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P. 추출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6초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참나무 겨우살이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Properties of Oak Mistletoe (Loranthus yadoriki) Extracts by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

  • 이혜진;도정룡;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78
    • /
    • 2011
  • 참나무 겨우살이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 작용, SOD 유사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Tyrosinase 저해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용매의 비율에 따라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고, 특히 60% EtOH을 추출용매로 하여 25 mL/g의 비율로 추출한 실험구가 68.88%로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p<0.05). SOD 유사활성 측정에서는 모든 추출물이 15.24-30.84%로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 보다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p<0.05).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참나무 겨우살이의 페놀 함량이 50.28-109.69 mg%로 나타났다. 추출조건에 따라 25 mL/g>50 mL/g>100 mL/g으로 농도가 높을수록 페놀함량도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추출용매에 따라 물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아질산염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pH 1.2와 pH 3.0과 같은 산성조건에서 소거능이 모두 높았고, 추출용매와 상관없이 농도가 높은 추출구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보리단백질의 추출 및 품종간 조성비교 -I. 보리단백질의 추출- (An Extraction of Barley Protein and a Comparison of the Protein Composition of Some Barleys -I. Extraction of Barley Protein-)

  • 김정상;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51-56
    • /
    • 1986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보리의 단백질추출율을 높여서 품종간 단백질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올보리, 영산보리, 사친 6호, 수원228호를 시료로 하여 Osborne의 방법 및 이를 변형한 방법에 의해 분획하고 이들 방법을 비교 평가하였다. 염가용성회분은 NaCl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율이 증가하여 0.5M에서 가장 높은 추출율을 보였으며, NaCl의 농도를 0.5M로 고정하고 추출온도를 변화시켜서 추출했을 때, 실온$(22^{\circ}C)$에서 추출율이 가장 높았다. 한편 알콜가용성획분은 70% ethanol에 의해 가장 적게 추출되였으며 $60^{\circ}C$에서 50% propan-1-ol과 2% 2-ME을 함유한 50% propan-1-ol을 사용하여 연속추출을 하였을 때 가장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단백질추출율에 대한 pH의 영향을 관찰한 결과$pH\;4{\sim}6$에서 추출율이 가장 낮았으며 pH가 10 이상이 되면 대부분의 단백질이 용출되었다. 변형된 Osborne의 방법으로 보리단백질을 분획한 결과 염가용성 획분은 전 질소의 $21.4{\sim}24.1%$를 차지하였고 hordein은 $30.4{\sim}43.4%$, hordein-II는 $9.3{\sim}19.5%$, 그리고 borate buffer 가용성 glutelin은 $17.1{\sim}23.7%$를 각각 차지하는 높은 추출율을 나타냈다.

  • PDF

추출방법에 따른 감귤과피 추출물의 항균효과 (Study on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Citrus Peel by Different Extract Methods)

  • 장세영;최현경;하나영;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9-324
    • /
    • 2004
  • 감귤과피의 열수, 에탄을 및 설탕 추출방법에 따른 항균활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감귤껍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설탕추출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10$\%$(w/v) 설탕용액에서 9일간 추출하였을 때 8종의 균주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최소저해농도는 S. aureus에서 0.5$\%$(v/v), B. subtilis, M. luteus 및 E. coli는 1.5%(viv), S. mutans는2.0$\%$(v/v) 각각 나타났다. 감귤 껄질 추출물은 40$\~$100$^{\circ}C$, 1시간 처리범위에서 항균성은 매우 안정하였으나, pH의 변화에서는 불안정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감귤껍질 추출물은 열안정성이 높은 항균성 소재로 개발이 기대되었다.

재배한 무순의 향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ultiv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 송미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0-27
    • /
    • 2001
  • 십자화과 식물인 무(Raphanus sativus L.)의 어린싹(무순)이 독특한 향과 맛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바 그 향기성분을 SDE(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법과 P&T(purge and cryogenic trapping)법으로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향기성분 포집시 SDE법에서는 diethyl ether 및 diethyl ether-pentane mixture(2:1, v/v)를 용매로 사용하고 P&T법에서는 diethyl ether를 사용하였다. GC와 GC-MS를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diethyl ether로 추출한 SDE법에서는 함황화합물(19종, 76.6%)이 주성분이었고, diethyl ether-pentane mixture로 추출한 경우 함황화합물(15종, 44.0%)과 탄화수소류(23종, 23.8%)가 주성분이었으며, P&T법으로 추출할 경우는 탄화수소류(25종, 84.1%)가 주성분이었다. 또한 신선한 무순의 주 향기성분은 hydrocarbon류인 n-heptane, methyl pentane이었으며, 익은 무순의 주 향기성분은 sulfur compound에 속하며 무의 주성분이기도 한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 methyl mercaptane, 2,3-dimethyl disulfide 등이었다. SDE법 보다 P&T법에 의해 추출할 경우 향기성분의 종류와 상대적인 양은 적어 분리능은 떨어지는 편이나 저분자 휘발성 물질은 오히려 더 많이 검출되어 추출방법에 따라 포집되는 향기성분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었다.

  • PDF

통계학적 최적화를 이용한 아마란스 잎으로부터 폴리페놀 열수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Amaranth Leaf using Statistically-based Optimization)

  • 조재민;최강훈;신슬기;이지현;김진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315-319
    • /
    • 2016
  • 아마란스 종실 생산의 부산물인 아마란스 잎으로부터 폴리페놀 추출 증대를 위해 열수추출의 주요 공정조건인 추출시간, 추출온도와 에탄올 농도 중심합성법을 이용해 최적화하였다. 폴리페놀의 추출은 추출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추출에 에탄올 농도와 추출시간이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p<0.05). 열수추출의 에탄올 농도는 61.6 (v/v%)에서 최대 폴리페놀 추출성능을 보이며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심합성법에 의해 제시 된 2차 회귀방정식의 예측값과 실험값을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합치도($R^2=0.9566$)를 보였으며 추출온도 $90.1^{\circ}C$, 추출시간 50 min과 에탄올 61.6 (v/v%) 공정조건에서 최대 농도인 12.6 mg GAE/g DM 폴리페놀을 얻을 수 있었다.

밭 주요(主要) 우점잡초의(優占雜草)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 검색(檢索) (Determination of Allelopathic Activity in Dominant Upland Weeds)

  • 전재철;한강완;장병춘;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6-164
    • /
    • 1987
  • 밭 주요(主要) 우점잡초(優占雜草)의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을 수추출물(水抽出物)과 methanol 추출물(抽出物) 및 잡초건조분말(雜草乾燥粉沫)에 의해서 조사(調査)하였다. 2%(w/v) 수추출물(水抽出物)로 가장 큰 발아(發芽) 및 생장억제(生長抑制)를 보인 잡초(雜草)는 무우에 대해서는 쑥, 참깨에 대해서는 쇠비름이었다. 냉이의 2%(w/v) 수추출물(水抽出物)은 두 검정식물(檢定植物) 모두에 대하여 저해효과(沮害效果)가 컸다. 쑥의 2%(w/v)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은 무우의 발아(發芽) 및 조묘생장(助苗生長)을 완전(完全)히 억제(抑制)하였다. 참깨의 발아(發芽) 및 유묘생장(幼苗生長)을 약 90% 이상 저해(沮害)한 2%(w/v)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은 쑥, 쇠비름 및 토끼풀이었다. 추출물(抽出物)에 의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추출용매(抽出溶媒), 잡초초종(雜草草種) 및 검정식물(檢定植物)에 따라 다르며, 이는 잡초종내(雜草種內)에 함유(含有)한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에 차이(差異)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추출물(抽出物)에 의한 생장억제효과(生長抑制效果)는 추출물(抽出物)의 pH 및 수분(水分)포텐샬의 차이(差異)에서 기인(基因)되지는 않았다. 검정식물(檢定植物)의 발아(發芽)와 생장억제(生長抑制)는 allelopathy 작용성(作用性)이 있는 4종(種)의 잡초추출물(雜草抽出物)의 처리농도(處理濃度) 증가(增加)와 함께 증대(增大)되었다. 토양(土壤)에 혼화(混和)된 쑥과 쇠비름의 건조분말(乾燥粉沫)은 냉이와 토끼풀보다 무의 발아(發芽) 및 유묘생장(幼苗生長)에 대하여 더 큰 저해효과(沮害效果)를 나타내었다.

  • PDF

해조단백질(海藻蛋白質) 추출(抽出)에 관(關)한 연구(硏究) -5. 적이용(赤利用) 해조(海藻)의 수용성(水溶性) 단백질(蛋白質) 추출조건(抽出條件)-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Seaweed Proteins Extraction of Water Soluble Proteins in Unexploited Seaweeds)

  • 전룡희;이강호;류홍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2
    • /
    • 1980
  • 자원(資源)이 풍부한 적이용해조(赤利用海藻)를 단백질(蛋白質) 자원(資源)으로 이용(利用)하기 위(爲)하여 지충이, 잘피 및 잘피 등(等) 2종(種)의 해조(海藻)와 1종(種)의 해산식물(海産植物)을 선정(選定)하여 이의 수용성(水溶性) 단백질(蛋白質) 추출조건(抽出條件)을 검토(檢討)하였다. 1) 첨가수량(添加水量)은 곰피는 1:150(W/V)의 비(比)로 가(加)했을 때 추출효과(抽出效果)가 좋았고, 잘피와 지충이는 1:100(W/V)일 때가 좋았다. 2) 추출시간(抽出時間)은 총질소(總窒素)의 경우 2시간(時間) 이상(以上)에서, TCA 불용성(不溶性) 단백질(蛋白質)은 1시간(時間) 정도(程度)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추출온도(抽出溫度)는 $40-50^{\circ}C$에서 추출성적(抽出成績)이 좋았으며 $70^{\circ}C$ 이상에서 약간 높아지나 TCA 불용성(不溶性) 질소(窒素)는 증가하지 않으므로 고온추출(高溫抽出)은 불리(不利)하였다. 4) pH의 영향(影響)은 전시료(全試料)가 pH 9 이상(以上)에서 높은 추출율(抽出率)을 보였으나 TCA 불용성(不溶性) 질소(窒素)는 pH 7 이상(以上)에서는 증가(增加)하지 않는 관계로 pH $6{\sim}7$에서 추출(抽出)함이 유리(有利)하였다. 5) 순단백질(純蛋白質) 침전(沈澱) 분리(分離)는 pH 조절법(調節法)에 의(依)한 처리(處理)가 질소(窒素) 함량(含量)이 가장 높았다. 6) 추출단백질(抽出蛋白質)을 정제(精製)함으로써 아미노태질소(態窒素)의 함량(含量) 및 총질소(總窒素)에 대(對)한 백분율(百分率)도 높일 수 있는 효과(效果)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황기 및 천년초 첨가가 홍삼음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tragali Radix and Opuntia humifusa on Quality of Red Ginseng Drink)

  • 유상권;김성원;정경환;문성권;유광원;최원석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4호
    • /
    • pp.299-30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홍삼음료의 다양화 및 기능성 강화와 여러 기능성을 가진 황기의 식품으로의 활용에 역점을 두고, 기존의 증점제를 대신하여 동결건조 천년초열매를 첨가한 새로운 기능성 홍삼음료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높은 항산화활성을 지닌 황기추출물을 얻고자 추출용매의 지용성정도를 달리하면서(100(증류수) : 0(95% 에탄올), 75 : 25, 50 : 50, 25 : 75) $80^{\circ}C$에서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ABTS 및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에서 증류수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추출물의 항산화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의 온도에 의한 황기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추출용액의 온도를 달리하면서(60, $80^{\circ}C$)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80^{\circ}C$에서의 추출물이 증류수와 에탄올혼합비율과는 상관없이 대부분 $60^{\circ}C$ 추출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기존의 점증제를 대신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함유한 천연물 소재인 천년초분말을 선택하였으며, 구아검용액과 농도별 점도를 비교해 본 결과, 구아검 0.1%(w/v) 용액과 비슷한 점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천년초분말의 경우 1-2%(w/v)의 농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황기와 천년초 첨가가 홍삼용액의 저장성($35^{\circ}C$)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들 용액의 pH와 총미생물수를 7일 동안 측정하였다. 홍삼용액에 황기와 천년초를 첨가한 경우, 저장 1일째 부터 pH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저장 3일째에는 pH가 약 3.6까지 떨어진 다음, 저장 6일 이후에는 다소 pH가 증가하였으며, 천년초분말을 첨가한 용액에서는 황기의 농도증가에 의한 유의적 pH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천년초를 첨가한 홍삼용액의 경우 황기의 농도와는 상관없이 저장 7일째 미생물의 성장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천년초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6 log cycle 이상의 큰 살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황기(3, 5%, w/v), 천년초(1.2%, w/v)를 함유한 홍삼용액(5%, w/v)이 대장암 및 뇌종양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0.5 mg/mL과 1 mg/mL의 농도에서 살펴본 결과, 종양세포에 대한 의미 있는 증식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꾸지뽕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 이혜진;도정룡;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942-948
    • /
    • 2011
  • 꾸지뽕나무를 잎, 줄기, 열매로 부위별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고자 전자공여작용, 총 폴리페놀 함량, SOD 유사활성, tyrosinase 저해 효과, 아질산염 소거작용 및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추출용매에 따라 70% 에탄올>70% 메탄올>물 추출물순으로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줄기의 70% 에탄올 추출물이 90.20%로 가장 높았다(p<0.05). 이는 비교물질인 Lascorbate의 활성보다 높은 수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모든 추출조건에서 잎 추출물이 가장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었다(p<0.05). 또한 추출용매에 따라 70% 메탄올 추출물들이 폴리페놀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OD 유사활성은 잎의 물 추출물이 64.5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p<0.05). Tyrosinase 저해효과에서는 열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추출물이 산성조건에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고, 추출조건과 상관없이 잎 추출물의 소거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CE 저해 활성은 열매 물 추출물에서 85.14%의 활성을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꾸지뽕 나무의 부위 및 용매에 따라 각각 활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다소 뛰어난 잎의 경우, 일상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어 일반인들이 식용으로 이용하기 용이하므로 차와 음료 등의 건강 음료개발을 통해 소비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 외 줄기, 열매 등도 잎과 함께 이를 이용한 환, 캡슐 등의 다양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계피의 추출조건이 추출액의 무기성분과 물리적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mineral components and physical properties in cinnamon extracts)

  • 김나미;전병선;박채규;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49-254
    • /
    • 1993
  • 물과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온도, 시간, 용매첨가량, 추출횟수 등의 추출조건이 계피추출액의 무기성분과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기성분은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용출량이 많았고 추출시간 8시간 이상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용매 첨가량 60배(v/w) 추출구에서 무기성분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물추출액에서는 Cu, Zn, Fe, Na 함량이, 70% 에탄올 추출액에서는 Fe, Mn, K의 용출량이 증가하였다. 285nm에서의 흡광도는 $60{\sim}80^{\circ}C$ 이상 추출에서는 감소하였다. Hunter Color value는 추출조건에 따라 a값의 변화가 가장 컸고 L값은 탁도와 유사한 경향으로 변화하여 추출온도, 시간, 용매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pH는 횟수별 추출을 제외하고는 처리구간에 큰 변화가 없었다.

  • PDF