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sicle Siz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초

양이온 OTAC와 음이온ADS 혼합 수용액에서 형성된 층막구형체에 의한 $CaSO_4$ 나노입자의 제조 (Preparation of $CaSO_4$ Nanoparticles by Catanionic Vesicles Formed in Cationic OTAC and Anionic ADS Mixed Aqueous Solution)

  • 김홍운;임경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0-387
    • /
    • 2004
  • The preparation of $CaSO_4$ nanoparticle by vesicles formed spontaneously in cationic OTAC and anionic ADS mixed surfactant solution whose ratio is 0.3/0.7 is investigated. Added electrolytes for preparing nanoparticles reduce vesicle size about 200-300 nm comparing with that of pure vesicle whose size is 700-800 nm by DLS. The core of vesicles has 200 nm size and acts as nanoreactors which same size of monodisperse $CaSO_4$ nanopaticles are formed. Although $CaSO_4$ particles are formed at the outer of vesicles, they are very large and amorphous. The formed particles are identified with XRD analysis after separation due to coinciding with $CaSO_4$ particles.

베시클 생성에 미치는 Phosphatidylcholine과 알루미늄 염 농도의 영향에 관한 TEM 관찰 (Observation of Effects of Phosphatidylcholine and Al Salts Concentration on the Formation of Vesicles by TEM)

  • 정종재;김창현;이병교;이해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3-179
    • /
    • 1996
  • 투과전자현민경(TEM)을 사용하여 실험 변수에 따른 베시클의 크기와 베시클간의 응집을 관찰하였다. 조절된 변수로는 (a) 반응온도의 변화, (b) Phosphatidylcholine 농도의 변화, (c) Phosphatidylcholine의 농도(0.39mM)를 일정하게 유지했을 때 알루미늄 이온의 농도변화:0.01, 0.05, 0.1, 0.2 M, (d) $Al(NO_3)_3{\cdot}9H_2O$에 Phosphatidylcholine을 1 wt%로 고정하여 이들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전체농도의 변화 등을 실험한 결과 베시클크기와 베시클간의 응집이 관찰되었다.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Phosphatidylcholine 농도가 증가할수록 베시클의 크기가 감소되었다. 알루미늄 이온농도가 0.2M일 때 입자간의 응집과 합체로 비정상 베시클 성장이 관찰되었다. $Al(NO_3)_3{\cdot}9H_2O$에 대한 Phosphatidylcholine비가 1 wt%일 때 최적의 베시클 크기와 균일한 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아데노신을 포집한 나노 플렉시블 베시클 제조 및 다구찌 방법에 의한 조성의 최적화 (Preparation of Nano Flexible Vesicles Encapsulating Adenosine and Composition Optimization by Taguchi Method)

  • 이서영;진병석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87-492
    • /
    • 2019
  • 주름 개선을 위한 활성물질인 아데노신의 경피 투과를 위해 나노 플렉시블 베시클에 포집을 시도하였다. 나노 플렉시블 베시클은 인지질, 에탄올, lysolecithin으로 구성되는데, 수화 과정에서 형성된 액정 상을 물속에 분산시켜 만드는 액정형 베시클이다. 본 연구에서는 베시클 입자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계획법 중 하나인 다구찌 방법을 적용하였다. 다구찌 직교 배열을 활용하여 베시클 입자크기에 대한 망소 특성의 S/N 비를 산출하였다. 베시클 구성성분에서 에탄올과 lysolecithin 비율, 수화 과정에서 투입되는 수용액 양 등이 베시클 입자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이고, ANOVA 분석을 통해 이들 인자가 신뢰수준 95%에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포스파티딜콜린의 액정형성을 이용한 로즈마린산 포집 효율연구 (A Study on Entrapment Efficiency of Rosmarinic Acid Using Liquid Crystal Phosphatidylcholin)

  • 강기춘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32-137
    • /
    • 2013
  • 포스파티딜콜린이 다량 함유된 수첨레시틴을 이용한 실험에서 액정구조가 잘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액정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는 포스포리피드, 에탄올, 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고 로즈마린산을 지표물질로 캡슐화하였다. 액정의 평균입자크기는 480 nm ~ $3{\mu}m$로 이는 액의 구성물질과 물리적인 힘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리포좀과 비교했을 때 액정구조는 매우 높은 캡슐화 효율을 보였다. 수첨레시틴의 함량이 증가하면 많은 액정을 형성하였고, 수첨레시틴의 함량이 적으면 액정의 양도 적게 나타났다. 로즈마린산을 함유한 액정구조의 방출실험결과 리포좀으로 형성된 베지클보다 훨씬 적은 양이 방출됨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Unsaturation on the Stability of C18 Polyunsaturated Fatty Acids Vesicles Suspension in Aqueous Solution

  • Teo, Yin Yin;Misran, Misni;Low, Kah Hin;Zain, Sharifuddin Md.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호
    • /
    • pp.59-64
    • /
    • 2011
  • Degree of unsaturation in fatty acid molecul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vesicles. Vesicle formation from C18 fatty acids with different amount of double bonds such as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with the incorporation of 1,2-dipalmitoyl-sn-glycerol-3-phosphoethanolamine-N-[methoxy(polyethylene glycol)-2000] (DPPE-PEG2000) have been examined by TEM. Critical vesicular concentrations (CVC) of the vesicle suspension are determined by turbidity and surface tension methods. The CVC of fatty acids increases when the amount of unsaturation in the alkyl chain increases. On the other hand, stability of vesicle suspension has been examined by using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at $30^{\circ}C$. There was a dramatic decrease in particle size measurement from mono-unsaturation to tri-unsaturation which could be due to the effect of fluidity in the membrane bilayer caused by different degree of unsaturation. The values of zeta potential for vesicles that were formed without the incorporation of DPPE-PEG2000 were in the range of -70 mV to -100 mV.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incorporation of DPPEPEG2000 to the vesicle reduces the magnitude of zeta potential. However, this phenomenon does not obviously seen in fatty acid vesicles formed by linoleate-linoleic acid and linolenate-linolenic acid. We therefore conclude that the addition of DPPE-PEG2000 does not effectively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linoleate-linoleic acid and linolenatelinolenic acid vesicle at pH 9.0 after the evaluation of their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over a period of 30 days. Although the vesicles formed were not stable for more than 10 days, they have displayed the potential in encapsulating the active ingredients such as vitamin E and calcein. The results show that the loading efficiencies of vitamin E are of encouraging value.

N-propyl-N,N-dimethylethanolamine 반응에서 유동성 변화와 상전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ity Gradients and Phase Transitions in N-propyl-N,N-dimethylethanolamine Reaction)

  • 김기준;성완모;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5-169
    • /
    • 2015
  • N-propyl-N,N-dimethylethanolamine의 용액을 만들기 위해 산성 조건 하에서 6분간 초음파처리하여 제조하였다. N-propyl-N,N-dimethylethanolamine 의 촉매 가수분해는 온도 $30{\sim}55^{\circ}C$에서 uni-lamellar vesicle과 uni-lamellar와 multi-lamellar가 뭉쳐진 혼합물에서 연구되었다. 이들의 차이는 촉매효과에 대해 multi-lamellar보다 uni-lamellar에서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Vesicle의 상전이 온도는 $37{\sim}44^{\circ}C$이며, multi-lamellar의 분자 입자의 크기는 uni-lamellar의 입자의 크기보다 크게 나타 났다.

Triterpenoid-Containing Liposome by Micelle-to-Vesicle Transition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 Kang, Hyung-Seok;Park, Ji-Eun;Nam, Gae-Won;Han, Sang-Hoon;Chang, Ih-Seop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319-329
    • /
    • 2003
  • Ursolic acid (UA) and oleanolic acid (OA) are pentacyclic triterpenoids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in plants, and their derivatives are aglycones of many naturally occurring saponins. It is known that pentacyclic acids may possibly enhance the mechanical barrier functions of cell membranes in plants.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OA and UA have interesting biological activities on skin, such as anti-inflammatory and anti-wrinkle activities. Since triterpenoids are extremely insoluble and their solubility problem limits skin-care application, OA and UA were encapsulated in liposomes via micelle-to-vesicle transition to overcome poorly soluble property and enhance biological efficacy. Optimal molar ratio of OA to lecithin was found to exist for producing liposomes of small hydrodynamic size and liposomal suspensions without recrystallized precipitation of OA. From electron micrograph and dynamic light scattering studies, reconstituted OA-containing liposomes without severe mechanical treatment showed small hydrodynamic size about 150 nm. Wide-angle X-ray diffraction coupled with dynamic light scattering revealed that optimal amount of OA in liposome was 25.4 mole %. In biological evaluation, OA-containing liposome significantly increased filaggrin and transglutaminase as markers of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in epidermal layer of hairless mouse, whereas ursolic acid-containing liposome did not show noticeable increase of filaggrin and transglutaminase compared to empty liposome. It is concluded that nano-scaled liposomes containing triterpenoids were spontaneously prepared by vesicular transition from mixed micelle and liposomal triterpenoids can enhance skin absorption of triterpenoid and biological efficacy.

  • PDF

Halobacterium Halobium의 Membrane에서 잉여부피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 of Excess Volume in Membrane of Holobacterium Holobium)

  • 김기준;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7-250
    • /
    • 2011
  • The excess volumes of mixing of benzyl alcohol and halothane in vesicle and in suspensions of several lipids have been determined at $25^{\circ}C$ it using a excess volume dilatometer. The potency of general anesthetics has long been known to correlate with lipid solubility. Denaturations of the vesicle, which is a sole membrane protein in the purple membrane of Halobacteriun Halobium, were studied by absorption changes at 280 nm and fluorescence changes at 330 nm and excess volume dilatometer. The particle size analysis of viscous polymer solutions by diffusional interchange is the key step by measurement. The excess volume of mixing in chitosan was found to be negative, whereas them of purple membrane, Halobacteriun Halobium and red membrane were positive in benzyl alcohol and halothane. This result was confirmed as Miller's supposition.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에서 마취제에 의한 분광학적 측정 (Measurement of Photospetroscpopies by Anesthetics in Purple Membrane and Red Membrane)

  • 김기준;정형학;김주한;송희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72-477
    • /
    • 2018
  • 전신마취제의 잉여 몰부피는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추출분리된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에서 vesicle의 현탁액에서 $25^{\circ}C$ 잉여부피 dilatometer로 측정되었다. 우리의 연구에 의해 전신마취제인 Propofol은 잉여몰부피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혔다. Halobacteriun Halobium에서 비중 차이에 의해 추출 분리된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의 잉여몰 부피는 vesicle의 아미노산과 지질의 영향이다. 이들은 잉여 몰부피 dilatometer로 잉여 몰 부피를 측정되었으며, 흡광세기는 280 nm 330 nm 에서 연구되었다. Purple membrane과 Red membrane이 Propofol에 의한 입자크기 분석, 상대적 혼탁도가 기계적 특성을 위해 연구되었다. 확산 교환에 의한 점성 중합체 용액의 입자 크기 분석은 측정에 의한 중요한 단계이다. Propofol이 vesicle에서 재구성된 시료들 중에서, 특히 PM+RM+Propofol의 잉여 몰 부피가 PM, RM의 잉여 몰 부피보다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실험 계획법을 적용한 세라마이드 고함량의 수화 액정형 베시클의 최적설계 (Design Optimization of Hydrated Liquid Crystalline Vesicles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Ceramide Using DOE)

  • 신주영;진병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23-631
    • /
    • 2022
  • 실험 계획법을 활용하여 세라마이드가 고함량으로 함유된 수화 액정형 베시클의 입자 사이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 혼합물 조성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베시클 입자 사이즈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로 제조 온도, 에탄올 양, 초음파 시간을 각각 정하고, 다구찌 방법의 S/N비 산출과 ANOVA 분석을 통해, 이들 변수들이 입자 사이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혼합물 실험 계획법의 심플렉스 중심 설계에 따라, 베시클 막을 구성하는 세 지질 성분, 인지질(HPC), 콜레스테롤(Chol), 세라마이드(Cer)의 혼합 조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모델식을 구하고, 베시클 입자 사이즈를 최소로 만들기 위한 세 지질 성분의 최적 혼합 조성은 HPC(0.6), Chol(0.1), Cer(0.3)으로 구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