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2V

검색결과 29,164건 처리시간 0.05초

Ge-MONOS 구조를 가진 플레쉬 메모리 소자의 프로그래밍 전압에 따른 문턱 전압 관찰 (Variation of Threshold Voltage by Programming Voltage Change of a Flash Memory Device with Ge-MONOS)

  • 오종혁;유윤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3-324
    • /
    • 2019
  • Ge-MONOS(Metal-Oxide-Nitride-Oxide-Silicon) 구조를 가진 플레쉬 메모리 소자에 대해 프로그래밍 전압에 따른 문턱 전압의 변화를 조사했다. 프로그래밍 전압은 10V, 12V, 15V, 16V, 17V을 인가하였고 1초 동안 프로그래밍을 진행했다. 10V에서 12V까지는 문턱전압은 약 0.5V로 프로그램 전과 크게 다르지 않고, 15V, 16V, 17V에서 문턱전압이 각각 1.25V, 2.01V, 3.84V로 프로그램 전과 0.75V, 1.49V, 3.44V 차이가 발생했다.

  • PDF

산소에 의한 바나듐 (III) 이온의 산화반응에 대한 $O^{18}$ 동위원소 연구 (Tracer Study Using $H_2O^{18}$ on the Oxidation of Vanadium (III) by Molecular Oxygen)

  • 김명자;최동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9-266
    • /
    • 1974
  • 과염소산 수용액 중에서 바나듐(III)이온이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반응에 대해서 pH 범위1∼3에 걸쳐 $H_2O^{18}$을 이용한 동위원소 실험을 행했다. 반응속도식$-\frac{d[V(III)]}{dt}=k_1\frac{[O_2][V(III)]}{[H^+]}$가 성립되는 높은 히드로늄이온 농도(pH<∼2)에서는 반응생성물 $VO^{2+}$이온의 산소가 모두 산소분자에서 유래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반면 $-\frac{d[V(III)]}{dt}=K_2\frac{[O_2][V(III)]^2}{[Ht]^2}$의 속도식이 성립하는 pH>∼2 범위에서의 추적자 실험은 바나딜이온의 산소의 50%가 산소분자에서 온다는 결과를 주었다. 반응속도론의 결과 화학량론적 결정과 아울러 동위원소 실험결과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반응 메카니즘을 제안할 수 있다.$$V^{3+}\rightleftarrows VOH^{2+} + H+, 2VOH^{2+}\rightleftarrowsV_2(OH)_2^{4+}$$$$ 낮은\PH:\ VOH^{2+}+O_2 \rightarrow V(O_2)OH^{2+}, V(O_2)OH^{2+}+VOH^{2+}\rightarrow 2VO^{2+}+H_2O_2$$$$ 높은\PH:\V2(OH)_2^{4+}+O_2\rightarrow2VO^{2+}+H_2O_2, V_2(OH)_2^{4+}+H_2O_2\rightarrow2VO^{2+}+2H_2O$$

  • PDF

자율주행 실험도시(K-city) 내 V2V 통신 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2V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K-city)

  • 조병찬;김동환;신재곤;김성섭;조성우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6-30
    • /
    • 2021
  • K-city is an experimental area for developing self-driving cars. V2X communications such as WAVE, C-V2X and 5G are an essential technology for autonomous driving above level 4. In this paper, the research on the V2V communication environment was carried out through BSM receiving level analysis on the driving route in K-city. A stationary vehicle communicated with a test vehicle moving along urban area and suburban road in two different scenarios. The communication range and receiving levels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and verify various safety scenarios using V2V communication within K-city in the future.

Pleurotus ostreatus의 액체 종균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liquid spawn of Pleurotus ostreatus)

  • 강태수;천병익
    • 산업기술연구
    • /
    • 제8권
    • /
    • pp.13-21
    • /
    • 1988
  • For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of Pleurotus ostreatus, the production of liquid spawn was studied. The highest liquid spawn production was obtained after shaking culture for 4 days in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5%(W/V) wheat flour, 0.2%(W/V) yeast extract, 0.1%(W/V)$KNO_3$ 0.05% (W/V) $MgSO_4{\cdot}7H_2O$, 0.05%(W/V) $KH_2PO_4$.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was 7.0 ana $30^{\circ}C$. The period required to complete the mycelial growth after spawning were 28, 22, 10 and 9 days, respectively, when the 2%(V/V) of solid spawn and 2%(V/V), 5% (V/V) and 10%(V/V) of liquid spawn were inoculated. The days required from spawning to fruiting bodies were 38, 34, 28 and 27 days.

  • PDF

자율주행 차량의 차량 대 차량 통신에 기반한 충돌방지 활용 시나리오 개발 (Development of Collision Prevention Usage Scenario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of Autonomous Vehicles)

  • 서현덕;권도영;신재민;최은혁;임헌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251-257
    • /
    • 2022
  • 자율주행 차량은 ICT 기술의 도움으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운행되는 차량을 의미하며 스마트 차량의 한 종류이다. 차량 안전 통신 기술(V2X)이 적용된 차량은 다양한 센서 혹은 타 차량/인프라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잠재적 위험 상황을 스마트 차량 스스로가 확실하고 빠르게 예측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한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기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V2X 통신 기술 중 차량 대 차량 통신(V2V) 모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충돌 방지 활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자 한다. V2V 모사 통신 기반 차량 충돌방지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제시한 충돌 방지 활용 시나리오를 시연하였다. 제시된 충돌 방지 활용 시나리오는 현재에도 개발/적용을 위해 노력 중인 V2V 통신 기술의 하나의 응용 사례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SBIBD를 이용한 분산시스템의 부하 균형 알고리즘 (Synchronous Distributed Load Balancing Algorithm Employing SBIBD)

  • 김성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86-393
    • /
    • 2004
  • 분산시스템에서 비집중화된 방법으로 부하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상의 각 노드는 다른 노드들의 부하상태정보를 가져야만 한다. 네트워크상에 v 개의 노드가 존재할 때 모든 노드간에 부하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Ο({v^2})$의 트래픽 오버헤드가 필요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분산된 노드간에 동기적으로 동작하는 부하균형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SBIBD(Symmetric Balanced Incomplete Block Design)에 근거하여 (v,k+1,1)구조에 의해 $v={k^2}+k+1$ 개의 노드간의 통신을 위해 2k 정규그래프 구조를 갖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구성하였다. 이 망에서 동작하도록 고안된 부하균형 알고리즘은 Ο(v√v)의 메시지 오버헤드를 가지면서 각각의 노드가 v개의 모든 노드에 대한 부하상태정보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이 알고리즘은 모든 링크가 부하상태정보 전송을 위해 √v의 동일한 트래픽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VANET에서 V2I/V2V 협력 기반 멀티채널 MAC 프로토콜 (Multi-Channel MAC Protocol Based on V2I/V2V Collaboration in VANET)

  • 허성만;유상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호
    • /
    • pp.96-107
    • /
    • 2015
  • 네트워크(Vehicular Ad-hoc Networks; VANET) 기술은 텔레매틱스/지능형 교통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 정보를 수집 및 공유하여 교통 체증 완화, 교통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차량 안에서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서비스를 제공한다. 요구하는 서비스 증가로, 고정된 프레임 안에서 한정된 자원을 사용하는 기존의 기술은 효율적인 차량통신 서비스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변 상황에 따라 유연한 동작의 프로토콜 설계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 예측, 분배, 공유를 할 수 있도록 적응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과 RSU(Road Side Units) 기반의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구조와 차량간 통신 V2V(Vehicle to Vehicle) 구조를 상호 결합하여 차량 통신에 할당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된 V2I/V2V 협력 스케줄 메시지 전송을 통해 높은 자원 이용률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였고, 제어정보를 넓은 범위로의 신속한 전송을 위한 최적 전송 기회 시간과 2차 릴레이 차량 전송 확률 값을 도출하였다.

2-pyran-4-ylidene-malononitrile을 기본으로 하는 작은 Band Gap을 가지는 공중합체의 합성 및 광전변환 특성 (Synthesis and Photovoltaic Properties of Low Band Gap π-conjugated Polymers Based on 2-pyran-4-ylidene-malononitrile Derivatives)

  • 유혜리;신웅;박정배;박상준;임준혁;김주현
    • 공업화학
    • /
    • 제20권3호
    • /
    • pp.273-278
    • /
    • 2009
  • Heck coupling reaction을 이용해서 poly[2-(2,6-dimethylpyran-4-ylidene)malononitrile-alt-1,4-bis(dodecyloxy)-2,5-divinylbenzene] (PM-PPV), poly[2-{2,6-Bis-[2-(5-bromothiophen-2-yl)-vinyl]-pyran-4-ylidene}-malononitrile-alt-1,4-bis(dodecyloxy)-2,5-divinylbenzene] (PMT-PPV), poly[2-[2,6-Bis-(2-{4-[(4-bromophenyl)-phenylamino]-phenyl}-vinyl)-pyran-4-ylidene]-malononitrile-alt-1,4-bis(dodecyloxy)-2,5-divinylbenzene] (PMTPA-PPV)를 합성하였다. PM-PPV, PMT-PPV, PMTPA-PPV의 band gap은 각각 2.18 eV, 1.90 eV, 2.07 eV로 나타났다. LUMO 에너지 준위는 각각 3.65 eV, 3.54 eV, 3.62 eV로 나타났고 HOMO 에너지 준위는 각각 5.83 eV, 5.61 eV, 5.52 eV이고 소자를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는 AM 1.5 G [1 sun condition ($100mA/cm^2$)]에서의 효율은 0.028%, 0.031%, 0.11%이고 open-circuit voltage (Voc)는 0.59 V~0.69 V로 나타났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V2V 통신 인증 서비스의 간략화 (The Simplified V2V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Service for Privacy Protection)

  • 박승수;한근희;김기천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5-40
    • /
    • 2016
  • 차세대 자동차 기술 중의 하나인 V2V 통신은 차량 간에 통신할 때 사용되는 기법으로 차세대 ITS의 핵심기술이다. 기존 V2V 통신 인증 서비스 구조를 살펴보면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가명 인증서를 사용한다. 가명 인증서를 사용하기 위해 발급 및 관리하는 기관이 필요하고 한번 발급할 때 여러 개의 인증서를 발급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가명 인증서를 사용하지 않고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차량 ID를 활용한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9V~5.6V의 넓은 입력 전압 범위를 가지는 웨어러블 AMOLED용 2-채널 DC-DC 변환기 설계 (Design of 2-Ch DC-DC Converter with Wide-Input Voltage Range of 2.9V~5.6 V for Wearable AMOLED Display)

  • 이희진;김학윤;최호용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859-86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2.9 V ~ 5.6V의 넓은 입력 전압 범위를 가지는 웨어러블 AMOLED용 2-채널 DC-DC 변환기를 설계한다. 양전압 VPOS는 과도한 입력전압이 인가된다 하더라도 정상 출력 전압을 생성되는 OPC를 내장하고, 경부하 효율을 제고하기 위한 SPWM-PWM 듀얼모드 및 파워 트랜지스터 3-분할을 적용한 부스트 변환기로 설계한다. 음전압 VNEG는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0.5x 인버팅 차지펌프를 이용해 설계한다. 제안된 DC-DC 변환기는 0.18-㎛ BCDMOS 공정으로 설계하였다. DC-DC 변환기는 2.9V~5.6V의 입력 전압에 대해 4.6V의VPOS와 -0.6V~-2.3V의 VNEG 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1mA~70mA 부하전류에서 49%~92%의 전력효율과 최대 20mV의 출력 리플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