts were Bacillus cereus, Aero-monas hydrophila, and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and Yersinia enter-ocolitica, which are associated with serious disease in humans, were not isolated from soybean sprouts examin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